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성북구 등 5개구 지정
서울시가 지역단위로 마을기업, 협동조합 등 사회적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각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사회적경제 지역생태계 개발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서울시는 지역별 사회적경제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성북·금천·은평·관악·도봉 등 5개구 특화사업단을 지원 대상으로 선정했다고 11일 밝혔다. 사회적경제는 이윤 극대화를 목적으로 하는 일반 기업과 달리 취약계층에 사회서비스나 일자리 제공 등 사회적 목적실현을 추구하는 사회적기업, 협동조합기업 등이 만들어내는 경제를 말한다.
시는 이들 사업단에 1년간 최고 3억원의 사업비를 주고 추진 성과에 따라 2년간 사업비를 추가 지원한다. 사업단은 마을기업, 사회적기업, 자활공동체, 협동조합 등 사회적경제 조직의 창업과 성장, 시장 조성, 재생산과 재투자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한다고 시는 설명했다.
성북구는 사회적기업 허브센터 인프라를 이용해 사회적기업을 발굴하고 사회적경제 시장조성 및 기금조성을 위한 로드맵을 개발하고, 금천구는 공정건축네트워크, 봉제·디자인협동네트워크 구축사업과 민간 자율공시 운동 등을 추진한다.
은평구는 구 은평소방서 자리에 사회적경제허브센터를 설치하고 사회적경제 우호적 시장조성, 산새마을 사회적재생 등의 특화사업에 나선다. 관악구는 관악사회적경제센터를 설치하고 사회적경제에 대한 종합지원시스템 구축과 소비시장 촉진, 민간 자원 연계사업을 추진하며, 도봉구는 사회적경제 허브센터를 조성해 기업인큐베이팅, 교육, 경영 및 마케팅 지원 등을 중점적으로 진행한다.
'사회적경제 지역특화사업'은 민간기관이 직접 그 지역의 특성과 자원을 조사해 이를 바탕으로 지역기반형 기업을 발굴하는 사업이다. 또 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시장을 조성하고 소비자 인식개선, 홍보 등을 통해 지역역량 강화는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도 돕는다. 기업간 네트워크 구축, 전문가 양성, 지역자원연계 등 기업의 경영능력 개선과 지속 성장을 지원할 시스템도 함께 가동한다.
이번 사업 공모에는 총 14개 지역의 20개 사업단이 신청했으며 심사를 통해 5개 사업단이 선정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자치구들이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지만 실제로는 경영지원 수준에만 머물러 있었다"며 "이번 사업을 통해 사회적기업들이 자생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선일 기자 si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가 지역단위로 마을기업, 협동조합 등 사회적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각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사회적경제 지역생태계 개발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서울시는 지역별 사회적경제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성북·금천·은평·관악·도봉 등 5개구 특화사업단을 지원 대상으로 선정했다고 11일 밝혔다. 사회적경제는 이윤 극대화를 목적으로 하는 일반 기업과 달리 취약계층에 사회서비스나 일자리 제공 등 사회적 목적실현을 추구하는 사회적기업, 협동조합기업 등이 만들어내는 경제를 말한다.
시는 이들 사업단에 1년간 최고 3억원의 사업비를 주고 추진 성과에 따라 2년간 사업비를 추가 지원한다. 사업단은 마을기업, 사회적기업, 자활공동체, 협동조합 등 사회적경제 조직의 창업과 성장, 시장 조성, 재생산과 재투자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한다고 시는 설명했다.
성북구는 사회적기업 허브센터 인프라를 이용해 사회적기업을 발굴하고 사회적경제 시장조성 및 기금조성을 위한 로드맵을 개발하고, 금천구는 공정건축네트워크, 봉제·디자인협동네트워크 구축사업과 민간 자율공시 운동 등을 추진한다.
은평구는 구 은평소방서 자리에 사회적경제허브센터를 설치하고 사회적경제 우호적 시장조성, 산새마을 사회적재생 등의 특화사업에 나선다. 관악구는 관악사회적경제센터를 설치하고 사회적경제에 대한 종합지원시스템 구축과 소비시장 촉진, 민간 자원 연계사업을 추진하며, 도봉구는 사회적경제 허브센터를 조성해 기업인큐베이팅, 교육, 경영 및 마케팅 지원 등을 중점적으로 진행한다.
'사회적경제 지역특화사업'은 민간기관이 직접 그 지역의 특성과 자원을 조사해 이를 바탕으로 지역기반형 기업을 발굴하는 사업이다. 또 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시장을 조성하고 소비자 인식개선, 홍보 등을 통해 지역역량 강화는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도 돕는다. 기업간 네트워크 구축, 전문가 양성, 지역자원연계 등 기업의 경영능력 개선과 지속 성장을 지원할 시스템도 함께 가동한다.
이번 사업 공모에는 총 14개 지역의 20개 사업단이 신청했으며 심사를 통해 5개 사업단이 선정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자치구들이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지만 실제로는 경영지원 수준에만 머물러 있었다"며 "이번 사업을 통해 사회적기업들이 자생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선일 기자 si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