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인식 요금함'보다 인건비가 저렴
전북 전주시가 시내버스 현금수익의 투명한 관리를 위해 '현금인식 요금함' 설치를 검토했으나 효율성 논란이 일면서 고민에 빠졌다. 요금함 설치·운영 비용이 인력을 투입할 경우에 비해 4배 정도 많이 들기 때문이다.
전주시는 시내버스 재정지원금(보조금)의 근거인 버스요금 수익산정과 관련해 노조측이 현금수익관리의 투명성 문제를 지적하자 현금인식 요금함 설치를 추진해 왔다. 그러나 시의회와 함께 국내 지자체 사례를 조사한 결과 사람이 수익금을 확인하는 것이 비용 측면에서 더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현금인식함을 현재 운행중인 버스 400대에 설치할 경우 17억1600만원의 초기비용과 매년 1억3400만원의 유지보수비가 들고 5년 후엔 기계를 교체해야 한다. 게다가 기계 오작동과 전송장애 등 2~5%의 오차가 발생하는 사례도 조사됐다.
반면 민간에 위탁해 수익금 확인업무를 벌이고 있는 대전시와 대구시의 경우 비용이 현금인식함의 1/4 가량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전주시에 적용하면 1억2300만원이면 충분하다.
단 '요금정산 외부위탁'에 버스회사가 동의하느냐가 과제다. 전주시는 조만간 시의회와 협의를 거쳐 수익금 확인방안을 결정한 뒤 이르면 올 9월부터 적용할 계획이다.
한편 지난 3월 시작된 버스노조 파업이 마무리돼 조합원들의 업무복귀가 이어지고 있다
전주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전북 전주시가 시내버스 현금수익의 투명한 관리를 위해 '현금인식 요금함' 설치를 검토했으나 효율성 논란이 일면서 고민에 빠졌다. 요금함 설치·운영 비용이 인력을 투입할 경우에 비해 4배 정도 많이 들기 때문이다.
전주시는 시내버스 재정지원금(보조금)의 근거인 버스요금 수익산정과 관련해 노조측이 현금수익관리의 투명성 문제를 지적하자 현금인식 요금함 설치를 추진해 왔다. 그러나 시의회와 함께 국내 지자체 사례를 조사한 결과 사람이 수익금을 확인하는 것이 비용 측면에서 더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현금인식함을 현재 운행중인 버스 400대에 설치할 경우 17억1600만원의 초기비용과 매년 1억3400만원의 유지보수비가 들고 5년 후엔 기계를 교체해야 한다. 게다가 기계 오작동과 전송장애 등 2~5%의 오차가 발생하는 사례도 조사됐다.
반면 민간에 위탁해 수익금 확인업무를 벌이고 있는 대전시와 대구시의 경우 비용이 현금인식함의 1/4 가량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전주시에 적용하면 1억2300만원이면 충분하다.
단 '요금정산 외부위탁'에 버스회사가 동의하느냐가 과제다. 전주시는 조만간 시의회와 협의를 거쳐 수익금 확인방안을 결정한 뒤 이르면 올 9월부터 적용할 계획이다.
한편 지난 3월 시작된 버스노조 파업이 마무리돼 조합원들의 업무복귀가 이어지고 있다
전주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