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전 MB에 지지율 역전, 이번엔 안철수에 뒤져
여권 실정 발목잡고, 안철수마니아층 형성 '악재'
박근혜 전 대표는 5년전 쓰라린 기억을 안고 있다. 대선경쟁에서 압도적 1위를 달리다가, 대선을 1년 앞둔 2006년 10월 북한 핵실험을 기점으로 역전 당한 뒤 회복을 못하면서 패했다.
2011년 11월. 박 전 대표는 5년전 악몽의 재연 가능성에 직면했다. 무려 4년간 1위를 달려왔는데 안철수란 변수가 등장하면서 판이 흔들렸다. 이달 들어 1위 자리를 뺏겼다. 더욱이 여권의 실정이 부각되면서 '여권후보'로 발목 잡히는 형국이다. 내년 1월 설연휴 전까지 재역전을 위한 승부수가 절실하다는 관측이다.

◆5년전과 판박이 대선구도 = 최근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박 전 대표는 안철수 서울대 용합과학기술대학원장에게 역전 당했다. 동아일보-R&R 조사(22∼23일)에서 안 원장(29.4%)이 박 전 대표(27.3%)를 2.1%P 앞섰다. 오마이뉴스-리서치뷰조사(19∼20일)에서도 안 원장이 1.4%P 이겼고, 리얼미터 조사(14∼18일)에선 안 원장이 4.9%P 앞섰다.
박 전 대표는 2008년 이명박정부 출범 이후 차기대선 조사에서 줄곧 1위를 달려왔다. 2위와의 격차가 너무 커 여론조사 무용론이 나올 정도였다. 분위기가 바뀐 건 지난 9월 이후. 안 원장이 대선후보로 분류되면서 판세가 흔들렸다. 안 원장이 순식간에 2위를 차지하더니 지난 14일 재산 1500억원을 기부한 이후 1위로 올라섰다. 대선 1년을 앞두고 판세가 요동친 것이다.
이같은 흐름은 5년전인 2006년과 판박이다. 박 전 대표는 2006년 6월 대표직을 던질 당시 압도적 1위였다. 2년3개월 대표직을 맡는 동안 실시된 재보선에서 40대0의 신화를 만든 게 큰 힘이 됐다. 2006년 6월 R&R 조사에서 박 전 대표는 30.1%를 얻어 이명박 후보(18.9%)를 압도했다.
문제는 9월 이후였다. 박 전 대표가 주춤하고 있는 사이 이 후보가 적극적인 정책행보를 하면서 지지율이 요동치기 시작했다.
결정타는 10월9일 북한 핵실험. 안보 위기가 몰아닥치자, 강한 리더십을 상징한 이 후보에 대한 선호가 강해지면서 역전이 이뤄졌다. 북핵 직후 실시된 조사(한길리서치)에선 이 후보가 32.1%를 얻어 박 전 대표(19.5%)를 앞질렀다. 박 전 대표는 이후 2007년 8월 경선 때까지 재역전을 끌어내지 못했다.
◆"과감한 인적쇄신으로 평가받아야" = 박 전 대표가 2006년의 악몽에 또다시 휘말릴지는 유동적이다. 다만 주변여건은 그다지 밝지 않다.
우선 안 원장의 지지층이 늘어나는 동시에 굳건해지고 있다. 두달전 안 원장이 첫 선을 보일 때만해도 막연한 관심과 기대 수준이었다. 하지만 △서울시장 출마 양보 △재산 기부 △기성 정치권 불신 심화를 거치면서 정치적 지지로 바뀌고 있다. 다자구도에서조차 1위를 차지한 건 안철수마니아층이 형성됐다는 걸 의미한다. 지지율이 쉽게 꺼지지 않는다는 얘기다.
반면 박 전 대표는 저소득·저학력·영남·노령층이란 한정된 지지층에 갇혀 있다.
박 전 대표가 확장해야할 지지층(20∼40대, 수도권)은 안철수마니아로 굳어지면서 공략이 쉽지 않다. 더욱이 여당후보라는 결정적 한계에 발목 잡혀 있다. 여권 실정의 직격탄을 고스란히 맞고 있다. 내년 경제가 위기로 치닫고, 기성정치권에 대한 불신이 가중될수록 박 전 대표의 지지율은 반등의 계기를 만들기 어렵다는 전망이다.
결국 2006년 트라우마(정신적 상처)에서 벗어나기 위해선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윤희웅 조사분석실장은 "인적쇄신 과정에서 박 전 대표가 친박성향의 다선·고령의원들을 과감히 정리하는 모습을 통해 정당혁신의 의지를 표명한다면 유권자들의 재평가를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친박도 쇄신을 통해 승부수를 던진다는 기류다. 친박 홍사덕 의원은 25일 "예산안에 그동안 구상했던 생각을 일부 반영하는 등 정책쇄신에 비중을 둔 뒤 순서에 따라 정치쇄신에도 힘쓰게 될 것"이라며 "대선이 1년도 안 남았으니 행보가 빨라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엄경용 기자 rabbit@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여권 실정 발목잡고, 안철수마니아층 형성 '악재'
박근혜 전 대표는 5년전 쓰라린 기억을 안고 있다. 대선경쟁에서 압도적 1위를 달리다가, 대선을 1년 앞둔 2006년 10월 북한 핵실험을 기점으로 역전 당한 뒤 회복을 못하면서 패했다.
