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림 "입지여건 불리"… 전북도, 진의파악 등 대응책 골몰
국내 최대 축산식품기업 '하림'의 국가식품클러스터 투자 축소방침(내일신문 11월 7일 17면)이 알려지면서 전북도 등이 진의파악에 나서는 등 대응책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하림이 식품클러스터 핵심 투자기업인데다 투자축소 검토 이유가 '입주여건' 등을 들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하림은 클러스터가 들어서는 전북 익산에 본사를 두고 있어 투자 축소검토는 전북도와 익산시에 적잖은 충격을 준 것으로 보인다.
김홍국 하림 회장은 내일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에 투자하기로 한 규모를 줄여 다른 장소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림은 지난 7월 국가식품클러스터에 육가공품 생산시설 등 33만㎡(10만평) 규모의 투자협약을 체결 했었다. 김 회장은 "클러스터의 입주여건으로 볼때 사업성이 있을까 의구심이 생긴다"면서 "항구와 멀어 글로벌기업이 매력을 느끼기 어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입장이 알려지면서 전북도 등은 투자축소 검토 배경을 찾느라 고심하고 있다. 전북도 관계자는 "사전에 어떤 의견이나 입장 교환이 없던 상황에서 나온 것"이라며 놀란 분위기를 전했다.
그러나 익산시 핵심관계자는 "하림측에서 수차례 문제제기를 해 왔던 내용"이라며 "항만 물류시설은 물론 클러스터 내부의 학교와 연구시설 조화 문제 등을 거론해 왔다"고 밝혔다.
하림이 입지여건 등을 들어 투자축소 방침을 정한 것 자체가 논란거리다.
국가식품클러스터는 2015년까지 전북 익산시 왕궁면에 232만㎡(70만평) 규모로 조성되는 국내 최초 R&D 중심의 식품전문 산업단지다. 150개의 국내외 식품기업과 10여개의 연구소를 유치해 식품 전문 국가산업단지를 조성하고, 동북아시아 식품시장을 선도할 세계적인 식품클러스터를 설립한다는 취지에서 시작됐다.
2008년부터 클러스터에 입주할 기업과 투자협약을 맺어왔는데 국내에선 하림을 비롯해 CJ제일제당, 동원 F&B 등 41개사가 투자협약을 체결 했고, 해외에서는 일본 식품기업 등 14개사가 협약에 참여했다.
클러스터 조성사업이 아직 보상단계에 머무르고 있다는 점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산업단지 조성을 맡은 LH가 장기간 사업개시를 미루면서 내년 상반기 중에나 산업단지 조성에 나설 예정이다. 아직 착공도 못한 산단에 기업들이 투자결정을 내리기가 쉬운 일이 아니다.
여기에 내륙과 항만을 연결하는 입지여건을 장점으로 내세웠으나 기업입장에선 별다른 매력이 되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와 지자체의 권유에 투자협약에 나서지만 실제 투자가 이뤄질지는 미지수여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한편, 전북도는 내년도 정부 예산안 심의에서 국가식품클러스터의 정부지원 시설 건축비 134억원 등이 반영됐고, 산단 미착공을 이유로 기획재정부 심의에서 빠졌던 산단 진입로 설계비 15억원도 국회 상임위에서 반영됐다고 밝혔다.
전주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국내 최대 축산식품기업 '하림'의 국가식품클러스터 투자 축소방침(내일신문 11월 7일 17면)이 알려지면서 전북도 등이 진의파악에 나서는 등 대응책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하림이 식품클러스터 핵심 투자기업인데다 투자축소 검토 이유가 '입주여건' 등을 들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하림은 클러스터가 들어서는 전북 익산에 본사를 두고 있어 투자 축소검토는 전북도와 익산시에 적잖은 충격을 준 것으로 보인다.
김홍국 하림 회장은 내일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에 투자하기로 한 규모를 줄여 다른 장소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림은 지난 7월 국가식품클러스터에 육가공품 생산시설 등 33만㎡(10만평) 규모의 투자협약을 체결 했었다. 김 회장은 "클러스터의 입주여건으로 볼때 사업성이 있을까 의구심이 생긴다"면서 "항구와 멀어 글로벌기업이 매력을 느끼기 어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입장이 알려지면서 전북도 등은 투자축소 검토 배경을 찾느라 고심하고 있다. 전북도 관계자는 "사전에 어떤 의견이나 입장 교환이 없던 상황에서 나온 것"이라며 놀란 분위기를 전했다.
그러나 익산시 핵심관계자는 "하림측에서 수차례 문제제기를 해 왔던 내용"이라며 "항만 물류시설은 물론 클러스터 내부의 학교와 연구시설 조화 문제 등을 거론해 왔다"고 밝혔다.
하림이 입지여건 등을 들어 투자축소 방침을 정한 것 자체가 논란거리다.
국가식품클러스터는 2015년까지 전북 익산시 왕궁면에 232만㎡(70만평) 규모로 조성되는 국내 최초 R&D 중심의 식품전문 산업단지다. 150개의 국내외 식품기업과 10여개의 연구소를 유치해 식품 전문 국가산업단지를 조성하고, 동북아시아 식품시장을 선도할 세계적인 식품클러스터를 설립한다는 취지에서 시작됐다.
2008년부터 클러스터에 입주할 기업과 투자협약을 맺어왔는데 국내에선 하림을 비롯해 CJ제일제당, 동원 F&B 등 41개사가 투자협약을 체결 했고, 해외에서는 일본 식품기업 등 14개사가 협약에 참여했다.
클러스터 조성사업이 아직 보상단계에 머무르고 있다는 점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산업단지 조성을 맡은 LH가 장기간 사업개시를 미루면서 내년 상반기 중에나 산업단지 조성에 나설 예정이다. 아직 착공도 못한 산단에 기업들이 투자결정을 내리기가 쉬운 일이 아니다.
여기에 내륙과 항만을 연결하는 입지여건을 장점으로 내세웠으나 기업입장에선 별다른 매력이 되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와 지자체의 권유에 투자협약에 나서지만 실제 투자가 이뤄질지는 미지수여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한편, 전북도는 내년도 정부 예산안 심의에서 국가식품클러스터의 정부지원 시설 건축비 134억원 등이 반영됐고, 산단 미착공을 이유로 기획재정부 심의에서 빠졌던 산단 진입로 설계비 15억원도 국회 상임위에서 반영됐다고 밝혔다.
전주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