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외교장관 "경제성장과 민주주의 경험 공유하겠다"
세계 60여 개국 정상과 외교 사절들이 1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 모여 리비아 재건 지원 문제를 논의했다. 한국을 비롯 미국과 프랑스, 영국 등 60개국의 정상들과 외교사절들이 참석한 이날 회의는 국제사회가 리비아의 내전 후속 조치를 긴밀하게 조율하는 자리였다.
AP AFP 등 외신에 따르면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리비아의 친구들 콘퍼런스로 명명된 이날 회의에서 리비아의 재건을 돕기 위한 당면한 국제적 임무를 유엔이 주도할 용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반 총장은 "지금의 결정적인 시기에 모두 국제사회가 효과적이고 잘 조직된 행동 프로그램을 갖고 (리비아에) 와야 한다는데 의견 일치를 보았다"며 "바로 유엔이 임무 수행을 개시한다는 시급한 목적을 위해 안보리와 긴밀히 협력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김성환 외교통상부장관은 리비아 국가과도위원회(NTC)에 대한 지지 입장을 재확인한 뒤 안보리의 리비아자산 동결 해제를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장관은 또한 "한국이 전후 경제성장과 민주주의를 동시에 달성한 경험을 공유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번 회의는 NTC가 지원을 요청하면서 국제사회가 지원 의사를 확인하는 자리였기 때문에 구체적인 대책이 논의되지는 않았다고 2일 전했다.
리비아 국가과도위원회(NTC) 무스타파 압델 잘릴 위원장은 이날 회의에서 포스트 카다피 체제에 대한 정치·경제적 로드맵을 발표하고 리비아 재건을 위한 국제사회의 지원을 요청했다.
이 회의를 주재한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은 회의 뒤 "회의에 참석한 모든 나라가 동결된 리비아 자산을 리비아 국민에게 돌려주기로 약속했다"면서 "150억달러(약 16조원)에 달하는 자산이 즉시 방출될 것"이라고 밝혔다.
러시아가 반군 대표기구 NTC를 리비아의 합법정부로 인정해 NTC를 승인한 국가는 60개로 늘었다.
김기수 기자 ks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세계 60여 개국 정상과 외교 사절들이 1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 모여 리비아 재건 지원 문제를 논의했다. 한국을 비롯 미국과 프랑스, 영국 등 60개국의 정상들과 외교사절들이 참석한 이날 회의는 국제사회가 리비아의 내전 후속 조치를 긴밀하게 조율하는 자리였다.
AP AFP 등 외신에 따르면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리비아의 친구들 콘퍼런스로 명명된 이날 회의에서 리비아의 재건을 돕기 위한 당면한 국제적 임무를 유엔이 주도할 용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반 총장은 "지금의 결정적인 시기에 모두 국제사회가 효과적이고 잘 조직된 행동 프로그램을 갖고 (리비아에) 와야 한다는데 의견 일치를 보았다"며 "바로 유엔이 임무 수행을 개시한다는 시급한 목적을 위해 안보리와 긴밀히 협력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김성환 외교통상부장관은 리비아 국가과도위원회(NTC)에 대한 지지 입장을 재확인한 뒤 안보리의 리비아자산 동결 해제를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장관은 또한 "한국이 전후 경제성장과 민주주의를 동시에 달성한 경험을 공유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번 회의는 NTC가 지원을 요청하면서 국제사회가 지원 의사를 확인하는 자리였기 때문에 구체적인 대책이 논의되지는 않았다고 2일 전했다.
리비아 국가과도위원회(NTC) 무스타파 압델 잘릴 위원장은 이날 회의에서 포스트 카다피 체제에 대한 정치·경제적 로드맵을 발표하고 리비아 재건을 위한 국제사회의 지원을 요청했다.
이 회의를 주재한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은 회의 뒤 "회의에 참석한 모든 나라가 동결된 리비아 자산을 리비아 국민에게 돌려주기로 약속했다"면서 "150억달러(약 16조원)에 달하는 자산이 즉시 방출될 것"이라고 밝혔다.
러시아가 반군 대표기구 NTC를 리비아의 합법정부로 인정해 NTC를 승인한 국가는 60개로 늘었다.
김기수 기자 ks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