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지에 숨겨놓은 내면을 들춰보다
편지로 읽는 슬픔과 기쁨
강인숙 지음. 마음산책. 1만6천원
작가들이 그들의 작품에서 보여주는 것은 어디까지나 작품이다. 그래서 작가의 내면을 옅보기가 상당히 힘들다.
그들이 은밀하게 쓴 편지는 어떨까. 편지는 1인칭으로 쓰인 작가의 육성이고, 내면의 직역본이다. 작가의 내밀한 세계가 분장없이 노출된다. 편지는 개인의 내면 가장 깊숙한 곳의 풍경을 보여주는 내시경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 아침 8시에 눈을 뜨고 이 편지를 씁니다. 어제 행사 후 일행들과 술을 마신다는 게 새벽 두 시까지 마셨으니 이틀에 걸친 과음을 한 셈입니다. 여기 올 때 집에 있는 예쁜 카드를 가지고 오는 걸 잊어 호텔방에 있는 편지지를 펼치고 축하인사를 쓰려니 카드보다 지면이 넓어 수다를 떨 것 같은 예감이 듭니다… 수녀님의 문학은 제가 이 지상에 속해 있다는 걸 가르쳐주셨습니다. 마치 걸음마를 배우듯이 가장 미소한 것의 아름다움에서 기쁨을 느끼는 법을 배웠습니다."
마치 걸음마를 배우듯 조심스럽게 써 내려간 이 편지는 강원도의 한 호텔에서 이해인 수녀에게 고 박완서 작가가 보낸 것이다. '민들레의 영토' 출간 30년을 축하하기 위해 글을 쓰면서, 두 사람의 첫 만남을 더듬는다.
박완서 선생이 작고한 후 그를 잃은 애통 속에서 이해인 수녀는 이 편지를 보내왔다. 그리움으로 그 이름을 소리쳐 부르는 초혼의 행사처럼, 이 편지는 이제 가슴으로 읽히는 글이 됐다.
소설가 조정래씨가 부인에게 보낸 편지도 공개됐다. "사랑하는 여보, 초혜! 가을밤이 깊어가고 있소. 당신이 떠난 그 순간부터 가을은 문득 깊어져 내 시간을 쓸쓸한 적막으로 채우고 있소. 당신과의 23년 세월, 세월이 쌓일수록 당신을 아내로 얻었음을 하늘에 감사하게 되오… 부끄러운 듯 숨어 있는 흰 머리카락들마저 대견하고 사랑스러웠소. 그래서 물을 들이지 말라, 고 했었던 것인데… 혼자 자는 잠자리가 춥겠소." 얼핏 읽기엔 낯부끄러운 대사들이 있지만, 결혼 23년차의 남편이 아내를 위해 할 수 있는 최고의 헌사가 담겼다. 부인 김초혜 시인에 대한 충만한 사랑을 볼 수 있다.
이처럼 남의 편지를 읽는 즐거움은 수신인의 개별성에 기인하기도 한다. 편지에는 수신인이 정해져 있다는 특징이 있다. 즉 소설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지만, 편지는 읽는 사람이 정해져 있다. 그래서 내면성을 중시하던 낭만주의자들은 소설 속에 편지를 삽입했고, 더러는 편지 형식으로 소설을 쓰기도 했다.
하지만 문인들의 편지는 구하기가 아주 어렵다. 두 차례의 전쟁을 겪는 과정에서 대부분이 유실됐다. 남아 있는 편지도 농밀한 내용을 담은 사랑 편지나 사생활이 지나치게 노출되는 것은 수신인들이 내놓지 않는다. 그래서 문인의 육필 편지는 희소가치를 가진다.
이 책 '편지로 읽는 슬픔과 기쁨'은 예술가들의 육필 편지 49편을 소개한다. 노천명 시인에서 아티스트 백남준까지. 강인숙 영인문학관장은 이 책을 펴내며 "발자크가 연인인 한스카 부인에게 쓴 편지에서, 저명한 문인의 글을 혼자 독점하는 편지가 얼마나 큰 호사인가를 언급했다는 말을 들었다. 그런 호사를 누려보기를 권하고 싶다"고 밝혔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편지로 읽는 슬픔과 기쁨
강인숙 지음. 마음산책. 1만6천원
작가들이 그들의 작품에서 보여주는 것은 어디까지나 작품이다. 그래서 작가의 내면을 옅보기가 상당히 힘들다.
