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을 전후해 국내에서 국군과 미군 등에 의해 일어난 민간인 학살이 총 73건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민주노총 민변 등 62개 시민사회단체가 결성한 ‘민간인학살 특별법 제정을 위한 전국공동대책위원회’(상임대표 한상범)는 22일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회관에서 출범식을 열고 “한국 전쟁 전후의 민간인 학살 사건으로 국방부에 접수된 것은 국군에 의한 것이 19건 사망자는 2만2200여명이며, 미군·캐나다군에 의한 학살은 54건으로 피해자는 1600여명인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공동대책위는 “이중 경북 문경과 전남 함평에서 벌어진 학살의 경우 국방부의 실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진상 공개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공동대책위 관계자는 “조사 결과 학살은 부녀자와 어린이 등 피난민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하게 벌어졌으며 이들이 무고한 민간인임을 확인한 후에도 기총소사를 가한 것이 전국적인 현상이었다”며 “피난민 중 공산주의자가 섞여있을 것이라는 의심이 잔인한 학살의 이유였다”고 밝혔다.
공동대책위는 앞으로 지난달 6일 국회의원 47명의 발의로 국회에 제출한 ‘한국전쟁전후 민간인 희생사건 진상규명과 희생자 명예회복 등에 관한 특별법’의 정기국회 통과를 촉구하고, 이 법안이 통과되지 않을 경우 내년 2월로 예정된 유엔인권위에 한국정부를 제소키로 했다.
민주노총 민변 등 62개 시민사회단체가 결성한 ‘민간인학살 특별법 제정을 위한 전국공동대책위원회’(상임대표 한상범)는 22일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회관에서 출범식을 열고 “한국 전쟁 전후의 민간인 학살 사건으로 국방부에 접수된 것은 국군에 의한 것이 19건 사망자는 2만2200여명이며, 미군·캐나다군에 의한 학살은 54건으로 피해자는 1600여명인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공동대책위는 “이중 경북 문경과 전남 함평에서 벌어진 학살의 경우 국방부의 실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진상 공개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공동대책위 관계자는 “조사 결과 학살은 부녀자와 어린이 등 피난민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하게 벌어졌으며 이들이 무고한 민간인임을 확인한 후에도 기총소사를 가한 것이 전국적인 현상이었다”며 “피난민 중 공산주의자가 섞여있을 것이라는 의심이 잔인한 학살의 이유였다”고 밝혔다.
공동대책위는 앞으로 지난달 6일 국회의원 47명의 발의로 국회에 제출한 ‘한국전쟁전후 민간인 희생사건 진상규명과 희생자 명예회복 등에 관한 특별법’의 정기국회 통과를 촉구하고, 이 법안이 통과되지 않을 경우 내년 2월로 예정된 유엔인권위에 한국정부를 제소키로 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