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여성향·투표율 상승세 … 수도권·PK 접전지역 70곳 승부 가를듯
정치권은 그동안 30대 유권자에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딱히 주목할만한 정치적 편향성을 보이지 않았고, 다른 연령층에 비해 투표율도 낮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2010년 지방선거 이후 30대 투표율이 급상승하고, 뚜렷한 반여(反與) 성향을 보이면서 정치적 무게감이 커지고 있다. 그들이 얼마나 적극적으로 투표하는가에 따라 4·11 총선 승부처 70곳의 운명이 갈릴 전망이다.
◆최저투표율 주도한 30대 = 30대는 사회진입 연령대에 속한다. 취업과 직장생활, 결혼, 주택 마련, 보육 등으로 바쁘다. 80년대 민주화투쟁을 주도한 486세대의 기억을 공유하지 않는다. 정치가 세상과 나의 삶을 바꿀 수 있다는 효능감도 떨어진다.
이러한 인식은 낮은 투표율에서 나타났다. 역대 선거에서 30대 투표율은 평균에 미달했다. 2004년 17대 총선 전체 투표율은 60.6%였지만 30대 전반(53.2%)과 30대 후반(59.8%)은 50%대에 머물렀다. 2008년 18대 총선에서 30대는 40%에도 미치지 못하는 낮은 투표율을 기록하면서 역대 최저 총선투표율(46.1%)을 주도했다.
정치적 성향도 밋밋했다. 2007년 대선에서 30대는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40.4%)를 민주당 정동영 후보(28.3%)보다 훨씬 선호했다. 50·60대와 큰 차별성을 보이지 않았다.
◆30대 '반드시 투표층' 증가세 = 하지만 2010년 지방선거를 기점으로 30대가 변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실업난과 경제위기의 직격탄을 맞은 30대는 뚜렷한 반여성향으로 돌아섰다. 한나라당 오세훈 후보(27.8%)
보다 민주당 한명숙 후보(64.2%)를 압도적으로 밀었다. 2011년 서울시장 재보선에서도 다른 연령층보다 박원순 후보(75.8%)를 강하게 지지했다. 최근엔 야당 편에 서서 한미FTA 재협상과 제주 해군기지 무효화를 강하게 요구한다.
투표율도 높아지면서 30대의 선거 영향력을 키우고 있다. 2010년 지방선거 투표율은 54.5%를 기록, 2006년 투표율(51.6%)을 웃돌았다. 50대와 60대 이상 투표율은 소폭 하락했지만 30대 투표율이 5%p 오르면서 상승세를 주도했다.
4·11 총선에서도 이런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선관위 여론조사에서 "총선에서 반드시 투표하겠다"고 응답한 30대가 47.1%나 됐다. 4년 전인 18대 총선 때보다 12.7%p나 늘어난 수치다. 40대 이상에서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답변이 소폭 하락한 것과 대조적이다.
◆"투표율 낮기만" "투표해달라" = 30대의 뚜렷한 반여성향과 투표율 상승세는 4·11 총선에서 그들의 움직임을 주시하게 만든다. 그들의 행보에 따라 접전 양상인 수도권과 부산·경남(PK) 70곳의 판세가 뒤바뀔 수 있다는 것이다.
새누리당은 30대의 움직임을 주시하면서도 뾰족한 대책을 찾지 못하는 눈치다. 친박 핵심관계자는 "수도권 30대의 표심을 끌만한 참신한 후보가 없는 데다 한미FTA와 해군기지 정책을 그들 선호대로 바꿀 수도 없는 노릇"이라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조용한 정책선거를 통해 30대 투표율이 낮기를 바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반면 민주당은 30대의 적극적 참여를 기대한다. 박선숙 선대본부장은 "이명박정부와 새누리당 실정 심판에 적극적인 분들이 투표에 더 참여해 투표율이 55~60%는 나와야 박빙에서 박빙우세로 넘어갈 수 있다"고 호소했다.
