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10~12월 강북지역서 10대 시범운영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전기를 동력으로 움직이는 소형 장애인콜택시를 운행한다. 서울시는 오는 10월부터 지체 및 뇌병변 1·2급 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는 장애인콜택시 전기차 10대를 강북지역에서 시범운행한다고 30일 밝혔다.
현재 시중에 보급된 전기차는 소형차인 '레이(RAY)'뿐이라 장애인콜택시 전기차 역시 이 차종으로 공급된다. 레이에는 휠체어 탑승설비를 장착할 수 없기 때문에 휠체어를 이용하지 않는 장애인만 이용할 수 있다.
현재 보급 운행 중인 장애인콜택시 총 330대 전부가 휠체어 탑승설비를 특수 장착한 중형 차량이어서 높은 문턱으로 인한 승·하차, 연료비 과소비 등 문제가 지적돼 왔다고 서울시는 밝혔다.
시는 또 소형 전기차를 장애인콜택시로 보급해 연료비 절감이나 대기환경 개선 등의 다양한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료비는 경유를 사용하는 장애인콜택시에 비해 약 1/10분 수준이라 연간 804만원 이상을 절약할 수 있다.
시범운영 지역은 병원, 학교 등이 몰려 있어 평상시 장애인콜택시 수요가 많은 도봉구, 강북구, 노원구, 중랑구, 성북구 등 강북지역 5곳이다.
장애인콜택시 전기차를 이용하려면 전화(1588-4388)하거나 인터넷으로 접수하면 된다. 요금은 기존 장애인콜택시 이용요금과 같다.
시는 운행지역 5곳에 급·완속 충전시설을 설치해 운전자들이 쉽게 충전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시는 12월까지인 시범운영기간에 전기차와 충전시설 성능, 운행패턴, 운전자와 이용자 만족도 등을 파악해 전기차 보급을 확대할지 결정할 방침이다.
김선일 기자 si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전기를 동력으로 움직이는 소형 장애인콜택시를 운행한다. 서울시는 오는 10월부터 지체 및 뇌병변 1·2급 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는 장애인콜택시 전기차 10대를 강북지역에서 시범운행한다고 30일 밝혔다.
현재 시중에 보급된 전기차는 소형차인 '레이(RAY)'뿐이라 장애인콜택시 전기차 역시 이 차종으로 공급된다. 레이에는 휠체어 탑승설비를 장착할 수 없기 때문에 휠체어를 이용하지 않는 장애인만 이용할 수 있다.
현재 보급 운행 중인 장애인콜택시 총 330대 전부가 휠체어 탑승설비를 특수 장착한 중형 차량이어서 높은 문턱으로 인한 승·하차, 연료비 과소비 등 문제가 지적돼 왔다고 서울시는 밝혔다.
시는 또 소형 전기차를 장애인콜택시로 보급해 연료비 절감이나 대기환경 개선 등의 다양한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료비는 경유를 사용하는 장애인콜택시에 비해 약 1/10분 수준이라 연간 804만원 이상을 절약할 수 있다.
시범운영 지역은 병원, 학교 등이 몰려 있어 평상시 장애인콜택시 수요가 많은 도봉구, 강북구, 노원구, 중랑구, 성북구 등 강북지역 5곳이다.
장애인콜택시 전기차를 이용하려면 전화(1588-4388)하거나 인터넷으로 접수하면 된다. 요금은 기존 장애인콜택시 이용요금과 같다.
시는 운행지역 5곳에 급·완속 충전시설을 설치해 운전자들이 쉽게 충전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시는 12월까지인 시범운영기간에 전기차와 충전시설 성능, 운행패턴, 운전자와 이용자 만족도 등을 파악해 전기차 보급을 확대할지 결정할 방침이다.
김선일 기자 si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