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에 대한 '이중잣대' 도마 위 … 제주도·광주 "마음의 상처"
이명박 대통령의 현대사에 대한 이중잣대가 제주도와 광주 등 역사적 아픔을 안고 있는 지역주민들에게 마음의 상처를 더해 주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19일 4·19혁명 52주년을 맞이해 강북구 수유동 4·19민주묘지를 참배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2009년 이래 매년 민주묘지를 직접 참배하며 4·19 혁명에 대한 각별한 의미를 부여했다. 그런데 이 같은 이 대통령의 관심과 애정은 5·18민주화 운동이나 4·3제주사건과 마주하면 전혀 달라진다.

<이 대통령,="" 국립="" 4·19묘지="" 찾아="" 분향="" 이명박="" 대통령이="" 19일="" 오전="" 박승춘="" 국가보훈처장,="" 4·19="" 관계자="" 등과="" 서울="" 강북구="" 수유리="" 국립="" 4·19="" 민주묘지를="" 찾아="" 헌화,="" 분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3년 연속 불참 두려움인가" = 대통령 취임 첫해인 2008년 이 대통령은 광주시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기념식에 참석했다. 하지만 그 이후 지난해까지 내리 3년 동안은 기념식에 참석하지 않고 국무총리 등을 대신 참석케 했다. 이를 두고 시민사회단체와 야권에서는 "광주시민과 국민을 무시하는 처사"라며 흥분했다.
특히 민주당은 지난해 당차원의 성명을 통해 "이 대통령이 3년 연속 5·18기념식에 참석하지 않는다면 이는 민주영령의 숭고한 가치를 훼손하는 것으로 대통령의 민주화에 대한 천박한 인식을 보여주는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또 진보적 지식인으로 꼽히는 조국 서울대 교수도 자신의 트위터에 "이명박 대통령, 국가기념식인 5·18기념식 3년 연속 불참. 참석했다가 돌 맞을까봐 두려워하거나, 아니면 속으로 '5·18은 폭도의 준동'으로 생각하고 있거나…"라며 비꼬았다.
◆"이념이 아니라 현대사의 아픔" = 5·18기념식만이 아니다. 우리나라 현대사의 또 다른 큰 아픔인 제주 4·3사건에 대해서는 더욱 심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2007년 3월 대통령 예비후보 자격으로 제주시 봉재동에 위치한 제주4·3평화공원을 찾은 적이 있지만 대통령에 당선된 뒤에는 단 한 차례도 방문하거나 위령제에 참석하지 않았다.
지난 3일 열린 제64주기 위령제가 이 대통령이 임기 중에 참석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였지만 끝내 외면하면서 제주도민들은 크게 낙심했다. 당시 제주도의회와 4·3유족회, 심지어 새누리당 제주도당까지 대통령의 참석을 촉구했지만 이 대통령은 참석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홍성수 유족회장은 "64주년 위령제에 이명박 대통령이 참석하지 못함을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이 자리에서 유감의 뜻을 표한다"고 공개적으로 불만을 표시하기도 했다.
이날 정부 측 인사로 참석한 김황식 국무총리는 추도사를 통해 "제주4·3사건은 정부가 진상을 확인하고 공식적으로 사과한 사건으로 더 이상 소모적인 이념대립의 희생대 위에 올라선 안된다"면서 "제주4·3사건은 우리들에게 평화와 인권의 가치를 되새기게 하는 비극적 교훈으로 우리는 역사가 주는 이 교훈을 잊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김 총리는 이날 유족들의 바람과 달리 정부차원의 추가진상조사 약속 등에 대해 전혀 언급하지 않아 또 다른 불만을 자초하기도 했다.
한편 이와는 별개로 지난 4·11 총선을 앞두고 새누리당은 4·3사건을 '공산주의자가 주도한 폭동'이라고 주장한 뉴라이트 계열의 이영조 바른사회시민회의 공동대표를 서울 강남을에 전략공천했다가 여론의 거센 반발로 공천을 취소하는 일까지 벌어지기도 했다. 이를 두고 이 대통령과 새누리당의 상당수 인사들은 4·3사건을 여전히 이념적 잣대로 접근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민주통합당 김재윤 의원(제주 서귀포시)은 이에 대해 "임기 내에 위령제에 한 번도 참석하지 않은 것이나 뉴라이트 등에서 4·3사건을 왜곡하는 데도 뒷짐만 지고 있는 현실이 서글프다"면서 "이념의 잣대로 국민과 국론을 분열시키는 것이 아니라 갈등을 조정하고 국민의 아픔을 치유하는 것이 대통령의 역할"이라고 주장했다. 이념의 잣대가 아니라 아픈 현대사에 희생된 이웃으로 바라봐야 한다는 의미다.
