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활성화 걱정된다.
접근성 떨어지고 이용인천국제공항 료 높아 항공사 여행객들 불만
인천공항 재정부담 문제등 설계 용역때부터 잘못됐다.
인천국제공항의 개항이 내년 3월로 다가왔으나 공항시설이용료등이 김포공항보다 높은데다 공항접근도 상대적으로 불편해 조기활성화가 우려된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등 항공사들에 따르면 인천국제공항으로 이전때 공항시설사용료가 높고 도심에서 멀어지는 데 따르는 물류비용, 김포,인천 양쪽 공항을 관리해야하는 등 추가비용이 연간 700억원에서 2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아시아나 관계자는 “이전한다고 금방 새로운 수요가 생기는 것도 아니고 요금인상도 어려운 형편이라 인천공항 이전이 걱정거리다. 국적 항공사야 어쩔수없이 들어가겠지만 외국항공사와 여행사들은 반발이 심하다”며 “인천공항의 재정구조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료 등을 지나치게 올려받고 있다”고 말했다.
대한항공 관계자도 “정부 출자분이 40%밖에 안되고 60%부분에 대한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차입금리가 높아 공항의 운영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를 항공사 등에 전가시키려는 것은 모순 ”이라고 지적했다.
공항접근성도 큰 문제거리가 되고 있다.
서울역 또는 김포공항에서 인천공항까지 연결하는 신공항철도는 빨라야 2005년 완공예정이고 신공항고속도로가 유일해 국내선 이용객이 다시 고속도로를 이용해야한다. 특히 지방 여행객들은 일본이나 중국등 단거리 여행때도 지방-김포-인천으로 갈아타야하는 불편 때문에 국제노선이 없는 지방민의 불편이 예상된다.
특히 국내선과 국제선 연결서비스에 대해 항공사들이 비용을 부담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어서 인천공항 이전에 따른 비용과 불편은 소비자들이 떠안을 수밖에 없다.
또 김포공항에서 인천공항까지의 접근수단이 당분간 신공항고속도로 뿐이어서 정시성이 생명인 국제선의 이용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재정구조 문제
감사원의 인천국제공항에 대한 감사결과에 따르면 인천국제공항이 내년 3월 정식개항이후에도 장기간 경영적자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항공사들의 불만이 이만저만이 아닌데다 개항초기 지방여행객등 국제선 이용객의 편의를 위한 대책이 전무하다시피해 개항초기 운영활성화에 비상이 걸렸다.감사원은 인천국제공항은 92년 6월부터 99년 11월까지 기본계획이 3차례 수정되고 5차례의 사업비 변경으로 총사업비가 3조4165억원에서 7조9984억원으로 눈덩이처럼 불어났다고 밝혔다.특히 재정부담을 줄이기위해 95년 11월 두 번째로 기본계획을 변경하는 과정에서 국고지원을 40%로 제한하고 나머지 60%는 인천국게공항공사가 자체조달하도록 한 것이 ‘화근’이었다고 감사원 관계자는 밝혔다.
바로 이부분이 문제. 외국의 공항건설사례를 볼 때 50∼60%의 국고지원이 이뤄지는 것이 타당하지만 주먹구구식 정책 결과 인천국제공항은 지난 3월현재 3조959억원의 부채를 떠안게 됐다.특단의 대책이 없으면 한 국민의 혈세로 명맥을 유지하는 ‘애물단지’로 전락할 가능성을 배제할수없다는 지적이다.
재정구조가 나쁜만큼 공항시설이용료 등을 올려받을 수밖에 없고 이는 결국 항공사나 여행사등 의 입주를 늦추게되는 결과로 작용할 수밖에 없어 공항조기활성화에 결정적인 부담으로 작용 할 수밖에 없다.
설계용역단계부터 잘못
항공관계전문가들은 인천국제공항은 용역단계부터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대단위 국책사업이면 공항건설에 따른 비용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이의 부담이 합리적으로 처리돼야했지만 모자라면 정부가 메워주겠지하는 안이한 대처로 문제가 발생됐다는 지적이다.
항공관련 한 전문가는 “국제공항이 들어서면 최소한 비행기에 대한 재산세로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세 수입이 60억원 이상에 달하고 신공항 건설에 따른 막대한 경제적 이득이 발생하지만 지방자치단체의 참여방안에 대한 고려가 없었다”며 “정부 소유분을 공유하면서 비용을 분담하게하는등 선진금융기법의 활용에 대해 정부가 제 역할을 못했다 ”고 지적했다.
항공사 관계자는 “결국 이같은 문제에대한 근본적인 해결책 없이 이런 저런 비용을 공항입주사들에게 분담시키려한다면 그만큼 공항의 조기활성화는 어려울 수밖에 없고 동북아의 허브공항으로 발돋움 한다는 취지는 무색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접근성 떨어지고 이용인천국제공항 료 높아 항공사 여행객들 불만
인천공항 재정부담 문제등 설계 용역때부터 잘못됐다.
