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부문 208명 대상
인천시가 시 공공부문에서 근무하는 비정규직 근로자 208명을 정규직화하기로 했다.
인천시는 "상시·지속적인 업무에 종사하며 상대적으로 노동여건이 열악한 저임금 민간위탁 근로자 208명을 2012년 1월 2일부터 인천시 시설관리공단이 기간제 근로자로 직접 채용하고 2년 후엔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키로 했다"고 1일 밝혔다.
그동안 일부 기초지방자치단체가 비정규직 근로자를 정규직화한 경우는 있었지만 광역지자체가 나선 경우는 인천시가 처음이다.
대상은 시 본청 의회 직속기관 사업소 등에서 청소 기계 소방 전기 등을 담당하던 근로자들이다.
인천시는 타 직종과 공사·공단 등 산하기관 확대 적용에 대해선 향후 정책과제 결과와 시 재정여건을 고려해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에 제외된 공사·공단 아웃소싱 근로자에 대해선 정규직과 비정규직간 직장내 불합리한 노동관행을 폐지하고 복지제도 도입을 통해 비정규직 근로자의 처우개선을 확대할 계획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시는 앞으로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고용안정과 민간부문 비정규직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이 확대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윤여운 기자 yuyoo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인천시가 시 공공부문에서 근무하는 비정규직 근로자 208명을 정규직화하기로 했다.
인천시는 "상시·지속적인 업무에 종사하며 상대적으로 노동여건이 열악한 저임금 민간위탁 근로자 208명을 2012년 1월 2일부터 인천시 시설관리공단이 기간제 근로자로 직접 채용하고 2년 후엔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키로 했다"고 1일 밝혔다.
그동안 일부 기초지방자치단체가 비정규직 근로자를 정규직화한 경우는 있었지만 광역지자체가 나선 경우는 인천시가 처음이다.
대상은 시 본청 의회 직속기관 사업소 등에서 청소 기계 소방 전기 등을 담당하던 근로자들이다.
인천시는 타 직종과 공사·공단 등 산하기관 확대 적용에 대해선 향후 정책과제 결과와 시 재정여건을 고려해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에 제외된 공사·공단 아웃소싱 근로자에 대해선 정규직과 비정규직간 직장내 불합리한 노동관행을 폐지하고 복지제도 도입을 통해 비정규직 근로자의 처우개선을 확대할 계획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시는 앞으로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고용안정과 민간부문 비정규직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이 확대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윤여운 기자 yuyoo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