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훈, 갑작스런 한국국적 취득 … 민주 "김병관·황교안 사퇴" 요구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17일 11개 부처 인선 발표로 박근혜정부 초대 국무총리와 17개 부처 조각이 마무리됐으나, 인사 내정자들을 둘러싼 여러 의혹이 제기되고 있어 논란이 일 전망이다.
초대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으로 내정된 현오석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은 공직에서 물러난 뒤 재산이 27억원 급증했다.
재정경제부 관료 출신인 현 후보자는 2000년 7월 세무대학장 재직 때 서울 서초구 반포아파트 한채(3억2000여만원)와 예금(4억 7000여만원) 등 8억 6800여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2001년 공직에서 물러난 뒤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장 등을 지내다 KDI 원장을 맡은 2009년에 신고한 재산은 총 36억3900여만원이다. 공직을 떠난 9년 사이 재산 증가분이 27억원대에 이른다. 장녀에게 증여한 반포아파트 외에 아파트 두 채를 새로 보유했다. 지난해 3월 재산 등록 때 현 후보자의 신고액은 33억원 3100여만원이었다.
현 내정자의 부인이 2001년 3월 고위공직자 특혜분양 사건에 휘말렸던 분당 파크뷰 한 채(면적 182.23㎡)를 분양 받은 점도 주목받고 있다. 2002년에 고위공직자 특혜분양 의혹이 폭로돼 검찰 수사가 진행되기도 했다.
저축은행 뱅크런 우려가 번졌던 2011년 현 내정자 부부가 솔로몬저축은행에서 2억원의 예금을 인출한 것도 구설수에 오를 소재다.
재미교포인 김종훈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내정자는 인선 발표 사흘 전인 지난 14일 한국 국적을 회복한 것으로 17일 확인돼 장관 임명이 적절한 것이냐는 지적이 나온다.
이날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등에 따르면 미국 국적자로 알카텔루슨트 벨연구소 사장인 김 후보자는 1975년 이민 후 미국 시민권자가 됐다가 지난 8일 한국 국적 회복을 신청했고 14일 회복했다.
장관 지명 불과 사흘 전에 갑작스레 한국 국적을 회복한 것이다. 민주통합당 박홍근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 "장관 인선을 앞두고 갑작스레 국적회복을 한 것 자체가 의심스럽다"면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과 연구개발(R&D)을 총괄하고 기술보안과 정보보호 업무를 담당하는 부처의 수장으로 오랫동안 미국 기업계의 이익을 대변해 이해관계를 형성해온 사람을 임명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17일 김병관 국방, 황교안 법무장관 후보자에 대해 당 차원에서 '부적격' 판정을 내리며 자진사퇴를 촉구했다. 박기춘 원내대표는 지난 13일 발표된 6개 부처 장관 내정자 인선에 대한 인사청문 간사단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국방, 법무장관 내정자만 하더라도 상당한 제보가 직간접적으로 들어온다. 깜짝 놀랄만한 제보가 있다"며 두 내정자를 정조준했다.
김 내정자는 △무기중개업체 유비엠텍 고문 재직 2년간 자문료 2억1500만원 수수 △부인이 배터리 독점 군납 코스닥 상장업체 주식에 투자 △위장전입·편법 절세 의혹 등이 문제가 되고 있고, 황 내정자는 △대신 내 준 아들의 전세보증금에 대한 증여세 미납부 △공직 퇴임 후 대형로펌 재직 17개월간 보수 16억여원 등으로 논란을 빚고 있다.
이밖에 민주당은 서남수 교육장관 내정자의 경우 두 딸에 대한 증여세 탈루 의혹을, 윤병세 외교장관 내정자에게는 병역 단기복무 경위와 김앤장 고액보수 등을 검증 대상으로 삼고 있다.
김상범 기자 clay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17일 11개 부처 인선 발표로 박근혜정부 초대 국무총리와 17개 부처 조각이 마무리됐으나, 인사 내정자들을 둘러싼 여러 의혹이 제기되고 있어 논란이 일 전망이다.
초대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으로 내정된 현오석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은 공직에서 물러난 뒤 재산이 27억원 급증했다.
재정경제부 관료 출신인 현 후보자는 2000년 7월 세무대학장 재직 때 서울 서초구 반포아파트 한채(3억2000여만원)와 예금(4억 7000여만원) 등 8억 6800여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2001년 공직에서 물러난 뒤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장 등을 지내다 KDI 원장을 맡은 2009년에 신고한 재산은 총 36억3900여만원이다. 공직을 떠난 9년 사이 재산 증가분이 27억원대에 이른다. 장녀에게 증여한 반포아파트 외에 아파트 두 채를 새로 보유했다. 지난해 3월 재산 등록 때 현 후보자의 신고액은 33억원 3100여만원이었다.
현 내정자의 부인이 2001년 3월 고위공직자 특혜분양 사건에 휘말렸던 분당 파크뷰 한 채(면적 182.23㎡)를 분양 받은 점도 주목받고 있다. 2002년에 고위공직자 특혜분양 의혹이 폭로돼 검찰 수사가 진행되기도 했다.
저축은행 뱅크런 우려가 번졌던 2011년 현 내정자 부부가 솔로몬저축은행에서 2억원의 예금을 인출한 것도 구설수에 오를 소재다.
재미교포인 김종훈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내정자는 인선 발표 사흘 전인 지난 14일 한국 국적을 회복한 것으로 17일 확인돼 장관 임명이 적절한 것이냐는 지적이 나온다.
이날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등에 따르면 미국 국적자로 알카텔루슨트 벨연구소 사장인 김 후보자는 1975년 이민 후 미국 시민권자가 됐다가 지난 8일 한국 국적 회복을 신청했고 14일 회복했다.
장관 지명 불과 사흘 전에 갑작스레 한국 국적을 회복한 것이다. 민주통합당 박홍근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 "장관 인선을 앞두고 갑작스레 국적회복을 한 것 자체가 의심스럽다"면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과 연구개발(R&D)을 총괄하고 기술보안과 정보보호 업무를 담당하는 부처의 수장으로 오랫동안 미국 기업계의 이익을 대변해 이해관계를 형성해온 사람을 임명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17일 김병관 국방, 황교안 법무장관 후보자에 대해 당 차원에서 '부적격' 판정을 내리며 자진사퇴를 촉구했다. 박기춘 원내대표는 지난 13일 발표된 6개 부처 장관 내정자 인선에 대한 인사청문 간사단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국방, 법무장관 내정자만 하더라도 상당한 제보가 직간접적으로 들어온다. 깜짝 놀랄만한 제보가 있다"며 두 내정자를 정조준했다.
김 내정자는 △무기중개업체 유비엠텍 고문 재직 2년간 자문료 2억1500만원 수수 △부인이 배터리 독점 군납 코스닥 상장업체 주식에 투자 △위장전입·편법 절세 의혹 등이 문제가 되고 있고, 황 내정자는 △대신 내 준 아들의 전세보증금에 대한 증여세 미납부 △공직 퇴임 후 대형로펌 재직 17개월간 보수 16억여원 등으로 논란을 빚고 있다.
이밖에 민주당은 서남수 교육장관 내정자의 경우 두 딸에 대한 증여세 탈루 의혹을, 윤병세 외교장관 내정자에게는 병역 단기복무 경위와 김앤장 고액보수 등을 검증 대상으로 삼고 있다.
김상범 기자 clay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