그들이 은밀하게 쓴 편지는 어떨까. 편지는 1인칭으로 쓰인 작가의 육성이고, 내면의 직역본이다. 작가의 내밀한 세계가 분장없이 노출된다. 편지는 개인의 내면 가장 깊숙한 곳의 풍경을 보여주는 내시경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 아침 8시에 눈을 뜨고 이 편지를 씁니다. 어제 행사 후 일행들과 술을 마신다는 게 새벽 두 시까지 마셨으니 이틀에 걸친 과음을 한 셈입니다. 여기 올 때 집에 있는 예쁜 카드를 가지고 오는 걸 잊어 호텔방에 있는 편지지를 펼치고 축하인사를 쓰려니 카드보다 지면이 넓어 수다를 떨 것 같은 예감이 듭니다… 수녀님의 문학은 제가 이 지상에 속해 있다는 걸 가르쳐주셨습니다. 마치 걸음마를 배우듯이 가장 미소한 것의 아름다움에서 기쁨을 느끼는 법을 배웠습니다."
마치 걸음마를 배우듯 조심스럽게 써 내려간 이 편지는 강원도의 한 호텔에서 이해인 수녀에게 고 박완서 작가가 보낸 것이다. '민들레의 영토' 출간 30년을 축하하기 위해 글을 쓰면서, 두 사람의 첫 만남을 더듬는다.
박완서 선생이 작고한 후 그를 잃은 애통 속에서 이해인 수녀는 이 편지를 보내왔다. 그리움으로 그 이름을 소리쳐 부르는 초혼의 행사처럼, 이 편지는 이제 가슴으로 읽히는 글이 됐다.
소설가 조정래씨가 부인에게 보낸 편지도 공개됐다. "사랑하는 여보, 초혜! 가을밤이 깊어가고 있소. 당신이 떠난 그 순간부터 가을은 문득 깊어져 내 시간을 쓸쓸한 적막으로 채우고 있소. 당신과의 23년 세월, 세월이 쌓일수록 당신을 아내로 얻었음을 하늘에 감사하게 되오… 부끄러운 듯 숨어 있는 흰 머리카락들마저 대견하고 사랑스러웠소. 그래서 물을 들이지 말라, 고 했었던 것인데… 혼자 자는 잠자리가 춥겠소." 얼핏 읽기엔 낯부끄러운 대사들이 있지만, 결혼 23년차의 남편이 아내를 위해 할 수 있는 최고의 헌사가 담겼다. 부인 김초혜 시인에 대한 충만한 사랑을 볼 수 있다.
이처럼 남의 편지를 읽는 즐거움은 수신인의 개별성에 기인하기도 한다. 편지에는 수신인이 정해져 있다는 특징이 있다. 즉 소설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지만, 편지는 읽는 사람이 정해져 있다. 그래서 내면성을 중시하던 낭만주의자들은 소설 속에 편지를 삽입했고, 더러는 편지 형식으로 소설을 쓰기도 했다.
하지만 문인들의 편지는 구하기가 아주 어렵다. 두 차례의 전쟁을 겪는 과정에서 대부분이 유실됐다. 남아 있는 편지도 농밀한 내용을 담은 사랑 편지나 사생활이 지나치게 노출되는 것은 수신인들이 내놓지 않는다. 그래서 문인의 육필 편지는 희소가치를 가진다.
이 책 '편지로 읽는 슬픔과 기쁨'은 예술가들의 육필 편지 49편을 소개한다. 노천명 시인에서 아티스트 백남준까지. 강인숙 영인문학관장은 이 책을 펴내며 "발자크가 연인인 한스카 부인에게 쓴 편지에서, 저명한 문인의 글을 혼자 독점하는 편지가 얼마나 큰 호사인가를 언급했다는 말을 들었다. 그런 호사를 누려보기를 권하고 싶다"고 밝혔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