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50대 젊은 환자 급증 … 3대 실명질환중 하나
주로 60세 이상 노년층의 눈 건강을 위협하는 황반변성이 40~50대 중년층까으로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망막학회(회장 김하경)는 강남성심병원, 경희대병원, 삼성서울병원 등 주요 서울 종합병원 3곳의 10년간 내원 환자를 분석한 결과, 새로 발생한 진행형 황반변성 환자는 2000년 64명에서 2009년 475명으로 7.4배나 증가했고 40, 50대 젊은 환자의 경우, 21명에서 187명으로 9배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조사 기간은 2000년부터 2009년까지이며, 이 기간 동안 전체 황반변성 신환 환자 수는 2390명이었다. 조사 환자의 연령은 40대부터였다.
황반변성은 휘어지고 구부러져 보이는 증상이 지속되다 점차 사물이 중앙으로 뭉쳐 보이게 되고 결국, 암점이 시야를 가려 실명에 이르게 되는 무서운 질환이다.
한국망막학회는 6월 한 달을 황반변성 질환을 알리는 캠페인 달로 제정, 대국민을 대상으로 황반변성의 위험성을 알리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예정이다.
한국망막학회 강세웅 홍보이사(삼성서울병원 안과 교수)는 “황반변성은 최근까지 60대 이상의 노년층에서 자주 발병하는 대표 노인성 망막질환으로 알려져 있었다”며, “상대적으로 젊은 40, 50대 중년층에서 발병률이 급증했다는 것이 자료 분석을 통해 이루어진 것은 처음이라 의미가 깊다”고 설명했다.
황반변성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건강한식습관과 과도한 자외선 노출을 피하고 흡연을 삼가며 1년에 2~3번 안과검사를 받는 게 좋다.
이 질환은 녹내장, 당뇨병성 망막증과 함께 실명을 일으키는 3대 안과질환이다.
범현주 기자 hjbeo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주로 60세 이상 노년층의 눈 건강을 위협하는 황반변성이 40~50대 중년층까으로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망막학회(회장 김하경)는 강남성심병원, 경희대병원, 삼성서울병원 등 주요 서울 종합병원 3곳의 10년간 내원 환자를 분석한 결과, 새로 발생한 진행형 황반변성 환자는 2000년 64명에서 2009년 475명으로 7.4배나 증가했고 40, 50대 젊은 환자의 경우, 21명에서 187명으로 9배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조사 기간은 2000년부터 2009년까지이며, 이 기간 동안 전체 황반변성 신환 환자 수는 2390명이었다. 조사 환자의 연령은 40대부터였다.
황반변성은 휘어지고 구부러져 보이는 증상이 지속되다 점차 사물이 중앙으로 뭉쳐 보이게 되고 결국, 암점이 시야를 가려 실명에 이르게 되는 무서운 질환이다.
한국망막학회는 6월 한 달을 황반변성 질환을 알리는 캠페인 달로 제정, 대국민을 대상으로 황반변성의 위험성을 알리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예정이다.
한국망막학회 강세웅 홍보이사(삼성서울병원 안과 교수)는 “황반변성은 최근까지 60대 이상의 노년층에서 자주 발병하는 대표 노인성 망막질환으로 알려져 있었다”며, “상대적으로 젊은 40, 50대 중년층에서 발병률이 급증했다는 것이 자료 분석을 통해 이루어진 것은 처음이라 의미가 깊다”고 설명했다.
황반변성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건강한식습관과 과도한 자외선 노출을 피하고 흡연을 삼가며 1년에 2~3번 안과검사를 받는 게 좋다.
이 질환은 녹내장, 당뇨병성 망막증과 함께 실명을 일으키는 3대 안과질환이다.
범현주 기자 hjbeo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