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포폰' 때와 닮은 꼴 … 불법사찰 여론 들끓어도 침묵
3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 자리에 언론의 관심이 쏠렸다. 현안토론이 있다고 미리 예고됐기 때문이다. 민간인 불법사찰 문제가 일파만파로 커지고 있는 만큼 이명박 대통령의 언급이 있지 않을까 해서였다.
그러나 대변인이 전한 국무회의 풍경은 예상을 빗나갔다. 사찰문제에 대해서는 언급조차 없었다. 대신 핵안보정상회의 결과보고와 향후 후속조치 그리고 주5일제 전면시행에 따른 토론 등이 진행됐다.
대통령의 현안에는 민간인 불법사찰은 아예 포함되지 않은 것이다. 바깥세상(?)과는 전혀 딴판이다.
그나마 추론이 가능한 것은 대변인이 전한 대통령의 말이다. "선거철이라 혼란스럽긴 하지만 공직자들이 중심을 잡고 흔들림 없이 국정과제가 추진되도록 책임의식을 갖고 노력하면 좋겠다"는 것이 전부다.
지난 한 달 내내 청와대는 핵안보정상회의 홍보에 열을 올렸다. 민간인 불법사찰 문제가 갈수록 커지고 있었지만 애써 외면했다. 대통령도 예외는 아니다. 각종 회의나 모임 때마다 핵안보정상회의를 언급했지만 민간인 사찰문제에 대한 언급은 단 한 차례도 없었다.
그런데 이 같은 모습은 2년 전과 너무 흡사하다. G20서울 정상회의를 앞두고 민간인사찰문제가 불거졌고 청와대가 '대포폰'까지 만들어줬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정국은 발칵 뒤집어졌다. 당시 언론의 사설제목이 의미심장하다. '청와대는 무엇에 쓰라고 '대포폰'까지 만들어줬나', '청와대는 대포폰 만들고, 검찰은 은폐하고', '대포폰으로 사찰 지휘한 청와대가 바로 '몸통'이다', '민간인 사찰 청와대 개입 재수사해야' 등이다.
그런데도 당시 이 대통령은 G20 서울회의를 홍보하는 내·외신 기자회견에서 민간인 사찰수사에 대한 기자의 질문을 아예 무시했다. 대신 G20회의가 갖는 의미와 성공적인 개최의 중요성을 알리는 데만 열중했다. 지금과 너무 닮은 꼴이다.
다시 현실로 돌아오면 민간인 불법사찰 문제로 야당은 "총선이 끝나면 대통령을 청문회에 세우겠다"며 벼르고 있다. 또 사찰피해자들은 물론이고 사회원로들까지 시국선언을 통해 대통령의 사과와 관련자 처벌을 요구하고 나섰다. 뿐만 아니라 사찰의 피해 당사자인 언론노조와 공공기관 노조 등은 '대통령 하야'까지 주장했고, 외신들마저 '한국판 워터게이트 사건'이라며 추이에 관심을 보일 정도다. 그런데도 유일하게 이 대통령만은 침묵하며 딴청을 피우고 있다.
정재철 기자 jcju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3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 자리에 언론의 관심이 쏠렸다. 현안토론이 있다고 미리 예고됐기 때문이다. 민간인 불법사찰 문제가 일파만파로 커지고 있는 만큼 이명박 대통령의 언급이 있지 않을까 해서였다.
그러나 대변인이 전한 국무회의 풍경은 예상을 빗나갔다. 사찰문제에 대해서는 언급조차 없었다. 대신 핵안보정상회의 결과보고와 향후 후속조치 그리고 주5일제 전면시행에 따른 토론 등이 진행됐다.
대통령의 현안에는 민간인 불법사찰은 아예 포함되지 않은 것이다. 바깥세상(?)과는 전혀 딴판이다.
그나마 추론이 가능한 것은 대변인이 전한 대통령의 말이다. "선거철이라 혼란스럽긴 하지만 공직자들이 중심을 잡고 흔들림 없이 국정과제가 추진되도록 책임의식을 갖고 노력하면 좋겠다"는 것이 전부다.
지난 한 달 내내 청와대는 핵안보정상회의 홍보에 열을 올렸다. 민간인 불법사찰 문제가 갈수록 커지고 있었지만 애써 외면했다. 대통령도 예외는 아니다. 각종 회의나 모임 때마다 핵안보정상회의를 언급했지만 민간인 사찰문제에 대한 언급은 단 한 차례도 없었다.
그런데 이 같은 모습은 2년 전과 너무 흡사하다. G20서울 정상회의를 앞두고 민간인사찰문제가 불거졌고 청와대가 '대포폰'까지 만들어줬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정국은 발칵 뒤집어졌다. 당시 언론의 사설제목이 의미심장하다. '청와대는 무엇에 쓰라고 '대포폰'까지 만들어줬나', '청와대는 대포폰 만들고, 검찰은 은폐하고', '대포폰으로 사찰 지휘한 청와대가 바로 '몸통'이다', '민간인 사찰 청와대 개입 재수사해야' 등이다.
그런데도 당시 이 대통령은 G20 서울회의를 홍보하는 내·외신 기자회견에서 민간인 사찰수사에 대한 기자의 질문을 아예 무시했다. 대신 G20회의가 갖는 의미와 성공적인 개최의 중요성을 알리는 데만 열중했다. 지금과 너무 닮은 꼴이다.
다시 현실로 돌아오면 민간인 불법사찰 문제로 야당은 "총선이 끝나면 대통령을 청문회에 세우겠다"며 벼르고 있다. 또 사찰피해자들은 물론이고 사회원로들까지 시국선언을 통해 대통령의 사과와 관련자 처벌을 요구하고 나섰다. 뿐만 아니라 사찰의 피해 당사자인 언론노조와 공공기관 노조 등은 '대통령 하야'까지 주장했고, 외신들마저 '한국판 워터게이트 사건'이라며 추이에 관심을 보일 정도다. 그런데도 유일하게 이 대통령만은 침묵하며 딴청을 피우고 있다.
정재철 기자 jcju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