아직 마지막 기회는 남았다. 다음 달에 있을 5·18 32주년 기념식이다. 대통령의 참석여부에 다시 한 번 국민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재철 기자 jcju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이>
이명박 대통령의 현대사에 대한 이중잣대가 제주도와 광주 등 역사적 아픔을 안고 있는 지역주민들에게 마음의 상처를 더해 주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19일 4·19혁명 52주년을 맞이해 강북구 수유동 4·19민주묘지를 참배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2009년 이래 매년 민주묘지를 직접 참배하며 4·19 혁명에 대한 각별한 의미를 부여했다. 그런데 이 같은 이 대통령의 관심과 애정은 5·18민주화 운동이나 4·3제주사건과 마주하면 전혀 달라진다.

<이 대통령,="" 국립="" 4·19묘지="" 찾아="" 분향="" 이명박="" 대통령이="" 19일="" 오전="" 박승춘="" 국가보훈처장,="" 4·19="" 관계자="" 등과="" 서울="" 강북구="" 수유리="" 국립="" 4·19="" 민주묘지를="" 찾아="" 헌화,="" 분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3년 연속 불참 두려움인가" = 대통령 취임 첫해인 2008년 이 대통령은 광주시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기념식에 참석했다. 하지만 그 이후 지난해까지 내리 3년 동안은 기념식에 참석하지 않고 국무총리 등을 대신 참석케 했다. 이를 두고 시민사회단체와 야권에서는 "광주시민과 국민을 무시하는 처사"라며 흥분했다.
특히 민주당은 지난해 당차원의 성명을 통해 "이 대통령이 3년 연속 5·18기념식에 참석하지 않는다면 이는 민주영령의 숭고한 가치를 훼손하는 것으로 대통령의 민주화에 대한 천박한 인식을 보여주는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또 진보적 지식인으로 꼽히는 조국 서울대 교수도 자신의 트위터에 "이명박 대통령, 국가기념식인 5·18기념식 3년 연속 불참. 참석했다가 돌 맞을까봐 두려워하거나, 아니면 속으로 '5·18은 폭도의 준동'으로 생각하고 있거나…"라며 비꼬았다.
◆"이념이 아니라 현대사의 아픔" = 5·18기념식만이 아니다. 우리나라 현대사의 또 다른 큰 아픔인 제주 4·3사건에 대해서는 더욱 심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2007년 3월 대통령 예비후보 자격으로 제주시 봉재동에 위치한 제주4·3평화공원을 찾은 적이 있지만 대통령에 당선된 뒤에는 단 한 차례도 방문하거나 위령제에 참석하지 않았다.
지난 3일 열린 제64주기 위령제가 이 대통령이 임기 중에 참석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였지만 끝내 외면하면서 제주도민들은 크게 낙심했다. 당시 제주도의회와 4·3유족회, 심지어 새누리당 제주도당까지 대통령의 참석을 촉구했지만 이 대통령은 참석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홍성수 유족회장은 "64주년 위령제에 이명박 대통령이 참석하지 못함을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이 자리에서 유감의 뜻을 표한다"고 공개적으로 불만을 표시하기도 했다.
이날 정부 측 인사로 참석한 김황식 국무총리는 추도사를 통해 "제주4·3사건은 정부가 진상을 확인하고 공식적으로 사과한 사건으로 더 이상 소모적인 이념대립의 희생대 위에 올라선 안된다"면서 "제주4·3사건은 우리들에게 평화와 인권의 가치를 되새기게 하는 비극적 교훈으로 우리는 역사가 주는 이 교훈을 잊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김 총리는 이날 유족들의 바람과 달리 정부차원의 추가진상조사 약속 등에 대해 전혀 언급하지 않아 또 다른 불만을 자초하기도 했다.
한편 이와는 별개로 지난 4·11 총선을 앞두고 새누리당은 4·3사건을 '공산주의자가 주도한 폭동'이라고 주장한 뉴라이트 계열의 이영조 바른사회시민회의 공동대표를 서울 강남을에 전략공천했다가 여론의 거센 반발로 공천을 취소하는 일까지 벌어지기도 했다. 이를 두고 이 대통령과 새누리당의 상당수 인사들은 4·3사건을 여전히 이념적 잣대로 접근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민주통합당 김재윤 의원(제주 서귀포시)은 이에 대해 "임기 내에 위령제에 한 번도 참석하지 않은 것이나 뉴라이트 등에서 4·3사건을 왜곡하는 데도 뒷짐만 지고 있는 현실이 서글프다"면서 "이념의 잣대로 국민과 국론을 분열시키는 것이 아니라 갈등을 조정하고 국민의 아픔을 치유하는 것이 대통령의 역할"이라고 주장했다. 이념의 잣대가 아니라 아픈 현대사에 희생된 이웃으로 바라봐야 한다는 의미다.
아직 마지막 기회는 남았다. 다음 달에 있을 5·18 32주년 기념식이다. 대통령의 참석여부에 다시 한 번 국민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재철 기자 jcju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이>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