재건축 재개발사업의 공공연한 비밀이었던 도시정비업체와 시공사 간의 검은 유착관계가 드러났다. 의정부지검은 최근 대형 건설업체로부터 시공사 선정 대가 명목으로 수억원의 뇌물을 받은 도시정비업체 L사 김 모(49) 전무와 신 모(61) 회계담당을 구속했다.
검찰에 따르면 김 전무는 L사 김 모 사장과 공모해 지난해말 D건설로부터 서울 상계4구역 주택재개발사업의 시공사로 선정해달라는 청탁과 함께 8억7000여만원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또 김 전무는 또 다른 D건설로부터 부천 소사본 1-1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의 시공사로 선정해달라는 부탁과 함께 3억6000여만원, B건설로부터 파주 문산선유지구 도시환경정비사업 시공사로 선정해달라는 청탁과 함께 3억2000여만원을 받은 혐의를 사고 있다.
신 담당도 김 모 사장과 공모해 지난해말 D건설로부터 서울 영등포 1-26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의 시공사로 선정해달라는 청탁과 함께 5000여만원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 조사 결과, 뇌물을 건넨 것으로 의심받고 있는 건설업체들은 모두 해당 지역의 시공사로 선정된 것으로 확인됐다. 관심을 끄는 것은 국내 굴지의 대형 건설업체인 D사가 3개 지역의 시공사로 단독 선정되거나 타 업체와 컨소시엄을 꾸려 선정됐다는 사실이다.
◆중간에 제3의 업체 내세워 제공 = 건설업체들은 재건축 재개발사업의 인허가와 조합 설립, 시공사 선정 등에 관여할 수 있는 도시정비업체에 적극적으로 로비했고 해당 지역의 정비업체인 L사는 우월적 지위를 활용해 금품을 챙겼다고 검찰은 전했다.
특히 이들 건설업체는 뇌물 제공 사실을 숨기기 위해 제3의 업체를 내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 상계4구역 재개발사업 시공사로 선정된 D건설은 정비업체인 L사의 소개로 용역업체 두 곳과 전수조사 계약을 체결하고 각각 4억원씩의 용역비를 지급했다. 또 부천 소사본 1-1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의 시공사로 선정된 또 다른 D건설은 공사 수주와 관련해 홍보대행사와 계약을 체결하고 3억원의 홍보비를 지급했다. 검찰은 용역업체와 홍보대행사에게 지급한 비용이 그대로 L사로 넘어간 것으로 보고 있다. 합법적인 비용처리를 했지만 실제로는 시공사 선정 청탁 대가 명목으로 건넨 뇌물이라는 것이다.
검찰 관계자는 “아직도 수사를 진행하고 있어 구체적으로 언급할 게 없다”고 말을 아꼈다.
검찰 안팎에서는 L사가 도시정비업계에서 차지했던 위치로 볼 때, 수사가 더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상위권에 속했던 L사와 연결되지 않은 건설업체가 없어 수사 결과에 따라서는 건설업계 전반에 상당한 파장을 줄 것으로 보인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L사의 김 사장이라면 모를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명 인사였다”며 “예전부터 시공사 선정과 관련해 각종 잡음이 끊이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업체, 시공사 선정과는 상관없는 일 = 이들 건설업체는 한결같이 뇌물 제공 혐의에 대해 전면 부인했다. L사와 홍보대행사, 용역업체간에 어떤 거래가 있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자신들과는 상관없는 일이라는 입장이다.
