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미수출 11% 증가 수입증가는 2% 불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된지 두달을 넘긴 시행초반에 역시 한국이 더 큰 효과를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미 FTA가 3월 15일 발효시행된 이래 두달동안 한국은 미국에 대한 수출이 11% 늘어난 것 으로 집계됐다. 한국의 미국상품 수입은 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은 지난 4월 한국과의 교역에서 무역수지 적자가 전달에 비해 무려 3배로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미 상무부가 8일 발표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지난 4월 한국으로부터의 상품수입액은 총 55억 달러로, 전달의 48억달러에 비해 14.6%나 증가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한국으로의 상품 수출액은 총 37억달러로, 전달42억달러보다 오히려 12%나 감소했다.
이에 따라 미국의 대 한국 무역적자는 총 18억달러를 기록, 전달6억달러에 비해 3배로 늘어났다.
지난해 같은 달10억달러와 비교해서도 거의 2배 수준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올들어 지난 4월까지 누적 무역수지적자도 41억20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35억2000만 달러 보다 17.1%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미국이 주로 적자를 보고 있는 자동차 및 부품 부문에서 16억5000천만달러의 적자를 기록, 전달14억5000만달러보다 크게 늘어났다.
이같은 통계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시행초반부터 한국에게 더 큰 이익을 안겨주고 있음을 확인해 주고 있다.
한국으로서는 전반적으로 수출입이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교역만 늘어나고 있다.
han5907@ao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된지 두달을 넘긴 시행초반에 역시 한국이 더 큰 효과를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미 FTA가 3월 15일 발효시행된 이래 두달동안 한국은 미국에 대한 수출이 11% 늘어난 것 으로 집계됐다. 한국의 미국상품 수입은 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은 지난 4월 한국과의 교역에서 무역수지 적자가 전달에 비해 무려 3배로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미 상무부가 8일 발표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지난 4월 한국으로부터의 상품수입액은 총 55억 달러로, 전달의 48억달러에 비해 14.6%나 증가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한국으로의 상품 수출액은 총 37억달러로, 전달42억달러보다 오히려 12%나 감소했다.
이에 따라 미국의 대 한국 무역적자는 총 18억달러를 기록, 전달6억달러에 비해 3배로 늘어났다.
지난해 같은 달10억달러와 비교해서도 거의 2배 수준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올들어 지난 4월까지 누적 무역수지적자도 41억20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35억2000만 달러 보다 17.1%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미국이 주로 적자를 보고 있는 자동차 및 부품 부문에서 16억5000천만달러의 적자를 기록, 전달14억5000만달러보다 크게 늘어났다.
이같은 통계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시행초반부터 한국에게 더 큰 이익을 안겨주고 있음을 확인해 주고 있다.
한국으로서는 전반적으로 수출입이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교역만 늘어나고 있다.
han5907@ao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