인천국제공항의 개항이 내년 3월로 다가왔으나 공항시설이용료등이 김포공항보다 높은데다 공항접근도 상대적으로 불편해 조기활성화가 우려된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등 항공사들에 따르면 인천국제공항으로 이전때 공항시설사용료가 높고 도심에서 멀어지는 데 따르는 물류비용, 김포,인천 양쪽 공항을 관리해야하는 등 추가비용이 연간 700억원에서 2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아시아나 관계자는 “이전한다고 금방 새로운 수요가 생기는 것도 아니고 요금인상도 어려운 형편이라 인천공항 이전이 걱정거리다. 국적 항공사야 어쩔수없이 들어가겠지만 외국항공사와 여행사들은 반발이 심하다”며 “인천공항의 재정구조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료 등을 지나치게 올려받고 있다”고 말했다.
대한항공 관계자도 “정부 출자분이 40%밖에 안되고 60%부분에 대한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차입금리가 높아 공항의 운영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를 항공사 등에 전가시키려는 것은 모순 ”이라고 지적했다.
공항접근성도 큰 문제거리가 되고 있다.
서울역 또는 김포공항에서 인천공항까지 연결하는 신공항철도는 빨라야 2005년 완공예정이고 신공항고속도로가 유일해 국내선 이용객이 다시 고속도로를 이용해야한다. 특히 지방 여행객들은 일본이나 중국등 단거리 여행때도 지방-김포-인천으로 갈아타야하는 불편 때문에 국제노선이 없는 지방민의 불편이 예상된다.
특히 국내선과 국제선 연결서비스에 대해 항공사들이 비용을 부담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어서 인천공항 이전에 따른 비용과 불편은 소비자들이 떠안을 수밖에 없다.
또 김포공항에서 인천공항까지의 접근수단이 당분간 신공항고속도로 뿐이어서 정시성이 생명인 국제선의 이용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재정구조 문제
감사원의 인천국제공항에 대한 감사결과에 따르면 인천국제공항이 내년 3월 정식개항이후에도 장기간 경영적자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항공사들의 불만이 이만저만이 아닌데다 개항초기 지방여행객등 국제선 이용객의 편의를 위한 대책이 전무하다시피해 개항초기 운영활성화에 비상이 걸렸다.감사원은 인천국제공항은 92년 6월부터 99년 11월까지 기본계획이 3차례 수정되고 5차례의 사업비 변경으로 총사업비가 3조4165억원에서 7조9984억원으로 눈덩이처럼 불어났다고 밝혔다.특히 재정부담을 줄이기위해 95년 11월 두 번째로 기본계획을 변경하는 과정에서 국고지원을 40%로 제한하고 나머지 60%는 인천국게공항공사가 자체조달하도록 한 것이 ‘화근’이었다고 감사원 관계자는 밝혔다.
바로 이부분이 문제. 외국의 공항건설사례를 볼 때 50∼60%의 국고지원이 이뤄지는 것이 타당하지만 주먹구구식 정책 결과 인천국제공항은 지난 3월현재 3조959억원의 부채를 떠안게 됐다.특단의 대책이 없으면 한 국민의 혈세로 명맥을 유지하는 ‘애물단지’로 전락할 가능성을 배제할수없다는 지적이다.
재정구조가 나쁜만큼 공항시설이용료 등을 올려받을 수밖에 없고 이는 결국 항공사나 여행사등 의 입주를 늦추게되는 결과로 작용할 수밖에 없어 공항조기활성화에 결정적인 부담으로 작용 할 수밖에 없다.
설계용역단계부터 잘못
항공관계전문가들은 인천국제공항은 용역단계부터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대단위 국책사업이면 공항건설에 따른 비용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이의 부담이 합리적으로 처리돼야했지만 모자라면 정부가 메워주겠지하는 안이한 대처로 문제가 발생됐다는 지적이다.
항공관련 한 전문가는 “국제공항이 들어서면 최소한 비행기에 대한 재산세로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세 수입이 60억원 이상에 달하고 신공항 건설에 따른 막대한 경제적 이득이 발생하지만 지방자치단체의 참여방안에 대한 고려가 없었다”며 “정부 소유분을 공유하면서 비용을 분담하게하는등 선진금융기법의 활용에 대해 정부가 제 역할을 못했다 ”고 지적했다.
항공사 관계자는 “결국 이같은 문제에대한 근본적인 해결책 없이 이런 저런 비용을 공항입주사들에게 분담시키려한다면 그만큼 공항의 조기활성화는 어려울 수밖에 없고 동북아의 허브공항으로 발돋움 한다는 취지는 무색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