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0일부터 무기한 전면파업에 들어간 한국산업단지공단노조 농성장에 4일 공권력이 투입됐다.
하지만 공단이 운용하고 있는 구미·반월 열병합발전소 매각을 둘러싼 쟁점이 여전히 해결되지 않아, 파업 장기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경찰은 ‘공단 민영화’에 반대하며 춘천시 남산면 방하리 기화유스호스텔에서 5일째 농성을 벌이고 있던 공단노조 농성장에 11개 중대 1200여명의 공권력을 투입, 이미 체포영장이 발부돼 있던 윤진호 위원장 등 12명을 체포하고 농성을 벌이던 일반 노조원 200여명도 모두 연행, 구미와 안산의 관할경찰서로 넘겼다.
경찰은 4일 오전 9시 노사양측의 2차 협상이 결렬되자 바로 공권력을 투입, 9시 50분 모든 상황을 종료했으며 경찰과 노조원들 사이에 특별한 물리적 충돌은 없었다.
구미와 반월산업단지내 250여개 업체에 열을 공급하고 있는 산업단지공단노조는 민영화를 둘러싼 사측과의 교섭에 진전이 없자 지난달 30일 전면파업을 선언하고 200여명의 조합원들이 춘천으로 올라와 농성을 진행 중이었으며 추석에도 98%의 조합원들이 농성장을 떠나지 않고 있었다.
이번 파업과 관련해 구미발전소 쪽에서는 ‘업무방해혐의 및 집단에너지사업법’ 위반으로 18명을 고소하고, 반월발전소 쪽에서는 ‘집단에너지사업법’ 위반으로 22명을 고소했다.
민주노총 강원지역본부 관계자는 “이번 파업은 명백한 합법파업이었고 교섭기간 내내 불성실한 태도로 일관한 사측에 의해 촉발된 파업이었는데 노사관계에 공권력이 투입되는 악순환이 또다시 일어났다”고 말했다.
한편 공단 쪽은 “발전소가 민영화되더라도 직원들의 근로조건 승계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도록 돼 있는 데도 노조가 무리한 요구를 내세워 이견을 좁힐 수 없었다”고 주장했다.
반면 교섭권을 위임받은 공공연맹 관계자는 “사측이 노조의 민영화 방침 철회 요구와 관련 오로지 ‘모르쇠’로 일관했고 정부는 오로지 ‘공권력 투입’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면서 “제2의 투쟁지도부를 통해 전면적인 장기파업에 들어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따라 민영화와 구속자 처리문제 등과 관련 노사간의 이견이 좁혀지지 않을 경우 파업사태가 장기화될 수도 있어 구미·반월공단 입주업체들의 손실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지역산업계 안팎에서 일고 있다.
/ 춘천 전관석·구미 허신열 기자 syheo@naeil.com
하지만 공단이 운용하고 있는 구미·반월 열병합발전소 매각을 둘러싼 쟁점이 여전히 해결되지 않아, 파업 장기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경찰은 ‘공단 민영화’에 반대하며 춘천시 남산면 방하리 기화유스호스텔에서 5일째 농성을 벌이고 있던 공단노조 농성장에 11개 중대 1200여명의 공권력을 투입, 이미 체포영장이 발부돼 있던 윤진호 위원장 등 12명을 체포하고 농성을 벌이던 일반 노조원 200여명도 모두 연행, 구미와 안산의 관할경찰서로 넘겼다.
경찰은 4일 오전 9시 노사양측의 2차 협상이 결렬되자 바로 공권력을 투입, 9시 50분 모든 상황을 종료했으며 경찰과 노조원들 사이에 특별한 물리적 충돌은 없었다.
구미와 반월산업단지내 250여개 업체에 열을 공급하고 있는 산업단지공단노조는 민영화를 둘러싼 사측과의 교섭에 진전이 없자 지난달 30일 전면파업을 선언하고 200여명의 조합원들이 춘천으로 올라와 농성을 진행 중이었으며 추석에도 98%의 조합원들이 농성장을 떠나지 않고 있었다.
이번 파업과 관련해 구미발전소 쪽에서는 ‘업무방해혐의 및 집단에너지사업법’ 위반으로 18명을 고소하고, 반월발전소 쪽에서는 ‘집단에너지사업법’ 위반으로 22명을 고소했다.
민주노총 강원지역본부 관계자는 “이번 파업은 명백한 합법파업이었고 교섭기간 내내 불성실한 태도로 일관한 사측에 의해 촉발된 파업이었는데 노사관계에 공권력이 투입되는 악순환이 또다시 일어났다”고 말했다.
한편 공단 쪽은 “발전소가 민영화되더라도 직원들의 근로조건 승계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도록 돼 있는 데도 노조가 무리한 요구를 내세워 이견을 좁힐 수 없었다”고 주장했다.
반면 교섭권을 위임받은 공공연맹 관계자는 “사측이 노조의 민영화 방침 철회 요구와 관련 오로지 ‘모르쇠’로 일관했고 정부는 오로지 ‘공권력 투입’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면서 “제2의 투쟁지도부를 통해 전면적인 장기파업에 들어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따라 민영화와 구속자 처리문제 등과 관련 노사간의 이견이 좁혀지지 않을 경우 파업사태가 장기화될 수도 있어 구미·반월공단 입주업체들의 손실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지역산업계 안팎에서 일고 있다.
/ 춘천 전관석·구미 허신열 기자 syheo@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