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부름업자, 구청·이동통신 3사서 개인정보 무작위 빼내
심부름 업자들에게 돈을 받고 개인정보를 유출한 공무원, 통신사 직원, 보험설계사 등이 무더기로 경찰에 붙잡혔다.
25일 서울지방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는 주민등록정보와 통신사 고객 가입자 정보, 차량소유자 정보 등 개인정보를 유출하고 유가증권 등을 위조한 혐의(개인정보보호법 위반·유가증권 위조 및 행사 등)로 심부름센터 운영자와 직원 13명을 검거해 이중 7명을 구속하고 6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밝혔다.
또 이들 업자로부터 돈을 받고 주민등록번호와 주소, 가족사항 등을 유출한 구청 공무원과 고객정보를 넘긴 SK텔레콤·KT·LG유플러스의 콜센터·대리점 직원, 보험설계사 등 18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대기업 통신사 콜센터와 대리점에 근무하는 장 모씨(31·여) 등 8명은 심부름센터 운영자 홍 모씨(36·구속)로부터 건당 3만~5만원, 월 150만~250만원을 받고 통신사 고객정보 시스템에 접속해 전화번호와 주민등록번호, 요금청구서 수령 주소 등을 알아내 넘겼다.
또 홍씨와 박 모씨(34·여·구속)는 50만원 이상의 채권·채무 관계가 있을 경우 주민등록 초본을 발급받을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해 직원 오 모씨(35·불구속) 등 2명을 시켜 유가증권을 위조한 뒤 주민센터와 구청에 제출해 주민등록 초본을 발급받았다.
이들은 발급받은 초본과 위임장을 위조해 주민등록등본을 발급받는 수법으로 2010년 3월부터 지난해 11월까지 총 400여건의 주민등록 정보를 빼낸 혐의를 받고 있다.
2010년 3월부터 지난 6월 사이 통신사 콜센터와 대리점 직원, 보험설계사 등에게 건당 3만~5만원의 돈을 주고 전화번호, 주소, 차량정보 등 각종 개인정보를 사들인 뒤 의뢰인이나 다른 심부름센터 업자에게 건당 8만~35만원을 받고 되파는 수법으로 총 4억2000여만원을 받아 챙긴 것으로 드러났다.
심부름센터 운영자 고 모씨(36·구속)는 개인정보를 되팔아 돈을 챙겼고 이들 정보를 이용해 홈쇼핑 사이트 등에 가입한 뒤 이름과 전화번호를 이용해 택배송장번호와 배송지를 알아낸 뒤 이 정보를 다른 심부름센터에 다시 팔았다.
이 과정에서 구청 공무원 등은 돈을 받고 주민등록 정보를 팔아 넘겼다.
D구청 민원실에서 근무하는 공무원 정 모씨(54·불구속)는 지난해 12월부터 지난 3월까지 심부름센터를 운영하는 동생 정 모씨(51·불구속)의 부탁을 받고 함께 근무하는 직원과 공익근무요원 등을 시켜 시·군·구 주민등록관리시스템에 접속해 주민등록등본과 초본, 가족관계증명서 등 16건을 유출한 혐의를 받고 있다.
E자치센터에 근무하는 공무원 정 모씨(40·불구속 입건)는 자신에게 돈을 빌려준 심부름센터 운영자 이 모씨(50·불구속)로부터 "개인정보를 빼주면 돈을 주겠다"는 제의를 받고 건당 5만원을 받거나 빚을 탕감하는 조건으로 지난 2월부터 3개월동안 자신의 아이디로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시스템에 접속해 개인정보 80건을 빼냈다.
F보험사 보험설계사인 김 모씨(33·불구속)는 홍씨로부터 의뢰를 받은 후 자신이 8개 자동차보험사의 보험조회·계약시스템 아이디를 가지고 있는 것을 이용해 지난해 6월부터 지난 4월까지 개인소유 차량번호와 주소, 소유주 인적사항 등 70건을 유출했다.
유출된 개인정보는 채권추심, 이혼소송 관련증거 수집 등에 이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이혼한 전 부인를 찾거나 결혼 전 상대방 가족에 대해 알아보려고 개인정보를 의뢰한 경우도 있었다.
경찰 관계자는 "심부름센터에 돈을 주고 의뢰만 하면 주소와 전화번호 등 타인의 개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는 소문이 사실로 확인됐다"며 "직원들에 의해 개인정보가 유출된 관공서와 통신사는 경찰의 통보가 있기 전까지 정보유출 사실을 전혀 알지 못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정석용 기자 syju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심부름 업자들에게 돈을 받고 개인정보를 유출한 공무원, 통신사 직원, 보험설계사 등이 무더기로 경찰에 붙잡혔다.
