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문화재 예방관리 모델 만들어(사진 있음)
문화재청, 현지실사 호평 ... 도 지정문화재까지 확대 필요
13일 오전 10시30분 전남 장성군 북이면 만무리 율정마을 서림사(書林祠). 비지정 문화재인 서림사는 1932년 도봉 공학원 선생이 마을 유생들을 교육하기 위해 세워졌다. 그러나 관리부실로 잡초만 무성한 채로 방치돼 있다. 누렇게 변한 한지 창호는 구멍이 숭숭 뚫려 있고, 방안은 온통 먼지투성이다. 현장을 둘러 본 문화재예방관리센터 기동수리반이 서둘러 낫 등 보수장비를 챙겨 잡초 제거에 나선다. 두 시간 남짓 잡초를 없애고 청소를 하자 서림사 모습이 완연히 달려졌다. 후손인 공재은(77)씨는 “농사일에 바빠서 미쳐 신경을 못 썼다”면서 “깔끔하게 변한 모습을 보니까 마음이 한결 가벼워진다”며 만족스러워했다.
문화재청과 전남도가 문화재 상시 예방관리제를 도입해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동안 문화재 관리정책은 부식이나 훼손 후 보수·보존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 때문에 문화재 원형보존이 불가능했고, 보수비용 또한 만만치 않았다.
문화재청과 전남도는 이에 따라 올해 시범사업으로 문화재 사전 예방관리제를 도입하고, 사업비 4억9000만원(국비 70%, 도비 30%)을 마련해 민간위탁 사업자를 선정했다.
사업을 맡은 문화재예방관리센터(예방관리센터)는 지난달 전남 전역에 흩어져 있는 금곡사 삼층석탑(보물) 등 국가지정문화재 72개소, 강진 병영마을담장 등 등록문화재 62개소, 시·군에서 관리하는 비지정문화재 255개소 등 모두 394개소를 사전 답사하고 관리방안을 마련했다. 사업내용이 세워지자 곧바로 잡초 제거, 배수로 정비, 문화재 주변 청소 등 경미 보수 50여건을 추진했다. 또 문화재 보존 상태를 한 눈에 알아보도록 사전 답사 및 보수 상황 등을 꼼꼼히 기록해 문화재청과 전남도에 보고했다.
이렇게 한 달 남짓 진행된 문화재 예방관리제는 의외의 성과를 만들었다.
우선 문화재 예방관리 시스템을 정착시켰다. 이 사업은 올해 처음 도입돼 구체적인 사업정형이 없는 상태였다. 하지만 전남도와 예방관리센터는 이 같은 여건에도 불구하고 ‘사전 답사-경미 보수- 관리실태 및 전문 보수 여부’ 등을 일원화하는 예방관리 시스템을 만들었다. 이와 더불어 예산절감 효과를 가져왔다.
이제 갓 실시된 사업이라 예산을 줄인 구체적 수치는 없다. 하지만 사후관리비용을 크게 줄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최근 현장을 다녀온 문화재청 이재원 사무관은 “예방관리제가 예산을 줄이면서도 사업효과를 극대화 한 것을 직접 확인했다”며 “이 사업을 전국으로 확대 할 방침이다”고 평가했다. 이밖에도 새로운 일자리 18개를 만들어 일석삼조의 효과를 내고 있다.
다만 아쉬운 것은 전남도 지정문화재가 예방관리대상에서 제외된 점이다. 현재 전남도 지정문화재는 유·무형을 포함해 724개. 이 문화재는 예방관리사업처럼 국·도비를 통해 관리 및 보수된다. 문화재청과 전남도는 사업의 중복을 우려해 예방관리대상에서 제외시켰다.
