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지역 학부모들이 교복공동구매에 나섰다.
광명지역 8개 초·중학교 학부모들은 지난 5일 광명7동 새마을회관에서 ‘광명시 교복공동구매 추진위원회’ 발족식을 갖고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했다.
이날 학부모들은 “안양 안산 시흥 군포 등 인근 도시들은 교복공동구매를 추진,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있다”며 “소비자들의 정당한 권리를 찾기 위해 광명에서도 교복공동구매를 성사시켜야 한다”고 결의했다.
이를 위해 학부모들은 각 학교별로 학교운영위원회나 학부모회를 중심으로 교복공동구매소위원회를 구성하고 교복원가 및 품질조사에 들어가기로 했다.
현재 교복공동구매를 준비중인 학교는 광남중, 광문여중, 철산여중 등 중학교 3개교와 서·남·광일·광문·온신 등 5개 초등학교이다.
김재정(42·광명경실련 상임집행위원) 광명시교복공동구매추진위원장은 “경실련 등 광명지역 시민단체가 몇차례 교복공동구매를 추진했지만 준비부족, 업체 반발 등으로 실패했다”며 “처음부터 전체 학교를 대상으로 하기보다 준비된 학교별로 추진, 성공사례를 남기는 게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김 위원장은 “최근 공정거래위원회, 서울시교육청의 교복선정 관련 지침 등을 보면 교복공동구매에 상당히 긍정적인 개관적 조건이 형성되고 있다”며 “학부모들의 관심과 동참만 있다면 성공을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그는 “대기업 3사의 교복값은 현재 17만원∼21만원선이나 인근 안산의 경우, 동복을 10만원∼11만원선에서 구입했다”며 “공동구매가 성공적으로 자리잡게 되면 하복, 체육복 등도 추진해 최소 1인당 10만원 이상 절약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최근 서울지역은 신입생도 입학식 때 사복 착용을 허용해 학부모 모임이 만들어지기 전에 교복을 사야했던 신입생들도 교복공동구매가 가능할 수 있게 됐다.
광명지역 8개 초·중학교 학부모들은 지난 5일 광명7동 새마을회관에서 ‘광명시 교복공동구매 추진위원회’ 발족식을 갖고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했다.
이날 학부모들은 “안양 안산 시흥 군포 등 인근 도시들은 교복공동구매를 추진,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있다”며 “소비자들의 정당한 권리를 찾기 위해 광명에서도 교복공동구매를 성사시켜야 한다”고 결의했다.
이를 위해 학부모들은 각 학교별로 학교운영위원회나 학부모회를 중심으로 교복공동구매소위원회를 구성하고 교복원가 및 품질조사에 들어가기로 했다.
현재 교복공동구매를 준비중인 학교는 광남중, 광문여중, 철산여중 등 중학교 3개교와 서·남·광일·광문·온신 등 5개 초등학교이다.
김재정(42·광명경실련 상임집행위원) 광명시교복공동구매추진위원장은 “경실련 등 광명지역 시민단체가 몇차례 교복공동구매를 추진했지만 준비부족, 업체 반발 등으로 실패했다”며 “처음부터 전체 학교를 대상으로 하기보다 준비된 학교별로 추진, 성공사례를 남기는 게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김 위원장은 “최근 공정거래위원회, 서울시교육청의 교복선정 관련 지침 등을 보면 교복공동구매에 상당히 긍정적인 개관적 조건이 형성되고 있다”며 “학부모들의 관심과 동참만 있다면 성공을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그는 “대기업 3사의 교복값은 현재 17만원∼21만원선이나 인근 안산의 경우, 동복을 10만원∼11만원선에서 구입했다”며 “공동구매가 성공적으로 자리잡게 되면 하복, 체육복 등도 추진해 최소 1인당 10만원 이상 절약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최근 서울지역은 신입생도 입학식 때 사복 착용을 허용해 학부모 모임이 만들어지기 전에 교복을 사야했던 신입생들도 교복공동구매가 가능할 수 있게 됐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