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1일 670톤 줄여 20% 감량 … 연간 195억 절약효과"
내년부터 서울시내 모든 자치구에서 음식물쓰레기 '종량제'가 전면 시행된다.
서울시는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실시범위를 현재 일부 자치구에서 2013년 1월부터 25개 자치구의 모든 공동·단독주택으로 확대한다고 10일 밝혔다.
음식물쓰레기종량제는 일반 쓰레기종량제와 마찬가지로 배출된 쓰레기의 부피나 무게에 따라 비용을 부과하는 방식이다.
시는 일정비용만 내면 쓰레기를 무한정 버릴 수 있는 '정액제'에서 많이 버리면 버릴수록 많은 돈을 내야하는 '종량제'로 전환하면 하루 670톤의 음식물쓰레기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2014년까지는 서울지역의 가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음식물쓰레기를 20%까지 감량하고 연간 195억원의 예산 절감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서울시가 내년부터="" 음식물쓰레기종량제를="" 전면="" 실시한다고="" 밝혔다.="" 사진은="" 금천구="" 벽산5단지="" 아파트에서="" 시범실시하고="" 있는="" 음식물쓰레기종량제="" 용기.="" 사진="" 서울시="" 제공="">
현재 단독주택은 18개 자치구만이 종량제를 실시하고 나머지는 배출량에 관계없이 매달 일정액을 부과하는 정액제를 시행하고 있다. 공동주택은 25개 자치구가 정액제를 적용하고 있다.
시는 지난해 금천구에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반의 종량제를 시범 운영한 데 이어 올해 노원·도봉·금천·영등포·동대문·송파·강남구 등 7개 자치구를 시범 운영 대상에 포함시켰다.
음식물쓰레기 종량제는 봉투, RFID, 칩 등으로 분류되며 자치구별로 종량제 방식이 각각 다르다. RFID는 전파를 이용해 먼 거리에서 정보를 인식하는 기술로 음식물쓰레기의 발생과 처리 등 단계별 정보를 무선으로 관리하는 무게단위 종량제시스템을 말한다. 칩 방식은 전용용기에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할 경우 칩을 구입해 용기에 부착하면 그 용기에 대해 칩과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는 방식이다.
이와 함께 서울시는 음식물쓰레기를 발효 또는 분쇄, 건조 등의 방법으로 쓰레기를 처리해 80% 이상까지 감량할 수 있는 '감량기설치 시범사업'에도 나선다.
감량기는 단독주택에 설치하는 소형감량기와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 설치하는 대형감량기가 있다. 시는 참여를 원하는 자치구의 신청을 받아 감량기기 설치에 나설 계획이다.
소형감량기의 경우 7~11월 설치를 희망하는 자치구의 신청을 받아 개별주택내에 설치한다. 대형감량기의 경우 수요조사를 통해 참여 자치구를 선정한다. 선정된 공동주택에는 렌탈비 또는 운영비(1대당 연 250만원)를 지원할 예정이다. 자세한 사항은 서울시 홈페이지와 소비자시민모임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서영관 서울시 자원순환과장은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전면 시행과 감량기 설치 등 제도와 인프라 개선에 시민의 노력이 더해지면 음식물쓰레기 매립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이 줄어들 것"이라며 "앞으로 음식물쓰레기 자체 처리와 음식문화개선 운동 등을 확대해 최대한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을 줄여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선일 기자 si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가>
내년부터 서울시내 모든 자치구에서 음식물쓰레기 '종량제'가 전면 시행된다.
서울시는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실시범위를 현재 일부 자치구에서 2013년 1월부터 25개 자치구의 모든 공동·단독주택으로 확대한다고 10일 밝혔다.
음식물쓰레기종량제는 일반 쓰레기종량제와 마찬가지로 배출된 쓰레기의 부피나 무게에 따라 비용을 부과하는 방식이다.
시는 일정비용만 내면 쓰레기를 무한정 버릴 수 있는 '정액제'에서 많이 버리면 버릴수록 많은 돈을 내야하는 '종량제'로 전환하면 하루 670톤의 음식물쓰레기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2014년까지는 서울지역의 가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음식물쓰레기를 20%까지 감량하고 연간 195억원의 예산 절감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서울시가 내년부터="" 음식물쓰레기종량제를="" 전면="" 실시한다고="" 밝혔다.="" 사진은="" 금천구="" 벽산5단지="" 아파트에서="" 시범실시하고="" 있는="" 음식물쓰레기종량제="" 용기.="" 사진="" 서울시="" 제공="">
현재 단독주택은 18개 자치구만이 종량제를 실시하고 나머지는 배출량에 관계없이 매달 일정액을 부과하는 정액제를 시행하고 있다. 공동주택은 25개 자치구가 정액제를 적용하고 있다.
시는 지난해 금천구에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반의 종량제를 시범 운영한 데 이어 올해 노원·도봉·금천·영등포·동대문·송파·강남구 등 7개 자치구를 시범 운영 대상에 포함시켰다.
음식물쓰레기 종량제는 봉투, RFID, 칩 등으로 분류되며 자치구별로 종량제 방식이 각각 다르다. RFID는 전파를 이용해 먼 거리에서 정보를 인식하는 기술로 음식물쓰레기의 발생과 처리 등 단계별 정보를 무선으로 관리하는 무게단위 종량제시스템을 말한다. 칩 방식은 전용용기에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할 경우 칩을 구입해 용기에 부착하면 그 용기에 대해 칩과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는 방식이다.
이와 함께 서울시는 음식물쓰레기를 발효 또는 분쇄, 건조 등의 방법으로 쓰레기를 처리해 80% 이상까지 감량할 수 있는 '감량기설치 시범사업'에도 나선다.
감량기는 단독주택에 설치하는 소형감량기와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 설치하는 대형감량기가 있다. 시는 참여를 원하는 자치구의 신청을 받아 감량기기 설치에 나설 계획이다.
소형감량기의 경우 7~11월 설치를 희망하는 자치구의 신청을 받아 개별주택내에 설치한다. 대형감량기의 경우 수요조사를 통해 참여 자치구를 선정한다. 선정된 공동주택에는 렌탈비 또는 운영비(1대당 연 250만원)를 지원할 예정이다. 자세한 사항은 서울시 홈페이지와 소비자시민모임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서영관 서울시 자원순환과장은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전면 시행과 감량기 설치 등 제도와 인프라 개선에 시민의 노력이 더해지면 음식물쓰레기 매립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이 줄어들 것"이라며 "앞으로 음식물쓰레기 자체 처리와 음식문화개선 운동 등을 확대해 최대한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을 줄여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선일 기자 si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가>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