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건호 전 한겨레신문 사장 별세

광주 5·18묘역에 안장 …정부, 국민훈장 무궁화장 추서

지역내일 2001-12-23
한국 언론계의 거목 송건호 선생이 21일 오전 6시 서울 은평구 역촌동 자택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75살.
1953년 대한통신 기자로 언론계에 첫발을 내디딘 송건호 선생은 65년 경향신문 편집국장, 74년 동아일보 편집국장을 지냈다. 75년 동아일보 기자 150여명이 강제 해직되자 송건호 선생은 편집국장직을 사퇴하고, 이후 재야 민주운동가의 길을 걸었다. 이후 송건호 선생은 87년 국민주 신문인 한겨레의 창간을 주도하고, 이듬해 초대사장을 맡았다.
그러나 송건호 선생은 80년 신군부가 조작한 ‘김대중 내란음모사건’에 연류 협의로 정보기관에 끌려가 당한 고문 휴유증으로 파킨슨병을 앓아왔으며 97년 이후 병석에서 일어나지 못하고 오랜 기간 투병생활을 해왔다.
고 송건호 선생은 한국현대사 분야에서도 학자로도 큰 족적을 남겼다. 송건호 선생의 현대사 관련 저서로는 <해방전후사의 인식=""> < 한국민족주의의="" 탐구=""> < 한국현대사론=""> <서재필과 이승만=""> <의열단> <해방전후사의 재인식=""> <한국현대사> <김구> <민족통일을 위하여=""> <한국현대언론사> 등이 있다. 또 송건호 선생은 그동안 금관문화훈장, 한국언론학회언론상, 호암언론상, 심산상, 정일형 자유민주상 등을 수상하기도 했다.
정부는 이같은 공적을 기려 21일 고 송건호 선생에게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추서했다. 김대중 대통령도 부인 이정순 씨에게 전화를 걸어 고인의 죽음을 애도하고 유족들을 위로했다.
유족으로는 부인 이정순(71)씨와 준용(41·㈜와이에스파터너스 컨설턴트), 제용(36·조선일보사 광고국 근무)씨 등 2남4녀가 있다. 고 송건호 선생의 장례는 사회장으로 치러졌고 24일 광주 5·18묘역에 안장됐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닫기
(주)내일엘엠씨(이하 '회사'라 함)은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고 있으며, 지역내일 미디어 사이트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에 대한 귀하의 동의를 받고자 합니다. 내용을 자세히 읽으신 후 동의 여부를 결정하여 주십시오. [관련법령 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 제17조, 제22조, 제23조, 제24조] 회사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중요시하며,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하여 회사가 이용자로부터 제공받은 개인정보를 어떠한 용도와 방식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어떠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지 알려드립니다.


1) 수집 방법
지역내일 미디어 기사제보

2)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이용 목적
기사 제보 확인 및 운영

3) 수집 항목
필수 : 이름, 이메일 / 제보내용
선택 : 휴대폰
※인터넷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아래 개인정보 항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IP 주소, 쿠키, MAC 주소, 서비스 이용 기록, 방문 기록, 불량 이용 기록 등)

4) 보유 및 이용기간
① 회사는 정보주체에게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기간이 경과하거나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이 달성된 경우 지체 없이 개인정보를 복구·재생 할 수 없도록 파기합니다. 다만, 다른 법률에 따라 개인정보를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기간 동안 개인정보를 보존합니다.
② 처리목적에 따른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문의 등록일로부터 3개월

※ 관계 법령
이용자의 인터넷 로그 등 로그 기록 / 이용자의 접속자 추적 자료 : 3개월 (통신비밀보호법)

5) 수집 거부의 권리
귀하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지 않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수집 거부 시 문의하기 기능이 제한됩니다.
이름*
휴대폰
이메일*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