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수 한은 총재 "미국 일본도 아니면서 어디까지 가란 거냐" 인하론 반박
5월 기준금리 결정이 3일 앞으로 다가왔다. 동결이냐 인하냐를 놓고 치열한 압박전이 벌어졌던 4월 못지 않게 이번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에서도 진검승부가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주 공개된 4월 금통위 의사록에 따르면 동결론 4명, 인하론 3명으로 금리 인하론에 세가 붙었다. 기존 인하론자는 한명뿐이었다. 앞서 29일에는 이한구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재차 기준금리 인하를 압박하기도 했다. 여러 모로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에게 관심이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김 총재는 그러나 동결론에 또한번 무게를 두며 7개월 연속 금리동결을 시사했다. 3일(현지시간) 인도 뉴델리에서 가진 기자간담회 자리에서다.
김 총재는 이날 1시간반에 걸친 간담회에서 최근 금리 동결이 어떤 배경에서 단행됐는지 자세하게 설명했다. 김 총재는 "지난 1~3월 '정책조합(policy mix)를 강조한 건 새 정부에 '이제 당신들 차례(now it's your turn)'라고 한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7월과 10월 0.25%p씩 금리를 내리면서 이미 선제적으로 바탕을 깔아놨다는 설명이다. 김 총재는 "(완화 기조를 깔아놓으면) 정부의 재정지출의 효과도 커진다"고 설명했다.
새 정부의 금리인하 요청을 거절하고 있는 듯한 상황에 대해서도 "우리나라에서는 단정적이고 일사 분란해야 한다고 생각해 조금만 차이가 나면 엇박자라고 한다"면서 "한 발씩 가야 하는데 여러분(언론 등)은 두 발로 한꺼번에 가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김 총재는 또 "지난해 내린 0.5%p도 굉장히 큰 것"이라며 기존의 '지금도 충분히 완화적'이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김 총재는 "기업과 채무자가 싼 이자를 원하니 '바닥을 향한 경주(race to the bottom)'를 한은도 하라는 거냐"면서 "일본 미국이 0%까지 갔지만 돌아오지 못했다. 그래도 그들은 기축통화이기 때문에 살 수 있다. 어디까지 가란 거냐. 한국이 미국, 일본도 아니면서"라고 되물었다.
이처럼 김 총재가 강하게 동결론을 펴면서 5월 금통위도 동결로 가리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지난 주까지만 하더라도 유럽중앙은행(ECB)를 비롯해 인도·헝가리 등이 잇따라 금리를 내리면서 한은의 금리인하 가능성이 점쳐지기도 했다. 4:3의 금통위 의사록이 공개되면서 국내 채권시장은 금리인하론에 힘이 쏠리면서 초강세를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김 총재의 발언 한마디에 채권시장은 약세로 돌아섰다.
물론 인하 가능성이 100% 사라진 것은 아니다. 동결론자 4명 중 다음 달에도 김 총재 편에 설 것으로 보이는 박원식 부총재, 문우식 위원(한은 추천) 외에 임승태 위원이 어떤 입장을 보일 것이냐가 변수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다만 임 위원은 통화정책보다 신용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등 김 총재의 입장과 일맥상통하는 발언을 해왔다는 점에서 바로 인하로 옮겨갈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이에 대해 금리인하를 주문해 왔던 기획재정부는 유구무언의 입장이다. 6일 기재부 고위관계자는 "다음번 금통위에서의 결정을 봐야하지 않겠나"며 "지금으로서는 코멘트하기 어렵다" 고 말했다.
김형선 구본홍 기자 egoh@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5월 기준금리 결정이 3일 앞으로 다가왔다. 동결이냐 인하냐를 놓고 치열한 압박전이 벌어졌던 4월 못지 않게 이번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에서도 진검승부가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주 공개된 4월 금통위 의사록에 따르면 동결론 4명, 인하론 3명으로 금리 인하론에 세가 붙었다. 기존 인하론자는 한명뿐이었다. 앞서 29일에는 이한구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재차 기준금리 인하를 압박하기도 했다. 여러 모로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에게 관심이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김 총재는 그러나 동결론에 또한번 무게를 두며 7개월 연속 금리동결을 시사했다. 3일(현지시간) 인도 뉴델리에서 가진 기자간담회 자리에서다.
김 총재는 이날 1시간반에 걸친 간담회에서 최근 금리 동결이 어떤 배경에서 단행됐는지 자세하게 설명했다. 김 총재는 "지난 1~3월 '정책조합(policy mix)를 강조한 건 새 정부에 '이제 당신들 차례(now it's your turn)'라고 한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7월과 10월 0.25%p씩 금리를 내리면서 이미 선제적으로 바탕을 깔아놨다는 설명이다. 김 총재는 "(완화 기조를 깔아놓으면) 정부의 재정지출의 효과도 커진다"고 설명했다.
새 정부의 금리인하 요청을 거절하고 있는 듯한 상황에 대해서도 "우리나라에서는 단정적이고 일사 분란해야 한다고 생각해 조금만 차이가 나면 엇박자라고 한다"면서 "한 발씩 가야 하는데 여러분(언론 등)은 두 발로 한꺼번에 가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김 총재는 또 "지난해 내린 0.5%p도 굉장히 큰 것"이라며 기존의 '지금도 충분히 완화적'이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김 총재는 "기업과 채무자가 싼 이자를 원하니 '바닥을 향한 경주(race to the bottom)'를 한은도 하라는 거냐"면서 "일본 미국이 0%까지 갔지만 돌아오지 못했다. 그래도 그들은 기축통화이기 때문에 살 수 있다. 어디까지 가란 거냐. 한국이 미국, 일본도 아니면서"라고 되물었다.
이처럼 김 총재가 강하게 동결론을 펴면서 5월 금통위도 동결로 가리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지난 주까지만 하더라도 유럽중앙은행(ECB)를 비롯해 인도·헝가리 등이 잇따라 금리를 내리면서 한은의 금리인하 가능성이 점쳐지기도 했다. 4:3의 금통위 의사록이 공개되면서 국내 채권시장은 금리인하론에 힘이 쏠리면서 초강세를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김 총재의 발언 한마디에 채권시장은 약세로 돌아섰다.
물론 인하 가능성이 100% 사라진 것은 아니다. 동결론자 4명 중 다음 달에도 김 총재 편에 설 것으로 보이는 박원식 부총재, 문우식 위원(한은 추천) 외에 임승태 위원이 어떤 입장을 보일 것이냐가 변수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다만 임 위원은 통화정책보다 신용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등 김 총재의 입장과 일맥상통하는 발언을 해왔다는 점에서 바로 인하로 옮겨갈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이에 대해 금리인하를 주문해 왔던 기획재정부는 유구무언의 입장이다. 6일 기재부 고위관계자는 "다음번 금통위에서의 결정을 봐야하지 않겠나"며 "지금으로서는 코멘트하기 어렵다" 고 말했다.
김형선 구본홍 기자 egoh@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