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안전성 입증" … 주민·시민단체 "못믿어"
정부가 정전사고와 은폐 등으로 가동 중단됐던 고리 원전 1호기의 재가동을 허용했다.
하지만 지역 주민과 시민단체들이 거세가 반발하고 있어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원자력안전위는 4일 정전사고의 직접적 원인인 비상시 전력공급설비와 원자로 압력용기, 납품비리에 관련된 부품, 장기 가동에 따른 성능을 확인한 결과 재가동에 문제가 없다는 판단을 내렸다고 밝혔다.
안전기술원은 분야별 전문가 36명을 투입해 143회에 걸쳐 현장점검을 하고, 특별점검위의 경우 학계 및 산업계의 전력계통 민간전문가 7명이 현장점검 7회, 성능시험 6회 등을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원자로 압력용기 역시 허용기준을 넘는 균열이 없어 수명기간이 만료되는 2017년까지 운전해도 안전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한다.
이에 따라 지식경제부와 한국수력원자력은 이날 안전위 승인에 따라 법적으로 고리 1호기를 즉시 재가동할 수 있게 됐다. 다만 지경부 관계자는 "안전성 점검결과와 한수원의 안전운영 방향에 대해 국민과 지역주민들에게 설명하고 이해를 구하는 등 충분한 소통활동을 한 후 적절한 시점에 재가동에 착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재가동 승인에 대해 해당지역 주민과 시민환경단체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반핵부산시민대책위원회와 탈핵부산시민공동행동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안전위 안전점검 결과는 신뢰할 수 없어 무효"라며 고리 1호기의 완전 폐쇄를 촉구했다.
이들은 원전에서 가장 중요한 원자로 용기의 건전성 평가시 주민 참여가 없었다는 점, 미국과 프랑스 원자력규제위원회로부터 점검을 받자는 요구가 묵살됐다는 점 등을 지적했다.
탈핵에너지전환 국회의원모임(대표 유인태)도 "기존 조사결과를 그대로 재확인하는 데 그쳤고, 외부의 비판적 전문가들을 배제된 채 조사를 진행해 객관성을 상실했다"며 "고리1호기 즉각 폐쇄"를 주장했다.
한편 고리 원전 1호기는 1978년 4월 우리나라 최초로 원전 가동을 시작했으며, 2007년 6월, 30년의 설계수명기간이 만료돼 가동을 중단했다.
이후 7개월간의 안전성 검사와 주민합의 등을 거쳐 2008년 재가동에 돌입(수명연장 10년)했으나 올 2월 계획예방정비 기간 중 정전사고, 보고은폐를 이유로 3월 13일부터 가동 중단된 상태다.
연간 발전량은 47억6700만kWh로, 경기도 안양시 주민이 1년간 쓰는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이재호 기자 jhlee@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정부가 정전사고와 은폐 등으로 가동 중단됐던 고리 원전 1호기의 재가동을 허용했다.
하지만 지역 주민과 시민단체들이 거세가 반발하고 있어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원자력안전위는 4일 정전사고의 직접적 원인인 비상시 전력공급설비와 원자로 압력용기, 납품비리에 관련된 부품, 장기 가동에 따른 성능을 확인한 결과 재가동에 문제가 없다는 판단을 내렸다고 밝혔다.
안전기술원은 분야별 전문가 36명을 투입해 143회에 걸쳐 현장점검을 하고, 특별점검위의 경우 학계 및 산업계의 전력계통 민간전문가 7명이 현장점검 7회, 성능시험 6회 등을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원자로 압력용기 역시 허용기준을 넘는 균열이 없어 수명기간이 만료되는 2017년까지 운전해도 안전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한다.
이에 따라 지식경제부와 한국수력원자력은 이날 안전위 승인에 따라 법적으로 고리 1호기를 즉시 재가동할 수 있게 됐다. 다만 지경부 관계자는 "안전성 점검결과와 한수원의 안전운영 방향에 대해 국민과 지역주민들에게 설명하고 이해를 구하는 등 충분한 소통활동을 한 후 적절한 시점에 재가동에 착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재가동 승인에 대해 해당지역 주민과 시민환경단체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반핵부산시민대책위원회와 탈핵부산시민공동행동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안전위 안전점검 결과는 신뢰할 수 없어 무효"라며 고리 1호기의 완전 폐쇄를 촉구했다.
이들은 원전에서 가장 중요한 원자로 용기의 건전성 평가시 주민 참여가 없었다는 점, 미국과 프랑스 원자력규제위원회로부터 점검을 받자는 요구가 묵살됐다는 점 등을 지적했다.
탈핵에너지전환 국회의원모임(대표 유인태)도 "기존 조사결과를 그대로 재확인하는 데 그쳤고, 외부의 비판적 전문가들을 배제된 채 조사를 진행해 객관성을 상실했다"며 "고리1호기 즉각 폐쇄"를 주장했다.
한편 고리 원전 1호기는 1978년 4월 우리나라 최초로 원전 가동을 시작했으며, 2007년 6월, 30년의 설계수명기간이 만료돼 가동을 중단했다.
이후 7개월간의 안전성 검사와 주민합의 등을 거쳐 2008년 재가동에 돌입(수명연장 10년)했으나 올 2월 계획예방정비 기간 중 정전사고, 보고은폐를 이유로 3월 13일부터 가동 중단된 상태다.
연간 발전량은 47억6700만kWh로, 경기도 안양시 주민이 1년간 쓰는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이재호 기자 jhlee@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