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린턴-양제츠 전화통화 … 방미 왕자루이 고위급 협의
미국과 중국이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를 중단시키기 위한 공동 외교노력을 강화하고 있어 북한의 최종 결정이 주목되고 있다.
북한이 장거리 로켓 발사 시기를 연기하면서도 연내 강행의사를 굽히지 않아 미국과 중국이 이례 적인 공동 대응에 나섰다.
미국과 중국은 고위급 대화를 갖고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 계획을 중단시키기 위한 공동외교 노력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미 국무부의 빅토리아 눌런드 대변인은 현재 미국과 중국의 고위 지도부가 나서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를 중지시키도록 마지막까지 압박할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과 양제츠 중국 외교부장은 지난 7일 전화통화를 갖고 북한의 로켓 발사계획과 관련한 협의를 했다고 눌런드 대변인은 밝혔다.
눌런드 대변인은 "양국 외교장관이 이번 사태에 대한 서로의 견해를 나눴다"면서 "이 문제를 놓고 미국이 중국과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음을 알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중 외교장관간 전화대화에 이어 미국을 방문중인 왕자루이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장이 11일 빌 번즈 국무부 부장관을 만날 계획이라고 뉼런드 대변인은 전했다.
왕 부장은 북한이 장거리 로켓발사를 발표하기 하루 전인 지난달 30일 평양을 방문해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를 만난 바 있어 중국의 대북 압박 여부가 윤곽을 드러낼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빅토리아 눌런드국무부 대변인은 북한이 로켓발사 예정기간을 29일까지로 연장한데 대해, "이는 단순히 연기이며 북한의 계획은 변경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눌런드 대변인은 특히"북한의 발사는 미사일이든 위성이든 모두 안보리 결의 1718호나 1874호 등 국제의무를 위반하는 것"이라고 거듭 지적했다.
미국은외교장관간 전화대화와 왕자루이 부장을 통해 전해들은 북한내 동향 등을 토대로 앞으로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를 중단시키기 위한 국제사회의 외교적 노력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북한이 끝내 장거리 로켓을 발사할 경우에는 유엔 안보리 차원의 제재이행 강화나 추가 제재 등 대응책을 구사할 것으로 예고되고 있다.
워싱턴 한면택 특파원 han5907@ao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미국과 중국이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를 중단시키기 위한 공동 외교노력을 강화하고 있어 북한의 최종 결정이 주목되고 있다.
북한이 장거리 로켓 발사 시기를 연기하면서도 연내 강행의사를 굽히지 않아 미국과 중국이 이례 적인 공동 대응에 나섰다.
미국과 중국은 고위급 대화를 갖고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 계획을 중단시키기 위한 공동외교 노력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미 국무부의 빅토리아 눌런드 대변인은 현재 미국과 중국의 고위 지도부가 나서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를 중지시키도록 마지막까지 압박할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과 양제츠 중국 외교부장은 지난 7일 전화통화를 갖고 북한의 로켓 발사계획과 관련한 협의를 했다고 눌런드 대변인은 밝혔다.
눌런드 대변인은 "양국 외교장관이 이번 사태에 대한 서로의 견해를 나눴다"면서 "이 문제를 놓고 미국이 중국과 긴밀하게 협조하고 있음을 알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중 외교장관간 전화대화에 이어 미국을 방문중인 왕자루이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장이 11일 빌 번즈 국무부 부장관을 만날 계획이라고 뉼런드 대변인은 전했다.
왕 부장은 북한이 장거리 로켓발사를 발표하기 하루 전인 지난달 30일 평양을 방문해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를 만난 바 있어 중국의 대북 압박 여부가 윤곽을 드러낼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빅토리아 눌런드국무부 대변인은 북한이 로켓발사 예정기간을 29일까지로 연장한데 대해, "이는 단순히 연기이며 북한의 계획은 변경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눌런드 대변인은 특히"북한의 발사는 미사일이든 위성이든 모두 안보리 결의 1718호나 1874호 등 국제의무를 위반하는 것"이라고 거듭 지적했다.
미국은외교장관간 전화대화와 왕자루이 부장을 통해 전해들은 북한내 동향 등을 토대로 앞으로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를 중단시키기 위한 국제사회의 외교적 노력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북한이 끝내 장거리 로켓을 발사할 경우에는 유엔 안보리 차원의 제재이행 강화나 추가 제재 등 대응책을 구사할 것으로 예고되고 있다.
워싱턴 한면택 특파원 han5907@ao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