따라서 도 지정 문화재를 예방관리 하려면 별도의 ‘위탁관리 조례’를 만들어야할 상황이다. 김판암 전남도 문화예술과장은 “예방관리사업이 문화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상당한 도움을 주고 있다”면서 “도 지정문화재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남 방국진 기자 kjb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문화재청, 현지실사 호평 ... 도 지정문화재까지 확대 필요
13일 오전 10시30분 전남 장성군 북이면 만무리 율정마을 서림사(書林祠). 비지정 문화재인 서림사는 1932년 도봉 공학원 선생이 마을 유생들을 교육하기 위해 세워졌다. 그러나 관리부실로 잡초만 무성한 채로 방치돼 있다. 누렇게 변한 한지 창호는 구멍이 숭숭 뚫려 있고, 방안은 온통 먼지투성이다. 현장을 둘러 본 문화재예방관리센터 기동수리반이 서둘러 낫 등 보수장비를 챙겨 잡초 제거에 나선다. 두 시간 남짓 잡초를 없애고 청소를 하자 서림사 모습이 완연히 달려졌다. 후손인 공재은(77)씨는 “농사일에 바빠서 미쳐 신경을 못 썼다”면서 “깔끔하게 변한 모습을 보니까 마음이 한결 가벼워진다”며 만족스러워했다.
문화재청과 전남도가 문화재 상시 예방관리제를 도입해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동안 문화재 관리정책은 부식이나 훼손 후 보수·보존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 때문에 문화재 원형보존이 불가능했고, 보수비용 또한 만만치 않았다.
문화재청과 전남도는 이에 따라 올해 시범사업으로 문화재 사전 예방관리제를 도입하고, 사업비 4억9000만원(국비 70%, 도비 30%)을 마련해 민간위탁 사업자를 선정했다.
사업을 맡은 문화재예방관리센터(예방관리센터)는 지난달 전남 전역에 흩어져 있는 금곡사 삼층석탑(보물) 등 국가지정문화재 72개소, 강진 병영마을담장 등 등록문화재 62개소, 시·군에서 관리하는 비지정문화재 255개소 등 모두 394개소를 사전 답사하고 관리방안을 마련했다. 사업내용이 세워지자 곧바로 잡초 제거, 배수로 정비, 문화재 주변 청소 등 경미 보수 50여건을 추진했다. 또 문화재 보존 상태를 한 눈에 알아보도록 사전 답사 및 보수 상황 등을 꼼꼼히 기록해 문화재청과 전남도에 보고했다.
이렇게 한 달 남짓 진행된 문화재 예방관리제는 의외의 성과를 만들었다.
우선 문화재 예방관리 시스템을 정착시켰다. 이 사업은 올해 처음 도입돼 구체적인 사업정형이 없는 상태였다. 하지만 전남도와 예방관리센터는 이 같은 여건에도 불구하고 ‘사전 답사-경미 보수- 관리실태 및 전문 보수 여부’ 등을 일원화하는 예방관리 시스템을 만들었다. 이와 더불어 예산절감 효과를 가져왔다.
이제 갓 실시된 사업이라 예산을 줄인 구체적 수치는 없다. 하지만 사후관리비용을 크게 줄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최근 현장을 다녀온 문화재청 이재원 사무관은 “예방관리제가 예산을 줄이면서도 사업효과를 극대화 한 것을 직접 확인했다”며 “이 사업을 전국으로 확대 할 방침이다”고 평가했다. 이밖에도 새로운 일자리 18개를 만들어 일석삼조의 효과를 내고 있다.
다만 아쉬운 것은 전남도 지정문화재가 예방관리대상에서 제외된 점이다. 현재 전남도 지정문화재는 유·무형을 포함해 724개. 이 문화재는 예방관리사업처럼 국·도비를 통해 관리 및 보수된다. 문화재청과 전남도는 사업의 중복을 우려해 예방관리대상에서 제외시켰다.
따라서 도 지정 문화재를 예방관리 하려면 별도의 ‘위탁관리 조례’를 만들어야할 상황이다. 김판암 전남도 문화예술과장은 “예방관리사업이 문화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상당한 도움을 주고 있다”면서 “도 지정문화재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남 방국진 기자 kjb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