선관위 조사와 달리 30대 투표율이 높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2010년 지방선거 때처럼 정권심판론이 강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30대의 투표를 이끌만한 이슈와 구도가 아직까지 만들어지지 않았다는 얘기다.
엄경용 기자 rabbit@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정치권은 그동안 30대 유권자에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딱히 주목할만한 정치적 편향성을 보이지 않았고, 다른 연령층에 비해 투표율도 낮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2010년 지방선거 이후 30대 투표율이 급상승하고, 뚜렷한 반여(反與) 성향을 보이면서 정치적 무게감이 커지고 있다. 그들이 얼마나 적극적으로 투표하는가에 따라 4·11 총선 승부처 70곳의 운명이 갈릴 전망이다.
◆최저투표율 주도한 30대 = 30대는 사회진입 연령대에 속한다. 취업과 직장생활, 결혼, 주택 마련, 보육 등으로 바쁘다. 80년대 민주화투쟁을 주도한 486세대의 기억을 공유하지 않는다. 정치가 세상과 나의 삶을 바꿀 수 있다는 효능감도 떨어진다.

정치적 성향도 밋밋했다. 2007년 대선에서 30대는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40.4%)를 민주당 정동영 후보(28.3%)보다 훨씬 선호했다. 50·60대와 큰 차별성을 보이지 않았다.
◆30대 '반드시 투표층' 증가세 = 하지만 2010년 지방선거를 기점으로 30대가 변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실업난과 경제위기의 직격탄을 맞은 30대는 뚜렷한 반여성향으로 돌아섰다. 한나라당 오세훈 후보(27.8%)
보다 민주당 한명숙 후보(64.2%)를 압도적으로 밀었다. 2011년 서울시장 재보선에서도 다른 연령층보다 박원순 후보(75.8%)를 강하게 지지했다. 최근엔 야당 편에 서서 한미FTA 재협상과 제주 해군기지 무효화를 강하게 요구한다.
투표율도 높아지면서 30대의 선거 영향력을 키우고 있다. 2010년 지방선거 투표율은 54.5%를 기록, 2006년 투표율(51.6%)을 웃돌았다. 50대와 60대 이상 투표율은 소폭 하락했지만 30대 투표율이 5%p 오르면서 상승세를 주도했다.
4·11 총선에서도 이런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선관위 여론조사에서 "총선에서 반드시 투표하겠다"고 응답한 30대가 47.1%나 됐다. 4년 전인 18대 총선 때보다 12.7%p나 늘어난 수치다. 40대 이상에서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답변이 소폭 하락한 것과 대조적이다.
◆"투표율 낮기만" "투표해달라" = 30대의 뚜렷한 반여성향과 투표율 상승세는 4·11 총선에서 그들의 움직임을 주시하게 만든다. 그들의 행보에 따라 접전 양상인 수도권과 부산·경남(PK) 70곳의 판세가 뒤바뀔 수 있다는 것이다.
새누리당은 30대의 움직임을 주시하면서도 뾰족한 대책을 찾지 못하는 눈치다. 친박 핵심관계자는 "수도권 30대의 표심을 끌만한 참신한 후보가 없는 데다 한미FTA와 해군기지 정책을 그들 선호대로 바꿀 수도 없는 노릇"이라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조용한 정책선거를 통해 30대 투표율이 낮기를 바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반면 민주당은 30대의 적극적 참여를 기대한다. 박선숙 선대본부장은 "이명박정부와 새누리당 실정 심판에 적극적인 분들이 투표에 더 참여해 투표율이 55~60%는 나와야 박빙에서 박빙우세로 넘어갈 수 있다"고 호소했다.
선관위 조사와 달리 30대 투표율이 높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2010년 지방선거 때처럼 정권심판론이 강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30대의 투표를 이끌만한 이슈와 구도가 아직까지 만들어지지 않았다는 얘기다.
엄경용 기자 rabbit@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