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혼란 배후는 '공천 해바라기'
최근 한나라당은 홍준표 퇴진과 비상대책위 권한, 재창당 여부를 놓고 극심한 내홍을 겪고 있다. 외형상으론 친박과 쇄신파가 전선을 형성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한꺼풀만 들여다보면 친박과 쇄신파의 이견은 미미한 편이다. 문제는 혼란의 틈바구니에서 자기 공천만 챙기려는 일부세력이 갈등을 부추기는 것이다. 물갈이대상으로 분류되는 영남과 수도권 일부의원이 숨은 배후로 꼽힌다.
◆친박-쇄신파, 충돌 아닌 충돌 = 12일 친박과 쇄신파는 충돌하는 것으로 비쳐졌다. 쇄신파 권영진 의원은 "전권을 달라거나 또 비대위를 총선까지 끌고 가자는 말이 나오는데 이건 충신이 아니라 간신이 하는 짓"이라고 비판했다. 전날 친박이 '박근혜 비대위'에게 공천을 포함한 전권을 달라고 한 데 대한 답이었다.
간신이란 단어가 튀어나오자 감정이 고조됐다. 친박 핵심인사는 "우릴 보고 간신이라고? 그럼 자기들은 충신이어서 이명박 대통령을 저 꼴로 만들었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친박(박근혜 비대위에 전권을 주고, 총선까지 맡기자)과 쇄신파(재창당을 통해 총선을 치르자)의 주장이 충돌한 모양새다. 하지만 이 정도 이견은 넘지 못할 벽이 아니라는 분석이다.
친박 핵심인사는 "(재창당을 안 하겠다는 게 아니라) 비대위에 전권을 주면 리모델링이 될지, 재건축(재창당)이 될지 마음을 열고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천권 독식 우려에 대해서도 이 인사는 "박 전 대표는 공정한 공천을 원할 뿐 자신이 공천권을 행사할 마음은 없다"고 확인했다.
쇄신파 정두언 의원도 "우리는 공천권을 다투는 게 아니다"며 "재창당 뒤 (박 전 대표가) 선대위원장을 맡아 공천도 하고 선거지휘도 하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근혜 비대위'에 전권을 준다는 의미로 해석됐다.
쇄신파 인사는 "수도권은 한나라라면 무조건 싫다는 인식이 강하니까 재창당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홍준표 방어막 쳤던 영남중진 = 한꺼풀만 들어가보면 별 이견이 없는 친박과 쇄신파가 연일 충돌하는 것처럼 비쳐지는 이유는 뭘까. 당내 곳곳에 자신의 공천만 챙기려는 세력이 충돌을 부추기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온다.
지난주 쇄신파가 홍 대표 퇴진을 요구하자, 영남권 친박중진 의원들이 가로막았다. 홍준표 체제가 자신의 공천에 유리하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이는 곧 박 전 대표의 뜻으로 해석됐다. 하지만 진실은 달랐다. 결국 박 전 대표의 본뜻이 홍 대표 퇴진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태가 일단락됐다.
비대위 갈등도 마찬가지다. 처음 비대위 공천권 얘기를 꺼낸 것은 다름 아닌 친박 영남과 강남권 의원이었다. 그들은 박 전 대표에게 공천권을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전 대표의중과 상관없이 그들은 공천권 타령만 해댔다.
재창당 논란도 비슷하다. 쇄신파는 "한나라당으론 수도권에서 전멸"이라는 위기감 속에 재창당을 강조하지만, 일부 수도권 재창당파는 당을 새로 만드는 과정에서 자신들의 지분을 챙길 궁리만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쇄신파 인사는 "공천만 노리는 영남 친박중진과 수도권 재창당파가 혼란을 부추기고 있다"며 "공천 해바라기와 쇄신세력은 구분돼야 한다"고 말했다.
엄경용 기자 rabbit@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최근 한나라당은 홍준표 퇴진과 비상대책위 권한, 재창당 여부를 놓고 극심한 내홍을 겪고 있다. 외형상으론 친박과 쇄신파가 전선을 형성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한꺼풀만 들여다보면 친박과 쇄신파의 이견은 미미한 편이다. 문제는 혼란의 틈바구니에서 자기 공천만 챙기려는 일부세력이 갈등을 부추기는 것이다. 물갈이대상으로 분류되는 영남과 수도권 일부의원이 숨은 배후로 꼽힌다.
◆친박-쇄신파, 충돌 아닌 충돌 = 12일 친박과 쇄신파는 충돌하는 것으로 비쳐졌다. 쇄신파 권영진 의원은 "전권을 달라거나 또 비대위를 총선까지 끌고 가자는 말이 나오는데 이건 충신이 아니라 간신이 하는 짓"이라고 비판했다. 전날 친박이 '박근혜 비대위'에게 공천을 포함한 전권을 달라고 한 데 대한 답이었다.
간신이란 단어가 튀어나오자 감정이 고조됐다. 친박 핵심인사는 "우릴 보고 간신이라고? 그럼 자기들은 충신이어서 이명박 대통령을 저 꼴로 만들었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친박(박근혜 비대위에 전권을 주고, 총선까지 맡기자)과 쇄신파(재창당을 통해 총선을 치르자)의 주장이 충돌한 모양새다. 하지만 이 정도 이견은 넘지 못할 벽이 아니라는 분석이다.
친박 핵심인사는 "(재창당을 안 하겠다는 게 아니라) 비대위에 전권을 주면 리모델링이 될지, 재건축(재창당)이 될지 마음을 열고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천권 독식 우려에 대해서도 이 인사는 "박 전 대표는 공정한 공천을 원할 뿐 자신이 공천권을 행사할 마음은 없다"고 확인했다.
쇄신파 정두언 의원도 "우리는 공천권을 다투는 게 아니다"며 "재창당 뒤 (박 전 대표가) 선대위원장을 맡아 공천도 하고 선거지휘도 하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근혜 비대위'에 전권을 준다는 의미로 해석됐다.
쇄신파 인사는 "수도권은 한나라라면 무조건 싫다는 인식이 강하니까 재창당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홍준표 방어막 쳤던 영남중진 = 한꺼풀만 들어가보면 별 이견이 없는 친박과 쇄신파가 연일 충돌하는 것처럼 비쳐지는 이유는 뭘까. 당내 곳곳에 자신의 공천만 챙기려는 세력이 충돌을 부추기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온다.
지난주 쇄신파가 홍 대표 퇴진을 요구하자, 영남권 친박중진 의원들이 가로막았다. 홍준표 체제가 자신의 공천에 유리하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이는 곧 박 전 대표의 뜻으로 해석됐다. 하지만 진실은 달랐다. 결국 박 전 대표의 본뜻이 홍 대표 퇴진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태가 일단락됐다.
비대위 갈등도 마찬가지다. 처음 비대위 공천권 얘기를 꺼낸 것은 다름 아닌 친박 영남과 강남권 의원이었다. 그들은 박 전 대표에게 공천권을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전 대표의중과 상관없이 그들은 공천권 타령만 해댔다.
재창당 논란도 비슷하다. 쇄신파는 "한나라당으론 수도권에서 전멸"이라는 위기감 속에 재창당을 강조하지만, 일부 수도권 재창당파는 당을 새로 만드는 과정에서 자신들의 지분을 챙길 궁리만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쇄신파 인사는 "공천만 노리는 영남 친박중진과 수도권 재창당파가 혼란을 부추기고 있다"며 "공천 해바라기와 쇄신세력은 구분돼야 한다"고 말했다.
엄경용 기자 rabbit@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