D건설 관계자는 “용역업체로부터 전수조사 성과물을 받는 등 계약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안다”며 “특히 수익성이 낮았던 상계4구역은 경쟁이 치열했던 곳이 아니라 굳이 금품을 제공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또 다른 D건설 관계자는 “수주와 관련해 홍보대행사를 선정해 일을 시킨 적은 있지만 L사 김 사장에게 금품을 주지는 않았다”고 해명했다. B건설 관계자도 “담당 부장이 검찰에 나가 조사는 받았지만 회사와는 관계가 없는 일로 정리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도피중인 L사의 김 모 사장이 체포되면 한층 더 수사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선상원 기자 wo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검찰에 따르면 김 전무는 L사 김 모 사장과 공모해 지난해말 D건설로부터 서울 상계4구역 주택재개발사업의 시공사로 선정해달라는 청탁과 함께 8억7000여만원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또 김 전무는 또 다른 D건설로부터 부천 소사본 1-1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의 시공사로 선정해달라는 부탁과 함께 3억6000여만원, B건설로부터 파주 문산선유지구 도시환경정비사업 시공사로 선정해달라는 청탁과 함께 3억2000여만원을 받은 혐의를 사고 있다.
신 담당도 김 모 사장과 공모해 지난해말 D건설로부터 서울 영등포 1-26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의 시공사로 선정해달라는 청탁과 함께 5000여만원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 조사 결과, 뇌물을 건넨 것으로 의심받고 있는 건설업체들은 모두 해당 지역의 시공사로 선정된 것으로 확인됐다. 관심을 끄는 것은 국내 굴지의 대형 건설업체인 D사가 3개 지역의 시공사로 단독 선정되거나 타 업체와 컨소시엄을 꾸려 선정됐다는 사실이다.
◆중간에 제3의 업체 내세워 제공 = 건설업체들은 재건축 재개발사업의 인허가와 조합 설립, 시공사 선정 등에 관여할 수 있는 도시정비업체에 적극적으로 로비했고 해당 지역의 정비업체인 L사는 우월적 지위를 활용해 금품을 챙겼다고 검찰은 전했다.
특히 이들 건설업체는 뇌물 제공 사실을 숨기기 위해 제3의 업체를 내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 상계4구역 재개발사업 시공사로 선정된 D건설은 정비업체인 L사의 소개로 용역업체 두 곳과 전수조사 계약을 체결하고 각각 4억원씩의 용역비를 지급했다. 또 부천 소사본 1-1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의 시공사로 선정된 또 다른 D건설은 공사 수주와 관련해 홍보대행사와 계약을 체결하고 3억원의 홍보비를 지급했다. 검찰은 용역업체와 홍보대행사에게 지급한 비용이 그대로 L사로 넘어간 것으로 보고 있다. 합법적인 비용처리를 했지만 실제로는 시공사 선정 청탁 대가 명목으로 건넨 뇌물이라는 것이다.
검찰 관계자는 “아직도 수사를 진행하고 있어 구체적으로 언급할 게 없다”고 말을 아꼈다.
검찰 안팎에서는 L사가 도시정비업계에서 차지했던 위치로 볼 때, 수사가 더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상위권에 속했던 L사와 연결되지 않은 건설업체가 없어 수사 결과에 따라서는 건설업계 전반에 상당한 파장을 줄 것으로 보인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L사의 김 사장이라면 모를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명 인사였다”며 “예전부터 시공사 선정과 관련해 각종 잡음이 끊이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업체, 시공사 선정과는 상관없는 일 = 이들 건설업체는 한결같이 뇌물 제공 혐의에 대해 전면 부인했다. L사와 홍보대행사, 용역업체간에 어떤 거래가 있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자신들과는 상관없는 일이라는 입장이다.
D건설 관계자는 “용역업체로부터 전수조사 성과물을 받는 등 계약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안다”며 “특히 수익성이 낮았던 상계4구역은 경쟁이 치열했던 곳이 아니라 굳이 금품을 제공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또 다른 D건설 관계자는 “수주와 관련해 홍보대행사를 선정해 일을 시킨 적은 있지만 L사 김 사장에게 금품을 주지는 않았다”고 해명했다. B건설 관계자도 “담당 부장이 검찰에 나가 조사는 받았지만 회사와는 관계가 없는 일로 정리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도피중인 L사의 김 모 사장이 체포되면 한층 더 수사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선상원 기자 wo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