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체 유기과정 주도면밀 … 경찰 의사진술 확인 위해 부검
40대 남자 산부인과 의사가 30대 여성의 시신을 버리고 달아났다가 경찰에 자수했다.
서울 서초경찰서는 1일 강남구 신사동의 한 산부인과 소속 의사 김 모씨(45)를 사체유기 등의 혐의로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김 씨는 경찰에서 "지난달 30일 오후 10시 반경 산부인과에서 A씨(30·여)에게 수면유도제인 '미다졸람' 5mg을 주사로 투여했다"며 "주사를 맞고 잠든 A씨를 두 시간쯤 뒤 깨우러 갔을 때 이미 숨져 있었다"고 진술했다.
또 "진료 중에 환자가 숨진 사실이 알려지면 병원에 누를 끼치고 나 자신의 인생이 끝난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김씨는 숨진 A씨와는 1년전 진료를 계기로 만나 병원에서도 종종 만나는 사이로 알려졌다.
김씨는 의사 7~8명이 근무하는 중대형 산부인과의 '월급의사'다.
경찰 조사 결과 이번 진료도 김 씨가 개인적으로 A씨와 약속을 하고 병원에서 따로 만난 것으로 파악됐다. 김 씨는 A씨가 사망한 지 23시간만인 7월 31일 오후 9시 반쯤 변호사와 함께 경찰서를 찾아가 자수했다.
김 씨는 "시신을 유기한 것에 죄책감을 느껴 자수를 결심했다"고 밝혔지만 경찰은 여러가지 정황에서 김씨의 이야기가 설득력이 없다고 보고 있다.
의료사고로 처리될 수 있는 상황에서 적발되면 훨씬 중한 처벌을 받는 시신 유기를 선택한 김 씨의 행위는 납득하기 어렵다는 것.
또 김 씨는 시신을 옮기는 과정에서 주도면밀한 모습을 보였다. 경찰에 따르면 김씨는 숨진 A씨에게 마스크를 씌운 채 휠체어에 태워 지하 주차장에 있는 자신의 승용차로 옮긴 뒤 조수석에 앉혔다.
출발하려던 김 씨는 병원 측의 '진료 콜'을 받고 다시 병원에 들어갔다. 3시간 가량 진료를 하고 나온 김 씨는 31일 오전 4시 반쯤 자신의 차에 있던 시신을 A씨의 아우디 차량 조수석으로 옮긴 뒤 그 차를 몰고 한강잠원지구 주차장으로 갔다. 김 씨는 차를 주차장에 둔 채 떠났다. 이날 오후 한 시민이 숨져 있는 A씨를 발견해 경찰에 신고했다.
A씨 시신에 외상 흔적은 없었지만 수면유도제 투입만으로 사망했다는 것도 의문스럽다. 김 씨는 경찰 조사에서 "A씨는 평소 우울증과 불면증이 있었고 사건 당일 피곤하다며 수면진정제를 놓아 달라고 했다"며 "미다졸람 5mg 외에 다른 약물을 투여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하지만 미다졸람 5mg으로 사망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김씨는 경찰 조사에서 "A씨에게 수면유도제를 투여할 때와 숨이 멎어 심폐소생술을 시도할 때 모두 간호사 없이 혼자 했다"고 진술했다. 당시 병원에는 다른 당직 의사와 간호사들이 있었지만 김씨가 심폐소생술을 할 정도의 위급상황에서 다른 의료진의 도움을 요청하지 않은 것도 의문이다.
경찰은 김씨가 진술한 내용이 사실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부검을 의뢰했다.
정석용 기자 syju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40대 남자 산부인과 의사가 30대 여성의 시신을 버리고 달아났다가 경찰에 자수했다.
서울 서초경찰서는 1일 강남구 신사동의 한 산부인과 소속 의사 김 모씨(45)를 사체유기 등의 혐의로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김 씨는 경찰에서 "지난달 30일 오후 10시 반경 산부인과에서 A씨(30·여)에게 수면유도제인 '미다졸람' 5mg을 주사로 투여했다"며 "주사를 맞고 잠든 A씨를 두 시간쯤 뒤 깨우러 갔을 때 이미 숨져 있었다"고 진술했다.
또 "진료 중에 환자가 숨진 사실이 알려지면 병원에 누를 끼치고 나 자신의 인생이 끝난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김씨는 숨진 A씨와는 1년전 진료를 계기로 만나 병원에서도 종종 만나는 사이로 알려졌다.
김씨는 의사 7~8명이 근무하는 중대형 산부인과의 '월급의사'다.
경찰 조사 결과 이번 진료도 김 씨가 개인적으로 A씨와 약속을 하고 병원에서 따로 만난 것으로 파악됐다. 김 씨는 A씨가 사망한 지 23시간만인 7월 31일 오후 9시 반쯤 변호사와 함께 경찰서를 찾아가 자수했다.
김 씨는 "시신을 유기한 것에 죄책감을 느껴 자수를 결심했다"고 밝혔지만 경찰은 여러가지 정황에서 김씨의 이야기가 설득력이 없다고 보고 있다.
의료사고로 처리될 수 있는 상황에서 적발되면 훨씬 중한 처벌을 받는 시신 유기를 선택한 김 씨의 행위는 납득하기 어렵다는 것.
또 김 씨는 시신을 옮기는 과정에서 주도면밀한 모습을 보였다. 경찰에 따르면 김씨는 숨진 A씨에게 마스크를 씌운 채 휠체어에 태워 지하 주차장에 있는 자신의 승용차로 옮긴 뒤 조수석에 앉혔다.
출발하려던 김 씨는 병원 측의 '진료 콜'을 받고 다시 병원에 들어갔다. 3시간 가량 진료를 하고 나온 김 씨는 31일 오전 4시 반쯤 자신의 차에 있던 시신을 A씨의 아우디 차량 조수석으로 옮긴 뒤 그 차를 몰고 한강잠원지구 주차장으로 갔다. 김 씨는 차를 주차장에 둔 채 떠났다. 이날 오후 한 시민이 숨져 있는 A씨를 발견해 경찰에 신고했다.
A씨 시신에 외상 흔적은 없었지만 수면유도제 투입만으로 사망했다는 것도 의문스럽다. 김 씨는 경찰 조사에서 "A씨는 평소 우울증과 불면증이 있었고 사건 당일 피곤하다며 수면진정제를 놓아 달라고 했다"며 "미다졸람 5mg 외에 다른 약물을 투여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하지만 미다졸람 5mg으로 사망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김씨는 경찰 조사에서 "A씨에게 수면유도제를 투여할 때와 숨이 멎어 심폐소생술을 시도할 때 모두 간호사 없이 혼자 했다"고 진술했다. 당시 병원에는 다른 당직 의사와 간호사들이 있었지만 김씨가 심폐소생술을 할 정도의 위급상황에서 다른 의료진의 도움을 요청하지 않은 것도 의문이다.
경찰은 김씨가 진술한 내용이 사실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부검을 의뢰했다.
정석용 기자 syju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