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시장 침체가 지속되면서 법원 경매시장의 낙찰가율도 큰폭의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4일 부동산경매정보업체 디지털태인에 따르면 경기남부지역을 포함한 수도권 버블지역 아파트 낙찰가율이 13개월만에 80% 밑으로 떨어졌다.
지난달 버블지역아파트 낙찰가율은 지난 3월에 비해 2.27%포인트 하락한 79.68%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버블지역아파트 낙찰가율이 80%가 붕괴된 것은 지난 2009년 3월(79.89%)이후 13개월 만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분당과 용인의 낙찰가율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올 연말까지 1만 가구가 넘는 입주쇼크의 영향으로 매매시장에 급매물들이 쌓이면서 낙찰가율이 두 달 연속 70%대를 기록했다.
지난달 분당아파트 낙찰가율은 75.34%로 3월(79.37%)에 비해 4.03%포인트 하락했고, 용인도 같은 기간 동안 2.35%포인트 내리면서 76.41%를 기록했다.
지난달 19일 수원지법 성남지원에서 열린 경매에서 경기 성남 분당구 수내동 양지마을 금호 아파트(전용 134.48㎡)가 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면서 낙찰됐다. 낙찰가액은 6억1600만원으로 감정가 9억원의 68.44% 수준이다. 29일에는 용인시 신봉동 신봉자이1차 아파트(전용 133.81㎡)에 4명이 몰려 감정가 6억5000만원짜리 아파트가 70%인 4억5500만원에 낙찰됐다.
강남권(강남, 서초, 송파구)은 감정가 20억원이 넘는 주상복합아파트의 저가낙찰로 3·4월 이후 두 달 연속 하락했다. 반면 목동과 평촌은 전달에 비해 각각 1.83%포인트, 1.81%포인트 상승을 기록했다.
이정민 디지털태인 팀장은 “경매시장에서도 2~3회 유찰된 물건 아니면 입찰자들이 관심조차 보이지 않는다”며 “급락세가 진정되지 않는 이상 낙찰가율 하락세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오승완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4일 부동산경매정보업체 디지털태인에 따르면 경기남부지역을 포함한 수도권 버블지역 아파트 낙찰가율이 13개월만에 80% 밑으로 떨어졌다.
지난달 버블지역아파트 낙찰가율은 지난 3월에 비해 2.27%포인트 하락한 79.68%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버블지역아파트 낙찰가율이 80%가 붕괴된 것은 지난 2009년 3월(79.89%)이후 13개월 만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분당과 용인의 낙찰가율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올 연말까지 1만 가구가 넘는 입주쇼크의 영향으로 매매시장에 급매물들이 쌓이면서 낙찰가율이 두 달 연속 70%대를 기록했다.
지난달 분당아파트 낙찰가율은 75.34%로 3월(79.37%)에 비해 4.03%포인트 하락했고, 용인도 같은 기간 동안 2.35%포인트 내리면서 76.41%를 기록했다.
지난달 19일 수원지법 성남지원에서 열린 경매에서 경기 성남 분당구 수내동 양지마을 금호 아파트(전용 134.48㎡)가 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면서 낙찰됐다. 낙찰가액은 6억1600만원으로 감정가 9억원의 68.44% 수준이다. 29일에는 용인시 신봉동 신봉자이1차 아파트(전용 133.81㎡)에 4명이 몰려 감정가 6억5000만원짜리 아파트가 70%인 4억5500만원에 낙찰됐다.
강남권(강남, 서초, 송파구)은 감정가 20억원이 넘는 주상복합아파트의 저가낙찰로 3·4월 이후 두 달 연속 하락했다. 반면 목동과 평촌은 전달에 비해 각각 1.83%포인트, 1.81%포인트 상승을 기록했다.
이정민 디지털태인 팀장은 “경매시장에서도 2~3회 유찰된 물건 아니면 입찰자들이 관심조차 보이지 않는다”며 “급락세가 진정되지 않는 이상 낙찰가율 하락세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오승완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