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기금펀드, 증시부양‘반짝’효과 우려
외국인 매물 소화도 벅차 침체장 반전 역부족…분위기 띄우기 그칠 듯
지역내일
2000-10-26
(수정 2000-10-27 오전 11:17:17)
연기금 펀드가 다음주 본격 주식투자에 나서지만 침체된 장세를 돌리기엔 역부족인 것으로 지적됐다. 국민연금
이 빠르면 30일부터 3000억원의 주식운용 펀드를 조성키로 한데 이어 정보통신부가 이 달 내에 2000억원을 증
시에 투입키로 하는 등 증시부양에 본격 나서지만 펀드규모나 증시 주변여건을 고려할 때‘반짝효과’에 그칠
것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26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국민연금이 연말까지 총 8000억원 규모의 주식운용펀드를 6개 투신사에 조성키로 하고
1차로 3000억원을 30일 즉시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또 체신예금 등을 운용하는 정통부가 이달내에 2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하고 26일과 27일 이틀간 투신사 운용설명회를 듣고 6개 투신사에 각각 500억원씩 자금을 배분키로
했다.
이에 따라 다음주부터 연말까지 연기금과 체신연금을 포함 총 1조원의 자금이 증시로 유입될 전망이다. 특히 실
제로 연기금 펀드가 본격 가동되는 다음주가 증시전환의 돌파구냐 아니면 효과반감에 따른 침체장기화냐의 기
로다.
◇시장 반응은 냉랭=국민연금에 이어 정통부 체신연금이 본격 주식투자에 나선다는 소식이 전해진 26일 주가는
18포인트 하락하며 이틀연속 내리막을 탔다. 특히 연기금 펀드 등 대형자금들이 주로 매수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
로 지목된 삼성전자 삼성전기 전기초자 등 대형주들은 기대와는 달리 큰 폭으로 주가가 빠졌다. 이미 알려진 재
료인데다 시장에서 연기금 투자에 대해 큰 기대를 걸고 있지 않다는 반응이었다.
특히 정통부에 이어 공무원연금과 사학연금도 조만간 투자방침을 정하고 투신사 선정에 나설 예정인 것으로 전
해졌지만 역시 투자자들로부터 주목을 받지 못했다. 재정경제부가 주도가 돼 연기금들의 주식투자를 종용하고
있다는 소식은 되레 시장의 반감을 샀다.
또 이날 미래에셋자산운용이 뮤추얼펀드인 ‘박현주 자산배분형1호’를 준개방형으로 전환하는 주주총회를 개
최했지만 대부분의 주주가 반대해 부결됐다. 분위기는 험악했다고 전해진다. 미래에셋자산운용측이 30%가까운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전환을 권했지만 투자자들은 “빨리 청산하고 잊고 싶다”는 입장이었다.
◇외국인 하루 순매도 2000억원=전문가들이 증시부양을 위한 연기금펀드 주식투자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보
이는 가장 큰 이유는 규모다. 국민연금 체신연금 공무원 연금 등을 합쳐야 주식투자를 할 수 있는 규모는 기껏해
야 1조원 대를 갓 넘는 수준이다. 외국인은 하루에 많을 땐 3000억원 적을 땐 1000억원 안팎의 순매도 공세를 펼
치고 있다. 때문에 이 정도 규모로는 적게 잡아도 외국인이 10일 간 순매도하는 물량을 소화해 낼 수 있는 정도
다.
또 연기금펀드가 일시에 증시로 유입되는 것을 기대하기도 힘든 상황이다. 연기금이든 투신운용사든 최근 장세
전망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무차별적으로 주식을 매수하기는 너무 위험하기 때문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 투자자
들의 준개방형 전환 반대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 할 수 있는 사건이다.
◇증시 전망 갈수록 불투명=이상진 제일투신증권 팀장은 “연기금 펀드가 증시로 들어오면 단기 효과는 기대할
수 있지만 하루 이틀 정도로 그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 팀장은 또 내달초 은행권의 퇴출기업 확정으로 퇴출대상에서 제외된 기업을 대상으로 일반인들의 매수세가
일시 모이는 시점에서 연기금 펀드가 일시 상승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지만 역시 오래가기 힘들다고 덧붙였다.
일부 개별주들의 이상 급등 재료나 이유로 연기금 유입이 거론 될 수 있을 정도라는 얘기다.
또 이번주 들어 제2의 한국디지탈라인 종목들이 많다는 루머가 나돌며 투자자들의 심리를 옥죄고 있다. 특히 다
음주중 일부 코스닥등록 기업의 부도설이 도는 코스닥시장은 투자심리가 흉흉하다.
투신사 한 펀드매니저는 “지금도 투신권에 주식을 살 수 있는 실탄은 충분하다. 투신사들이 돈이 없어 못 사는
것이 아니다. 증시전망이 워낙 불투명하기 때문에 쉽게 들어 가지 못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외국인이 줄기차게 사주지 않은 한 정부가 제시한 연기금펀드라는 증시부양 카드는 분위기 띄우기에 그칠 전망
이다.