2011년 11월. 박 전 대표는 5년전 악몽의 재연 가능성에 직면했다. 무려 4년간 1위를 달려왔는데 안철수란 변수가 등장하면서 판이 흔들렸다. 이달 들어 1위 자리를 뺏겼다. 더욱이 여권의 실정이 부각되면서 '여권후보'로 발목 잡히는 형국이다. 내년 1월 설연휴 전까지 재역전을 위한 승부수가 절실하다는 관측이다.

◆5년전과 판박이 대선구도 = 최근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박 전 대표는 안철수 서울대 용합과학기술대학원장에게 역전 당했다. 동아일보-R&R 조사(22∼23일)에서 안 원장(29.4%)이 박 전 대표(27.3%)를 2.1%P 앞섰다. 오마이뉴스-리서치뷰조사(19∼20일)에서도 안 원장이 1.4%P 이겼고, 리얼미터 조사(14∼18일)에선 안 원장이 4.9%P 앞섰다.
박 전 대표는 2008년 이명박정부 출범 이후 차기대선 조사에서 줄곧 1위를 달려왔다. 2위와의 격차가 너무 커 여론조사 무용론이 나올 정도였다. 분위기가 바뀐 건 지난 9월 이후. 안 원장이 대선후보로 분류되면서 판세가 흔들렸다. 안 원장이 순식간에 2위를 차지하더니 지난 14일 재산 1500억원을 기부한 이후 1위로 올라섰다. 대선 1년을 앞두고 판세가 요동친 것이다.
이같은 흐름은 5년전인 2006년과 판박이다. 박 전 대표는 2006년 6월 대표직을 던질 당시 압도적 1위였다. 2년3개월 대표직을 맡는 동안 실시된 재보선에서 40대0의 신화를 만든 게 큰 힘이 됐다. 2006년 6월 R&R 조사에서 박 전 대표는 30.1%를 얻어 이명박 후보(18.9%)를 압도했다.
문제는 9월 이후였다. 박 전 대표가 주춤하고 있는 사이 이 후보가 적극적인 정책행보를 하면서 지지율이 요동치기 시작했다.
결정타는 10월9일 북한 핵실험. 안보 위기가 몰아닥치자, 강한 리더십을 상징한 이 후보에 대한 선호가 강해지면서 역전이 이뤄졌다. 북핵 직후 실시된 조사(한길리서치)에선 이 후보가 32.1%를 얻어 박 전 대표(19.5%)를 앞질렀다. 박 전 대표는 이후 2007년 8월 경선 때까지 재역전을 끌어내지 못했다.
◆"과감한 인적쇄신으로 평가받아야" = 박 전 대표가 2006년의 악몽에 또다시 휘말릴지는 유동적이다. 다만 주변여건은 그다지 밝지 않다.
우선 안 원장의 지지층이 늘어나는 동시에 굳건해지고 있다. 두달전 안 원장이 첫 선을 보일 때만해도 막연한 관심과 기대 수준이었다. 하지만 △서울시장 출마 양보 △재산 기부 △기성 정치권 불신 심화를 거치면서 정치적 지지로 바뀌고 있다. 다자구도에서조차 1위를 차지한 건 안철수마니아층이 형성됐다는 걸 의미한다. 지지율이 쉽게 꺼지지 않는다는 얘기다.
반면 박 전 대표는 저소득·저학력·영남·노령층이란 한정된 지지층에 갇혀 있다.
박 전 대표가 확장해야할 지지층(20∼40대, 수도권)은 안철수마니아로 굳어지면서 공략이 쉽지 않다. 더욱이 여당후보라는 결정적 한계에 발목 잡혀 있다. 여권 실정의 직격탄을 고스란히 맞고 있다. 내년 경제가 위기로 치닫고, 기성정치권에 대한 불신이 가중될수록 박 전 대표의 지지율은 반등의 계기를 만들기 어렵다는 전망이다.
결국 2006년 트라우마(정신적 상처)에서 벗어나기 위해선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윤희웅 조사분석실장은 "인적쇄신 과정에서 박 전 대표가 친박성향의 다선·고령의원들을 과감히 정리하는 모습을 통해 정당혁신의 의지를 표명한다면 유권자들의 재평가를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친박도 쇄신을 통해 승부수를 던진다는 기류다. 친박 홍사덕 의원은 25일 "예산안에 그동안 구상했던 생각을 일부 반영하는 등 정책쇄신에 비중을 둔 뒤 순서에 따라 정치쇄신에도 힘쓰게 될 것"이라며 "대선이 1년도 안 남았으니 행보가 빨라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엄경용 기자 rabbit@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