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예산을 전액 지원하고 경기문화재단 위탁사업으로 진행하는 학교도서구입지원 사업비를 집행하는 과정에서 사업을 수행하는 비영리 민간단체가 이를 빌미로 기금수혜 대상학교에 단체발전기금을 요구해 물의를 빚고 있다.
경기도가 주관하고 수원여성회 등 9개 시민단체가 수행하는 ‘좋은 학교도서관만들기 운동’은 지난 2000년 7월부터 시작해 커다란 성과를 거둔 사업이다.
이에따라 도는 도서구입지원 예산 8억원을 별도로 경기문화재단 위탁사업금으로 책정하고, 좋은학교도서관만들기운동협의회와 학교운영위원장협의회(협의회) 남 모 사무국장에게 각 4억원을 할당해 학교선정을 의뢰했다.
이 과정에서 협의회는 지난 7일 협의회장 명의로 대상학교장들에게 공문을 발송했다. 공문에는 ‘경기도 교육환경 개선협의회 발전기금은 도서지원금을 수령하신 후 납부바랍니다’는 문구와 농협 온라인 번호를 기록돼 있다.
이에대해 협의회 남 국장은 “금액은 정하지 않았으며 구속력을 갖는 것도 아니다”면서“다만 학교운영위원들이 모여 벌이는 공익활동인 만큼 학교장이 자발적으로 내주면 좋겠다는 요청”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시민단체 일부에서는 ‘경기도가 어떤 과정을 거쳐 개인을 상대로 이런 큰일을 맡겼는지 해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수원 정흥모 기자 hmchung@naeil.com
경기도가 주관하고 수원여성회 등 9개 시민단체가 수행하는 ‘좋은 학교도서관만들기 운동’은 지난 2000년 7월부터 시작해 커다란 성과를 거둔 사업이다.
이에따라 도는 도서구입지원 예산 8억원을 별도로 경기문화재단 위탁사업금으로 책정하고, 좋은학교도서관만들기운동협의회와 학교운영위원장협의회(협의회) 남 모 사무국장에게 각 4억원을 할당해 학교선정을 의뢰했다.
이 과정에서 협의회는 지난 7일 협의회장 명의로 대상학교장들에게 공문을 발송했다. 공문에는 ‘경기도 교육환경 개선협의회 발전기금은 도서지원금을 수령하신 후 납부바랍니다’는 문구와 농협 온라인 번호를 기록돼 있다.
이에대해 협의회 남 국장은 “금액은 정하지 않았으며 구속력을 갖는 것도 아니다”면서“다만 학교운영위원들이 모여 벌이는 공익활동인 만큼 학교장이 자발적으로 내주면 좋겠다는 요청”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시민단체 일부에서는 ‘경기도가 어떤 과정을 거쳐 개인을 상대로 이런 큰일을 맡겼는지 해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수원 정흥모 기자 hmchung@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