이 빠르면 30일부터 3000억원의 주식운용 펀드를 조성키로 한데 이어 정보통신부가 이 달 내에 2000억원을 증
시에 투입키로 하는 등 증시부양에 본격 나서지만 펀드규모나 증시 주변여건을 고려할 때‘반짝효과’에 그칠
것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26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국민연금이 연말까지 총 8000억원 규모의 주식운용펀드를 6개 투신사에 조성키로 하고
1차로 3000억원을 30일 즉시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또 체신예금 등을 운용하는 정통부가 이달내에 2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하고 26일과 27일 이틀간 투신사 운용설명회를 듣고 6개 투신사에 각각 500억원씩 자금을 배분키로
했다.
이에 따라 다음주부터 연말까지 연기금과 체신연금을 포함 총 1조원의 자금이 증시로 유입될 전망이다. 특히 실
제로 연기금 펀드가 본격 가동되는 다음주가 증시전환의 돌파구냐 아니면 효과반감에 따른 침체장기화냐의 기
로다.
◇시장 반응은 냉랭=국민연금에 이어 정통부 체신연금이 본격 주식투자에 나선다는 소식이 전해진 26일 주가는
18포인트 하락하며 이틀연속 내리막을 탔다. 특히 연기금 펀드 등 대형자금들이 주로 매수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
로 지목된 삼성전자 삼성전기 전기초자 등 대형주들은 기대와는 달리 큰 폭으로 주가가 빠졌다. 이미 알려진 재
료인데다 시장에서 연기금 투자에 대해 큰 기대를 걸고 있지 않다는 반응이었다.
특히 정통부에 이어 공무원연금과 사학연금도 조만간 투자방침을 정하고 투신사 선정에 나설 예정인 것으로 전
해졌지만 역시 투자자들로부터 주목을 받지 못했다. 재정경제부가 주도가 돼 연기금들의 주식투자를 종용하고
있다는 소식은 되레 시장의 반감을 샀다.
또 이날 미래에셋자산운용이 뮤추얼펀드인 ‘박현주 자산배분형1호’를 준개방형으로 전환하는 주주총회를 개
최했지만 대부분의 주주가 반대해 부결됐다. 분위기는 험악했다고 전해진다. 미래에셋자산운용측이 30%가까운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전환을 권했지만 투자자들은 “빨리 청산하고 잊고 싶다”는 입장이었다.
◇외국인 하루 순매도 2000억원=전문가들이 증시부양을 위한 연기금펀드 주식투자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보
이는 가장 큰 이유는 규모다. 국민연금 체신연금 공무원 연금 등을 합쳐야 주식투자를 할 수 있는 규모는 기껏해
야 1조원 대를 갓 넘는 수준이다. 외국인은 하루에 많을 땐 3000억원 적을 땐 1000억원 안팎의 순매도 공세를 펼
치고 있다. 때문에 이 정도 규모로는 적게 잡아도 외국인이 10일 간 순매도하는 물량을 소화해 낼 수 있는 정도
다.
또 연기금펀드가 일시에 증시로 유입되는 것을 기대하기도 힘든 상황이다. 연기금이든 투신운용사든 최근 장세
전망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무차별적으로 주식을 매수하기는 너무 위험하기 때문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 투자자
들의 준개방형 전환 반대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 할 수 있는 사건이다.
◇증시 전망 갈수록 불투명=이상진 제일투신증권 팀장은 “연기금 펀드가 증시로 들어오면 단기 효과는 기대할
수 있지만 하루 이틀 정도로 그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 팀장은 또 내달초 은행권의 퇴출기업 확정으로 퇴출대상에서 제외된 기업을 대상으로 일반인들의 매수세가
일시 모이는 시점에서 연기금 펀드가 일시 상승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지만 역시 오래가기 힘들다고 덧붙였다.
일부 개별주들의 이상 급등 재료나 이유로 연기금 유입이 거론 될 수 있을 정도라는 얘기다.
또 이번주 들어 제2의 한국디지탈라인 종목들이 많다는 루머가 나돌며 투자자들의 심리를 옥죄고 있다. 특히 다
음주중 일부 코스닥등록 기업의 부도설이 도는 코스닥시장은 투자심리가 흉흉하다.
투신사 한 펀드매니저는 “지금도 투신권에 주식을 살 수 있는 실탄은 충분하다. 투신사들이 돈이 없어 못 사는
것이 아니다. 증시전망이 워낙 불투명하기 때문에 쉽게 들어 가지 못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외국인이 줄기차게 사주지 않은 한 정부가 제시한 연기금펀드라는 증시부양 카드는 분위기 띄우기에 그칠 전망
이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