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추천 산행지 - 창원근교 억새산행

꽃보다 아름다운 은빛 억새 물결

지역내일 2012-10-30

가을의 낭만 억새는 10월 중순이면 하얀 억새꽃이 휘날린다. 파란 가을 하늘 역광으로 본 은빛 억새물결은 꿈결인 듯 몽환적이었다.
억새가 지기 전에 서둘러 창원근교 억새산행을 떠나보자.



원효 대사 숨결이 남아 있는 양산 ‘천성산 화엄벌’
천성산은 신라 원효 대사가 당나라에서 건너온 1000명의 스님에게 화엄경을 설법하여 모두 성인이 되었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당시 화엄경을 설법한 장소가 지금의 억새밭 화엄벌이다. 산행코스는 상북면 석계-임도-원적산 봉수대-화엄벌-원효암-홍룡폭포-홍룡사 덕계 쪽으로 하산하면 된다. 간단한 산행을 하려면 오경농장 쪽에서 용주사를 거쳐 오르며 힘들이지 않고 화엄벌 억새밭을 만날 수 있다.  화엄벌의 억새는 키가 작아 바람에 일렁이는 군무는 보기 어렵지만 억새 사이의 잡목이나 잡풀이 없어 억새군락지의 진수를 볼 수 있다.



억새 감상하며 화왕산성 일주하는 창녕 ‘화왕산’ 
창녕의 화왕산은 ‘불기운이 왕성하다’는 의미의 이름 때문인지 유난히 산불이 많이 발생해 산 정상부 십리가 억새밭이다. 억새 산행지로 두말 할 필요가 없다. 산행코스는 보편적으로 화왕산 군립공원 내 자하곡 주차장에서 출발한다. 도중 깔딱 고개를 넘어야 하지만 억새밭으로 오르는 산행시간이 1시간이면 충분하다.
원점회귀를 위해 옥천리 관룡사입구에 산행시작해서 화왕산 주차장-임도-화왕산 산성남문-헬기장-배바위-화왕산정상-동문-허준세트장-옥천삼거리-관룡산정상-용선대-관룡사(4시간30분소요)
산성 안에는 3개 연못 용지와 창녕조씨 득성비, 허준 드라마세트장, 관룡사 용선대등 많은 볼거리로 가족 산행지로 좋다. 



학이 하늘을 나는 듯 하는 ‘승학산’
부산 사하구와 사상구에 걸쳐 있는 승학산은 해발 496m로 높지 않아 가족 등반코스로 제격이다. 승학산은 산행기점을 어디서나 쉽게 택할 수 있는 동네 뒷산이다. 사하구에선 동아대 하단캠퍼스나 하단오거리, 엄궁 등지에서 쉽게 오를 수 있고 서구에선 꽃마을이나 대티고개 정상부에서 올라 시약산-구덕산-억새평원-승학산 정상을 거쳐 동아대 하단캠퍼스로 하산이 가능하다.
장시간 산행을 원할 경우 중구 대청공원에서 출발해 구봉산-엄광산-꽃마을-구덕산-억새평원-승학산 정상. 동구에선 안창마을, 진구에서는 통일교 범내골 성지에서 올라 수정산-엄광산-구덕산-억새평원-승학산으로 종주산행을 할 수도 있다.
승학산 정상에서면 사방팔방 펼쳐지는 도심의 풍경과 함께 영도와 송도를 이어주는 남항대교도 보인다. 또한 발아래 펼쳐지는 낙동강 물의 흐름도 장쾌하다.


금정산 ‘장군봉’에도 억새밭 있어요
부산 금정산 고당봉 넘어 양산 쪽 금정산 최북단에 위치한 장군봉에 억새 군락지가 펼쳐져 있다. 고당봉에서 북쪽으로 2㎞ 정도 떨어져 있어 평소엔 뜸하지만 억새들의 군무가 한창인 가을이면 억새 명소로 손꼽힌다.
산행은 양산시 동면 금산사에서 출발해서 움막-습지-주능선-범어사기석표-철탑-샘터-장군봉-철사다리-은동굴 갈림길-금산사로 원점회귀가 가능하다. 또는 동면 중리마을에서 출발해 금정암-임도-석문-장군봉 순으로 산행하면 된다. 장시간 산행 을 원하면 장군봉을 보고 고당봉을 거쳐 범어사로 하산할 수 있다.



 해맞이와 억새산행 함께 할 수 있는 ‘구곡산’ 
해운대 뒷산 장산 정상을 지나 구곡산 가는 길에 위치한 억새군락지는 가을 한창 땐 억새산행이란 이름을 붙여도 좋을 만큼 아름답다. 특히 구곡산은 바다와 아주 가까워 해맞이 산행지로도 손색없다.
해운대 신시가지의 대천공원을 비롯해 재송동, 반송동, 반여동, 우동, 기장 등지에서 쉽게 오를 수 있다. 크게 한 바퀴 산행을 하려면 해운대기계공고 앞 철길 건너서 출발해 옥녀봉-중봉-장산정상 갈림길-억새군락지-구곡산-대천공원 순으로 걸으면  5시간 정도 걸린다.



