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민영화 걸림돌 이유로 반대운동 … 29일 허가신청서 제출
일사천리로 진행될 것 같았던 우리금융지주의 카드분사 작업이 암초를 만났다. 카드업계에 이어 우리은행 노조가 민영화에 걸림돌이 될수 있고 제2의 카드대란 발생시 은행이 부실을 떠안을 수 있다며 지난해에 이어 또 다시 반대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노조는 지주사의 허가신청서 제출에 맞춰 적극적인 반대운동에 돌입할 태세다. 마침 지주사는 29일 금융위원회에 체크카드 활성화 사업계획서를 포함한 신청서를 제출했다.
금융위는 카드시장에 미칠 영향과 공적자금 회수에 도움이 되는지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인가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예비인가와 본인가를 거치는데 4개월이 걸릴 것으로 보여, 금융위가 카드업 분사를 승인해주면 내년초에는 ㈜우리카드가 출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 이팔성 지주 회장을 만나 반대의견을 전달한 노조는 허가권을 쥔 금융위를 압박하는 등 모든 역량을 동원해 막는다는 입장이다. 특히 은행 조합원 가운데 1500여명의 신분이동이 걸려있는데도, 충분한 협의없이 카드분사가 진행되고 있는 것에 강한 우려를 나타냈다.
문경환 조직쟁의국장은 "신규 채용이 쉽지 않아 기존 은행 직원들을 데리고 나갈 수 밖에 없는데, 조합과 별 논의가 없었다"며 "더욱이 카드 분사에 대해 은행이 반대하고 있는데, 왜 지주가 밀어붙이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민영화 문제도 걱정거리다. 정권이 바뀌면 내년에 우리금융 민영화가 다시 추진될 텐데, 카드 분사가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 가맹점 수수료 체계 개편 등 카드시장 환경이 수익을 낼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서, 기업가치에 마이너스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문 국장은 "급한 것은 민영화이지, 카드 분사가 아니"라며 "경기상황이 좋을 때 분사했으면 모를까, 지금은 시장점유율을 높이거나 수익성을 제고할 수 있는 여건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우리금융, 시장방어 차원 분사 필요 = 지주는 우리금융의 기업가치를 올리기 위해서도 카드업 분사가 필요하다고 반박했다. 은행이 카드업을 겸업하다보니, 시장점유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우리은행의 카드시장 점유율은 지난 9월말 현재 7.06%로 3∼4년전에 비해 1%p 넘게 떨어졌다. 올해만 지나면 꼴찌 카드사로 전락할 위기다. 또 카드 부실이 은행으로 전이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도 분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지금처럼 은행이 카드업을 겸업하면 카드의 고위험에 그대로 노출될 수 있다는 것.
지난 2002년 1월 은행에서 분사됐던 우리카드는 카드대란으로 인한 부실로 인해 2004년 3월 다시 은행과 합병됐다. 그때 났던 손실액이 1조5000여억원에 달했다. 우리금융지주 임원은 "조흥은행의 카드사업 부문이 부실화되면서 결국 신한은행으로 조흥은행이 넘어갔다"며 "카드를 분사해 시장을 방어하면 오히려 기업가치가 커질 수 있어 민영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노조와 지주의 틈바구니에 낀 금융위는 원칙적으로 검토한다는 반응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예비인가와 본인가 모두 금융위 의결을 거쳐야 하는 만큼,시간을 갖고 객관적으로 검토해 인가여부를 결정하겠다"며 "다만, 체크카드 수익모델을 중심에 두겠다고 한만큼, 카드시장에 주는 영향을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선상원 기자 wo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일사천리로 진행될 것 같았던 우리금융지주의 카드분사 작업이 암초를 만났다. 카드업계에 이어 우리은행 노조가 민영화에 걸림돌이 될수 있고 제2의 카드대란 발생시 은행이 부실을 떠안을 수 있다며 지난해에 이어 또 다시 반대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노조는 지주사의 허가신청서 제출에 맞춰 적극적인 반대운동에 돌입할 태세다. 마침 지주사는 29일 금융위원회에 체크카드 활성화 사업계획서를 포함한 신청서를 제출했다.
금융위는 카드시장에 미칠 영향과 공적자금 회수에 도움이 되는지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인가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예비인가와 본인가를 거치는데 4개월이 걸릴 것으로 보여, 금융위가 카드업 분사를 승인해주면 내년초에는 ㈜우리카드가 출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 이팔성 지주 회장을 만나 반대의견을 전달한 노조는 허가권을 쥔 금융위를 압박하는 등 모든 역량을 동원해 막는다는 입장이다. 특히 은행 조합원 가운데 1500여명의 신분이동이 걸려있는데도, 충분한 협의없이 카드분사가 진행되고 있는 것에 강한 우려를 나타냈다.
문경환 조직쟁의국장은 "신규 채용이 쉽지 않아 기존 은행 직원들을 데리고 나갈 수 밖에 없는데, 조합과 별 논의가 없었다"며 "더욱이 카드 분사에 대해 은행이 반대하고 있는데, 왜 지주가 밀어붙이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민영화 문제도 걱정거리다. 정권이 바뀌면 내년에 우리금융 민영화가 다시 추진될 텐데, 카드 분사가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 가맹점 수수료 체계 개편 등 카드시장 환경이 수익을 낼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서, 기업가치에 마이너스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문 국장은 "급한 것은 민영화이지, 카드 분사가 아니"라며 "경기상황이 좋을 때 분사했으면 모를까, 지금은 시장점유율을 높이거나 수익성을 제고할 수 있는 여건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우리금융, 시장방어 차원 분사 필요 = 지주는 우리금융의 기업가치를 올리기 위해서도 카드업 분사가 필요하다고 반박했다. 은행이 카드업을 겸업하다보니, 시장점유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우리은행의 카드시장 점유율은 지난 9월말 현재 7.06%로 3∼4년전에 비해 1%p 넘게 떨어졌다. 올해만 지나면 꼴찌 카드사로 전락할 위기다. 또 카드 부실이 은행으로 전이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도 분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지금처럼 은행이 카드업을 겸업하면 카드의 고위험에 그대로 노출될 수 있다는 것.
지난 2002년 1월 은행에서 분사됐던 우리카드는 카드대란으로 인한 부실로 인해 2004년 3월 다시 은행과 합병됐다. 그때 났던 손실액이 1조5000여억원에 달했다. 우리금융지주 임원은 "조흥은행의 카드사업 부문이 부실화되면서 결국 신한은행으로 조흥은행이 넘어갔다"며 "카드를 분사해 시장을 방어하면 오히려 기업가치가 커질 수 있어 민영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노조와 지주의 틈바구니에 낀 금융위는 원칙적으로 검토한다는 반응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예비인가와 본인가 모두 금융위 의결을 거쳐야 하는 만큼,시간을 갖고 객관적으로 검토해 인가여부를 결정하겠다"며 "다만, 체크카드 수익모델을 중심에 두겠다고 한만큼, 카드시장에 주는 영향을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선상원 기자 wo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