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총선 지역경제이슈를 잡아라 | (4) 물가의 고통] 서울·대전은 집값, 부산·광주는 밥값에 휘청
지역내일
2012-04-03
(수정 2012-04-03 오후 3:47:06)
유가의 재공습 시작 … 12개 광역시도, 교육비보다 교통비에 더 충격
서울·대전 등은 집값, 부산·광주등은 식료품값에 휘청거리고 있다.
3일 통계청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물가 중 가장 민감한 부분은 주택 수도 전기로 지난 3월현재 전체 물가상승률에 16.9%의 영향을 미쳤다. 의식주 중 '주'에 들어가는 비용의 상승률이 물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셈이다.
'식'에 해당되는 식료품과 비주류음료가 13.5%, 외식 등이 포함된 음식과 숙박이 12.0%로 뒤를 이었다.
'의'인 의류와 신발은 6.2%에 지나지 않은 반면 교육은 11.4%, 교통이 10.9%, 보건이 7.3%의 가중치를 보였다.
지난해 물가를 많이 올라간 것은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로 1년전에 비해 8.1%가 올랐다.
교통이 7.0% 상승했으며 주택 수도 전기 및 연료가 4.5%, 음식 숙박이 4.3%를 기록하며 전체 물가상승률을 4.0%로 끌어올렸다. 교육비는 1.7% 상승하는 데 그쳤다.
◆광역시는 집값에 민감 = 주택 수도 전기 등 집값과 공공요금이 수도권과 충청권 물가에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22.0%에 달해 주택가격에 가장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15.77%) 대전(16.69%) 경기(17.65%) 강원(15.45%) 충북(14.45%) 충남(15.05%) 역시 집값과 함께 수도요금 전기요금 등의 공공요금 상승이 물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가 물가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광역시도는 부산(15.35%) 대구(14.55%) 광주(14.08%) 울산(13.54%) 전북(15.93%) 전남(15.92%) 경북(14.93%) 경남(14.59%) 등이었으며 제주는 16.26%로 광역시도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전국적으로는 외식 등 음식 숙박 물가(12.04%)가 교육(11.41%)물가를 앞질렀지만 서울과 전북에선 반대 현상을 보였다. 경기 울산은 엇비슷했다.
전국적으로는 교통비보다 교육물가에 더 충격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반대로 부산 광주 대전 울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등 12개 시도는 교육물가보다 교통비에 더 민감한 것으로 확인됐다.
◆서민체감물가가 떨어지지 않는 이유 = 물가상승률이 올해 들어 큰 폭으로 낮아졌는데도 서민들의 체감물가 상승률은 크게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올 3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은 2.6%로 19개월만에 2%대로 낮아졌지만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는 4.9% 뛰었다. 주택 수도 전기 및 연료 역시 5.4% 상승했다. 교통 물가 역시 4.6% 뛰어올랐다.
전월비로 따지면 교통비가 1.5%나 상승했고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가 1.0% 올랐다. 통신(-3.4%) 오락 및 문화(-0.2%) 보육시설이용료 등 기타상품 및 서비스(-4.7%)가 하락했더라도 서민들의 충격은 적지 않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유가의 공습 = 유가의 고공행진은 2%대 물가상승률을 안심하기 어려운 국면으로 몰아가고 있다. 유가상승은 직접적으로 교통비 연료비를 올리지만 간접적으로는 공공요금, 외식비 등 개인서비스요금 등을 부추긴다.
문제는 유가의 고공행진이 유류 소비 증가, 무역수지 악화, 환율 상승으로 이어져 수입물가를 상승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수입물가 상승은 공산품 상승을 부추겨 전체 물가를 다시 한번 들썩이게 하는 '2011년의 공포'를 재현할 수 있다.