목장지대 초목지 경주 ‘무장산’
무장산 등산로는 무장사지터가 있는 입구부터다. 무열왕(김춘추)이 삼국을 통일한 후 이제 더 이상 전쟁이 없는 평화로운 세상이 왔다하여 투구와 병기를 묻은 곳이라 무장사라 했다.
정상부 목장지대 초지가 억새로 뒤덮여 억새산행지가 됐다. 산행은 보문단지 뒤 덕동호수골짜기 안 경주 암곡동 왕산마을에서 시작한다.
왕산마을-암공펜션입구-산불초소-무장사지 삼층석탑-억새군락지-무장산정상-폐비닐하우스 갈림길-안부-성황재갈림길-잇단전망대-664봉 삼각점-650봉안부갈림길-황룡사지동래봉산갈림길-임도-상수원보호구역초소-왕산마을(5시간30분소요)
산행은 계곡을 타고 올라가 억새군락지를 보고 능선을 타고 산길로 이어진다. 억새산행만 원할 경우 폐비닐하우스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산불초소 방향으로 하산하면 된다. 
   
 
영남알프스 하늘 억새길 ‘사자평, 신불평원, 천황산’
국내 최대 억새군락지 억새평원은 재약산 사자평과 신불산 신불평원이 바로 영남알프스 안에 있다.
사자평 산행코스는 표충사를 기점으로 원점회귀가 가능하다. 표충사-진불암-재약산-표충사-고사리분교터- 표충사-층층폭포-고사리분교터 코스가 일반적이다. 알프스종주 산행으로 표충사-한계암-천황산-천황재-재약산-필봉-천황산-천황재-재약산 순으로 걸을 수 있다. 천황산과 재약산 사이의 천황재 억새 또한 일품이다.
최근 개통한 얼음골케이블카 이용하면 천황산 상부승강장에서 영남알프스 주변산행을 2~4시간이면 충분하다.



도통골의 가을 멋을 느낄 수 있는 울주 ‘대운산’
울산 울주군의 대운산(742.7m)은 온양과 양산시 웅상에 걸쳐있는 산으로 낙남정맥의 최고봉이다. 신라의 고승 원효대사가 도를 통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산행은 아기자기한 도통골 계곡의 따라 능선의 적당한 기복과 오르내림이 있는 산행으로 재미가 있다. 쉼터와 전망대에서 도통골 구룡폭포 주변 가을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7번 국도를 따라 울산 방향으로 가면 쉽다. 해운대에서는 14번 국도를 따라 울산 방면으로 가면 된다.
대운산 산행은 온양읍 상대마을 상대 제3주차장 들머리와 날머리로 삼은 원점회귀 코스다(4시간30분소요)코스 곳곳에 이정표와 등산로안내도와 계단, 난간 등 안전시설도 잘 갖춰져 있다. 대운산 등산시 둘러볼 명소는 내원암계곡과 내원암이다.
한편 대운산을 이야기할 때 인근의 불광산 시명산 등과 떼 놓을 수는 없다. 대운산과 불광산 시명산도 원래는 전체가 ‘불광산’이라는 이름으로 불린 하나의 산들로 전해진다. 당일로 이들 3개산을 연계해서 산행을 하기도 한다.


박지숙 리포터 jssh1208@hanmail.net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닫기
(주)내일엘엠씨(이하 '회사'라 함)은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고 있으며, 지역내일 미디어 사이트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에 대한 귀하의 동의를 받고자 합니다. 내용을 자세히 읽으신 후 동의 여부를 결정하여 주십시오. [관련법령 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 제17조, 제22조, 제23조, 제24조] 회사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중요시하며,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하여 회사가 이용자로부터 제공받은 개인정보를 어떠한 용도와 방식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어떠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지 알려드립니다.


1) 수집 방법
지역내일 미디어 기사제보

2)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이용 목적
기사 제보 확인 및 운영

3) 수집 항목
필수 : 이름, 이메일 / 제보내용
선택 : 휴대폰
※인터넷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아래 개인정보 항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IP 주소, 쿠키, MAC 주소, 서비스 이용 기록, 방문 기록, 불량 이용 기록 등)

4) 보유 및 이용기간
① 회사는 정보주체에게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기간이 경과하거나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이 달성된 경우 지체 없이 개인정보를 복구·재생 할 수 없도록 파기합니다. 다만, 다른 법률에 따라 개인정보를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기간 동안 개인정보를 보존합니다.
② 처리목적에 따른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문의 등록일로부터 3개월

※ 관계 법령
이용자의 인터넷 로그 등 로그 기록 / 이용자의 접속자 추적 자료 : 3개월 (통신비밀보호법)

5) 수집 거부의 권리
귀하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지 않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수집 거부 시 문의하기 기능이 제한됩니다.
이름*
휴대폰
이메일*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