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주거정비 방향 '보전·재생'으로 전환
서울시의 '전면철거 후 아파트 건설'로 정형화된 주거정비사업이 사라질 전망이다. 서울시는 도시·주거환경정비계획을 5대 권역별 주거지종합관리계획 체제로 전환, 개별 사업단위에 대한 전면 철거 방식에서 벗어나 보전과 재생을 동시에 추진하는 주거정비를 시행하겠다고 14일 밝혔다.
주거지종합관리계획은 정비사업만을 위주로 계획하는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을 대체하는 것으로 재개발·재건축·뉴타운사업을 모두 포함한다. 대상은 서울시 전체 주거지다. 그동안 사업단위별로 개별 진행되던 재개발·재건축·뉴타운사업을 묶어 도심 서남 서북 동남 동북 5대 권역별로 광역 주거지관리체제를 운영하겠다는 구상이다.
서울시는 우선 2012년까지 강서 양천 영등포 구로 금천 관악 동작지역인 서남권역을 대상으로 시범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다.
나머지 4개 권역에 대한 계획은 서남권역 계획수립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보완, 앞으로 2~3년에 걸쳐 짜게 된다.
기존 정비사업의 가장 큰 폐해로 지적됐던 원주민 재정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비 양식도 다양화한다. 서울시는 "노후·불량건축물 밀집지역이나 저층 주거지에 적용할 수 있는 소규모 주거정비 양식을 개발, 보급하고 양호한 저층주거지는 지속가능한 형태로 보전하는 등 주거유형을 다양화하겠다"고 밝혔다.
투기열풍의 원인으로 지적돼온 재개발·재건축 예정구역 지정 제도는 폐지한다. 예정구역 지정 후 장기간 구역지정을 하지 못한 지역이 대상이다. 주민 전체 의견을 물어 과반수 이상이 찬성할 경우 지정을 해제하게 된다.
김진명 기자 jmkim@naeil.com
[관련기사]
- 원주민 재정착률 높인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의 '전면철거 후 아파트 건설'로 정형화된 주거정비사업이 사라질 전망이다. 서울시는 도시·주거환경정비계획을 5대 권역별 주거지종합관리계획 체제로 전환, 개별 사업단위에 대한 전면 철거 방식에서 벗어나 보전과 재생을 동시에 추진하는 주거정비를 시행하겠다고 14일 밝혔다.
주거지종합관리계획은 정비사업만을 위주로 계획하는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을 대체하는 것으로 재개발·재건축·뉴타운사업을 모두 포함한다. 대상은 서울시 전체 주거지다. 그동안 사업단위별로 개별 진행되던 재개발·재건축·뉴타운사업을 묶어 도심 서남 서북 동남 동북 5대 권역별로 광역 주거지관리체제를 운영하겠다는 구상이다.
서울시는 우선 2012년까지 강서 양천 영등포 구로 금천 관악 동작지역인 서남권역을 대상으로 시범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다.
나머지 4개 권역에 대한 계획은 서남권역 계획수립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보완, 앞으로 2~3년에 걸쳐 짜게 된다.
기존 정비사업의 가장 큰 폐해로 지적됐던 원주민 재정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비 양식도 다양화한다. 서울시는 "노후·불량건축물 밀집지역이나 저층 주거지에 적용할 수 있는 소규모 주거정비 양식을 개발, 보급하고 양호한 저층주거지는 지속가능한 형태로 보전하는 등 주거유형을 다양화하겠다"고 밝혔다.
투기열풍의 원인으로 지적돼온 재개발·재건축 예정구역 지정 제도는 폐지한다. 예정구역 지정 후 장기간 구역지정을 하지 못한 지역이 대상이다. 주민 전체 의견을 물어 과반수 이상이 찬성할 경우 지정을 해제하게 된다.
김진명 기자 jmkim@naeil.com
[관련기사]
- 원주민 재정착률 높인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