25일 서울지방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는 주민등록정보와 통신사 고객 가입자 정보, 차량소유자 정보 등 개인정보를 유출하고 유가증권 등을 위조한 혐의(개인정보보호법 위반·유가증권 위조 및 행사 등)로 심부름센터 운영자와 직원 13명을 검거해 이중 7명을 구속하고 6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밝혔다.
또 이들 업자로부터 돈을 받고 주민등록번호와 주소, 가족사항 등을 유출한 구청 공무원과 고객정보를 넘긴 SK텔레콤·KT·LG유플러스의 콜센터·대리점 직원, 보험설계사 등 18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대기업 통신사 콜센터와 대리점에 근무하는 장 모씨(31·여) 등 8명은 심부름센터 운영자 홍 모씨(36·구속)로부터 건당 3만~5만원, 월 150만~250만원을 받고 통신사 고객정보 시스템에 접속해 전화번호와 주민등록번호, 요금청구서 수령 주소 등을 알아내 넘겼다.
또 홍씨와 박 모씨(34·여·구속)는 50만원 이상의 채권·채무 관계가 있을 경우 주민등록 초본을 발급받을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해 직원 오 모씨(35·불구속) 등 2명을 시켜 유가증권을 위조한 뒤 주민센터와 구청에 제출해 주민등록 초본을 발급받았다.
이들은 발급받은 초본과 위임장을 위조해 주민등록등본을 발급받는 수법으로 2010년 3월부터 지난해 11월까지 총 400여건의 주민등록 정보를 빼낸 혐의를 받고 있다.
2010년 3월부터 지난 6월 사이 통신사 콜센터와 대리점 직원, 보험설계사 등에게 건당 3만~5만원의 돈을 주고 전화번호, 주소, 차량정보 등 각종 개인정보를 사들인 뒤 의뢰인이나 다른 심부름센터 업자에게 건당 8만~35만원을 받고 되파는 수법으로 총 4억2000여만원을 받아 챙긴 것으로 드러났다.
심부름센터 운영자 고 모씨(36·구속)는 개인정보를 되팔아 돈을 챙겼고 이들 정보를 이용해 홈쇼핑 사이트 등에 가입한 뒤 이름과 전화번호를 이용해 택배송장번호와 배송지를 알아낸 뒤 이 정보를 다른 심부름센터에 다시 팔았다.
이 과정에서 구청 공무원 등은 돈을 받고 주민등록 정보를 팔아 넘겼다.
D구청 민원실에서 근무하는 공무원 정 모씨(54·불구속)는 지난해 12월부터 지난 3월까지 심부름센터를 운영하는 동생 정 모씨(51·불구속)의 부탁을 받고 함께 근무하는 직원과 공익근무요원 등을 시켜 시·군·구 주민등록관리시스템에 접속해 주민등록등본과 초본, 가족관계증명서 등 16건을 유출한 혐의를 받고 있다.
E자치센터에 근무하는 공무원 정 모씨(40·불구속 입건)는 자신에게 돈을 빌려준 심부름센터 운영자 이 모씨(50·불구속)로부터 "개인정보를 빼주면 돈을 주겠다"는 제의를 받고 건당 5만원을 받거나 빚을 탕감하는 조건으로 지난 2월부터 3개월동안 자신의 아이디로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시스템에 접속해 개인정보 80건을 빼냈다.
F보험사 보험설계사인 김 모씨(33·불구속)는 홍씨로부터 의뢰를 받은 후 자신이 8개 자동차보험사의 보험조회·계약시스템 아이디를 가지고 있는 것을 이용해 지난해 6월부터 지난 4월까지 개인소유 차량번호와 주소, 소유주 인적사항 등 70건을 유출했다.
유출된 개인정보는 채권추심, 이혼소송 관련증거 수집 등에 이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이혼한 전 부인를 찾거나 결혼 전 상대방 가족에 대해 알아보려고 개인정보를 의뢰한 경우도 있었다.
경찰 관계자는 "심부름센터에 돈을 주고 의뢰만 하면 주소와 전화번호 등 타인의 개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는 소문이 사실로 확인됐다"며 "직원들에 의해 개인정보가 유출된 관공서와 통신사는 경찰의 통보가 있기 전까지 정보유출 사실을 전혀 알지 못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정석용 기자 syju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