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말 1400만명 목표 … 아이폰5 효과 '톡톡'
SK텔레콤(사장 하성민)은 12일 기준 자사의 LTE가입자가 700만명을 넘었다고 13일 밝혔다.
이에 따라 SK텔레콤은 당초 계획했던 올해 LTE가입자 목표를 앞당겨 달성했다. 또한 미국 버라이즌, 일본 NTT도코모와 함께 세계 3대 LTE사업자로 자리매김했다.
SK텔레콤에 따르면 3세대 이동통신 WCDMA 가입자는 2006년 5월 상용화된 이후 700만 명 돌파까지 2년 4개월이 걸린 반면, LTE는 2011년 7월 상용화 이후 1년 5개월이 걸렸다.
이에 따라 SK텔레콤의 LTE고객은 2011년 말 기준 63만명으로 전체 고객의 2.4%에 불과했지만, 1년 사이 약 11배로 증가해 전체 고객의 26% 수준으로 비중이 크게 늘었다.
특히 LTE 전국망과 LTE멀티캐리어를 구축한 지난 7월 이후 LTE 가입고객이 하루평균 2만2000명씩 증가하고 있다.
이런 증가세는 지난 7일 아이폰5 출시 후 더욱 가파르다. 타사에서 번호이동하는 고객들이 급증하며 LTE고객이 전월 하루 평균 2만9000명 대비 약 2배 증가한 하루 평균 약 6만명씩 늘어나고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SK텔레콤은 아이폰5 효과 등을 감안할 때, 연말까지 740만~750만명 수준의 LTE고객을 확보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내년에는 LTE고객을 1400만명 수준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장동현 SK텔레콤 마케팅부문장은 "세계 최초 LTE기술과 서비스를 차례로 선보이며, LTE대중화 시대를 크게 앞당길 수 있었다"며 "내년에는 LTE를 중심으로 ICT산업의 혁신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12월 12일 기준으로 LG유플러스는 420만명, KT는 351만명의 LTE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다.
고성수 기자 ssg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SK텔레콤(사장 하성민)은 12일 기준 자사의 LTE가입자가 700만명을 넘었다고 13일 밝혔다.
이에 따라 SK텔레콤은 당초 계획했던 올해 LTE가입자 목표를 앞당겨 달성했다. 또한 미국 버라이즌, 일본 NTT도코모와 함께 세계 3대 LTE사업자로 자리매김했다.
SK텔레콤에 따르면 3세대 이동통신 WCDMA 가입자는 2006년 5월 상용화된 이후 700만 명 돌파까지 2년 4개월이 걸린 반면, LTE는 2011년 7월 상용화 이후 1년 5개월이 걸렸다.
이에 따라 SK텔레콤의 LTE고객은 2011년 말 기준 63만명으로 전체 고객의 2.4%에 불과했지만, 1년 사이 약 11배로 증가해 전체 고객의 26% 수준으로 비중이 크게 늘었다.

이런 증가세는 지난 7일 아이폰5 출시 후 더욱 가파르다. 타사에서 번호이동하는 고객들이 급증하며 LTE고객이 전월 하루 평균 2만9000명 대비 약 2배 증가한 하루 평균 약 6만명씩 늘어나고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SK텔레콤은 아이폰5 효과 등을 감안할 때, 연말까지 740만~750만명 수준의 LTE고객을 확보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내년에는 LTE고객을 1400만명 수준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장동현 SK텔레콤 마케팅부문장은 "세계 최초 LTE기술과 서비스를 차례로 선보이며, LTE대중화 시대를 크게 앞당길 수 있었다"며 "내년에는 LTE를 중심으로 ICT산업의 혁신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12월 12일 기준으로 LG유플러스는 420만명, KT는 351만명의 LTE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다.
고성수 기자 ssg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