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제와 성과배분제 도입이 계속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부가 최근 근로자 100명 이상 사업장 4998곳을 대상으로 ‘연봉제 및 성과배분제 도입 및 운영실태’를 조사해 5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1612개소(32.3%)가 연봉제를 도입해 96년의 1.6%보다 30.7%포인트나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성과배분제는 1172개소(23.4%)로 96년의 5.7%보다 17.7%포인트 증가했다.
조사가 처음 실시된 96년 11월 연봉제 도입 기업이 94개소(1.6%)에 그쳤으나 △97년 10월 3.6% △99년 1월 15.1% △2000년 1월 23.0% △2001년 1월 27.1% △2002년 1월 32.3% 등으로 해마다 눈에 띄게 늘고 있다.
성과배분제 도입 업체도 지난 96년 11월 334개소(5.7%)에서 △97년 10월 7.0% △99년 1월 16.0% △2000년 1월 20.6% △2001년 1월 21.8% △2002년 1월 23.4% 등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연봉제의 경우 업종별로는 금융 및 보험업이 53.3%로 도입비율이 가장 높았고, 부동산·임대 및 사업서비스업도 52.5%나 됐다. 반면 운수·창고 및 통신업은 10.8%로 가장 낮았고, 교육서비스업도 16.0%로 낮은 수준이었다.
유형별로는 공공부문의 연봉제 도입비율이 78.4%로 민간부문의 30.8%보다 2배 이상 높았고, 민간부문 중에는 30대 그룹이 66.9%로 기타 업체 30.0%보다 2배 이상 높았다.
기업규모별로는 규모가 클수록 연봉제 도입 비율이 높았다.
5000인 이상 사업장이 87.5%로 가장 높았고, 100∼299인 사업장은 26.0%로 가장 낮았다.
연봉제 형태는 ‘기본급을 기준으로 업적에 따라 개인별 인상률을 적용’하는 혼합형이 46.7%로 다수를 차지했고, 미국식 순수 성과급 형태는 13.6%로 상대적으로 적었다.
같은 직급에서 최고 연봉자와 최하 연봉자의 차이가 20% 미만인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연봉총액에서 변동급이 차지하는 비중이 30% 미만인 기업이 78.6%로 나타났다.
성과배분제의 경우 업종별로는 금융 및 보험업이 45.3%로 도입비율이 가장 높았고 교육서비스업은 8.4%로 가장 낮았다.
유형별로는 공공부문이 35.1%로 민간부문(23.1%)보다 12%포인트 높았고, 민간부문 중에는 30대 그룹이 50.2%로 기타 업체 21.7%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성과배분제 적용 단위는 회사 전체가 54.6%, 부서단위가 19.5%, 사업부 단위가 13.8% 등의 순이었고, 적용대상 직정은 전 직종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72.9%였다.
기업의 성과목표는 사측의 일방적으로 결정하기 보다는 노사간 협의를 거쳐 결정하는 경우가 65.9%로 다수를 차지했다.
한편 연봉제 및 성과배분제 도입으로 △직원의 태도변화 △임금관리 효율성 제고 △생산성 향상 등의 긍정적 효과가 있는 반면, 인건비 감소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봉제의 경우 실적평가가 어렵고, 성과배분제는 성과상여금이 고정급화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노동부가 최근 근로자 100명 이상 사업장 4998곳을 대상으로 ‘연봉제 및 성과배분제 도입 및 운영실태’를 조사해 5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1612개소(32.3%)가 연봉제를 도입해 96년의 1.6%보다 30.7%포인트나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성과배분제는 1172개소(23.4%)로 96년의 5.7%보다 17.7%포인트 증가했다.
조사가 처음 실시된 96년 11월 연봉제 도입 기업이 94개소(1.6%)에 그쳤으나 △97년 10월 3.6% △99년 1월 15.1% △2000년 1월 23.0% △2001년 1월 27.1% △2002년 1월 32.3% 등으로 해마다 눈에 띄게 늘고 있다.
성과배분제 도입 업체도 지난 96년 11월 334개소(5.7%)에서 △97년 10월 7.0% △99년 1월 16.0% △2000년 1월 20.6% △2001년 1월 21.8% △2002년 1월 23.4% 등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연봉제의 경우 업종별로는 금융 및 보험업이 53.3%로 도입비율이 가장 높았고, 부동산·임대 및 사업서비스업도 52.5%나 됐다. 반면 운수·창고 및 통신업은 10.8%로 가장 낮았고, 교육서비스업도 16.0%로 낮은 수준이었다.
유형별로는 공공부문의 연봉제 도입비율이 78.4%로 민간부문의 30.8%보다 2배 이상 높았고, 민간부문 중에는 30대 그룹이 66.9%로 기타 업체 30.0%보다 2배 이상 높았다.
기업규모별로는 규모가 클수록 연봉제 도입 비율이 높았다.
5000인 이상 사업장이 87.5%로 가장 높았고, 100∼299인 사업장은 26.0%로 가장 낮았다.
연봉제 형태는 ‘기본급을 기준으로 업적에 따라 개인별 인상률을 적용’하는 혼합형이 46.7%로 다수를 차지했고, 미국식 순수 성과급 형태는 13.6%로 상대적으로 적었다.
같은 직급에서 최고 연봉자와 최하 연봉자의 차이가 20% 미만인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연봉총액에서 변동급이 차지하는 비중이 30% 미만인 기업이 78.6%로 나타났다.
성과배분제의 경우 업종별로는 금융 및 보험업이 45.3%로 도입비율이 가장 높았고 교육서비스업은 8.4%로 가장 낮았다.
유형별로는 공공부문이 35.1%로 민간부문(23.1%)보다 12%포인트 높았고, 민간부문 중에는 30대 그룹이 50.2%로 기타 업체 21.7%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성과배분제 적용 단위는 회사 전체가 54.6%, 부서단위가 19.5%, 사업부 단위가 13.8% 등의 순이었고, 적용대상 직정은 전 직종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72.9%였다.
기업의 성과목표는 사측의 일방적으로 결정하기 보다는 노사간 협의를 거쳐 결정하는 경우가 65.9%로 다수를 차지했다.
한편 연봉제 및 성과배분제 도입으로 △직원의 태도변화 △임금관리 효율성 제고 △생산성 향상 등의 긍정적 효과가 있는 반면, 인건비 감소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봉제의 경우 실적평가가 어렵고, 성과배분제는 성과상여금이 고정급화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