기획재정부는 "석유제품이 3월에도 지난달에 이어 강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서민들의 구입빈도가 높은 농산물 등이 채소류를 중심으로 상승하고 있어 생활물가사준이 높는 상황"이라면서 "4월 총선이후 유가와 원자재가격 상승이 공공요금 개인서비스 공업제품 등에 점차 반영되는 등 불안요인이 현재화될 가능성도 상존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박준규 기자 jkpar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서울·대전 등은 집값, 부산·광주등은 식료품값에 휘청거리고 있다.
3일 통계청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물가 중 가장 민감한 부분은 주택 수도 전기로 지난 3월현재 전체 물가상승률에 16.9%의 영향을 미쳤다. 의식주 중 '주'에 들어가는 비용의 상승률이 물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셈이다.
'식'에 해당되는 식료품과 비주류음료가 13.5%, 외식 등이 포함된 음식과 숙박이 12.0%로 뒤를 이었다.
'의'인 의류와 신발은 6.2%에 지나지 않은 반면 교육은 11.4%, 교통이 10.9%, 보건이 7.3%의 가중치를 보였다.
지난해 물가를 많이 올라간 것은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로 1년전에 비해 8.1%가 올랐다.
교통이 7.0% 상승했으며 주택 수도 전기 및 연료가 4.5%, 음식 숙박이 4.3%를 기록하며 전체 물가상승률을 4.0%로 끌어올렸다. 교육비는 1.7% 상승하는 데 그쳤다.
◆광역시는 집값에 민감 = 주택 수도 전기 등 집값과 공공요금이 수도권과 충청권 물가에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22.0%에 달해 주택가격에 가장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15.77%) 대전(16.69%) 경기(17.65%) 강원(15.45%) 충북(14.45%) 충남(15.05%) 역시 집값과 함께 수도요금 전기요금 등의 공공요금 상승이 물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가 물가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광역시도는 부산(15.35%) 대구(14.55%) 광주(14.08%) 울산(13.54%) 전북(15.93%) 전남(15.92%) 경북(14.93%) 경남(14.59%) 등이었으며 제주는 16.26%로 광역시도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전국적으로는 외식 등 음식 숙박 물가(12.04%)가 교육(11.41%)물가를 앞질렀지만 서울과 전북에선 반대 현상을 보였다. 경기 울산은 엇비슷했다.
전국적으로는 교통비보다 교육물가에 더 충격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반대로 부산 광주 대전 울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등 12개 시도는 교육물가보다 교통비에 더 민감한 것으로 확인됐다.
◆서민체감물가가 떨어지지 않는 이유 = 물가상승률이 올해 들어 큰 폭으로 낮아졌는데도 서민들의 체감물가 상승률은 크게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전월비로 따지면 교통비가 1.5%나 상승했고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가 1.0% 올랐다. 통신(-3.4%) 오락 및 문화(-0.2%) 보육시설이용료 등 기타상품 및 서비스(-4.7%)가 하락했더라도 서민들의 충격은 적지 않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유가의 공습 = 유가의 고공행진은 2%대 물가상승률을 안심하기 어려운 국면으로 몰아가고 있다. 유가상승은 직접적으로 교통비 연료비를 올리지만 간접적으로는 공공요금, 외식비 등 개인서비스요금 등을 부추긴다.
문제는 유가의 고공행진이 유류 소비 증가, 무역수지 악화, 환율 상승으로 이어져 수입물가를 상승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수입물가 상승은 공산품 상승을 부추겨 전체 물가를 다시 한번 들썩이게 하는 '2011년의 공포'를 재현할 수 있다.
기획재정부는 "석유제품이 3월에도 지난달에 이어 강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서민들의 구입빈도가 높은 농산물 등이 채소류를 중심으로 상승하고 있어 생활물가사준이 높는 상황"이라면서 "4월 총선이후 유가와 원자재가격 상승이 공공요금 개인서비스 공업제품 등에 점차 반영되는 등 불안요인이 현재화될 가능성도 상존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박준규 기자 jkpar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