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각종 경선을 앞두고 극심한 진통을 겪고 있다.
박근혜 의원의 탈당으로 대선 후보 경선의 무산 가능성이 커졌고, 홍사덕 의원의 불참으로 서울시장 후보 경선이 무산된 데 이어 여타 광역단체장 후보 상당수도 선출 일정 조차 확정하지 못한 채 내부 갈등을 빚고 있다.
그에 따라 애초 상향식 공천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 도입했던 완전 자유경선에 의한 공직 후보자 선출 원칙은 크게 퇴색하고 있고, 일부에서는 ‘경선 시기상조론’이 대두되는 등 진통을 겪고 있다.
◇ 일상화 된 경선 불복 = 한나라당의 경선 진통은 기초단체장 후보 선출부터 대선 후보 선출까지 전체가 진통을 겪고 있다.
기초단체장 후보를 경선으로 선출한 곳은 대부분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다.
대구 중구청장 후보 경선에서 패한 현직 구청장이 불공정 시비를 제기하며 경선 결과에 불복해 무소속 출마를 준비하고 있다.
사상 최초로 2만여명이 참여해 전 당원 경선을 실시한 경기도 가평·양평 군수 후보 선거에서도 낙선한 후보자들이 기자회견을 열어 경선 원천무효를 주장했다. 이에 대해 해당 지역구의 정병국 의원은 “무효주장의 근거가 후보자의 친척이 참여했고, 당비 안낸 당원이 많다는 것인데 이는 애초부터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결정한 내용”이라며 “경선 불복의 명분을 만들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처럼 경선 후유증이 심하자 아예 경선을 하지 않고 지구당 위원장이 결정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서울 용산 지구당 진 영 위원장은 “경선은 후유증이 너무 심해 다소 욕을 먹더라도 구청장 후보를 지명하는 게 낫다”고 말했다.
◇ 광역단체 중 인천만 경선 확정 = 전국 16개 광역단체에서 경선 무산으로 사실상 후보가 결정된 서울시와 한나라당의 당선 가능성이 희박한 호남·충남을 제외하고 경선 방침이 확정된 곳은 인천시 한 곳 뿐이다. 부산 대구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경북 경남 제주 등은 경선 실시 여부조차 정하지 못한 채 내부 진통을 겪고 있다.
이중 사실상 김진선 현 도지사로 공천이 확정적인 강원도와 이원종 현 지사의 입당을 기다리는 충북 등을 빼고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복수의 후보자가 의사를 보이고 있음에도 경선을 하지 못하고 합의 추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의근 경북도지사에 맞서 권오을 의원이 출마 의사를 밝혔지만 대부분의 경북 출신 의원들이 권 의원을 말리고 있다. 경상남도도 김혁규 현 지사에 맞서 이강두, 김용균 의원이 출마 의사를 보이고 있으나, 김 지사가 경선에 부정적인 의견을 밝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의원들이 이 총재의 의중탐색에 골몰하고 있다.
경기도 역시 지지도가 높은 손학규 의원이 경선에 난색을 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창 의원이 도전 의사를 굽히지 않고 있다.
현 시장과 3명의 의원 등이 출마를 선언한 부산시장의 경우 합의추대가 어려워 경선이 불가피해 보이고, 대구 역시 마찬가지 상황이다.
◇ “당내 경선은 돈 경선 불가피” = 대부분의 지역에서 후보자가 복수임에도 경선을 피하려고 하는 이유는 후유증이 불가피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원외위원장은 “한 중진 의원은 아예 ‘이 기회에 원외 위원장도 한 몫 잡아야지’라고 말하더라”며 “당원을 상대로 한 경선은 돈 경선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자발적으로 당비를 내고 참여한 당원이 아니라 지구당위원장이 만든 동원 조직의 특성을 띠고 있는 당원들의 경우 돈에 의해서 움직이는 데 길들여져 있어 돈 경선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향식 공천’‘당원의 직접 선출’이란 명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지역에서 경선보다는 합의추대를 선호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 상당수의 한나라당 의원들은 “우리 정당의 수준에서 완전 자유경선은 시기상조”라고 말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경선 불복이란 ‘중죄’를 저질러도 이러한 풍토에서 아무런 문제의식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결국 정당이 혁신되지 않는 이상 경선 잡음은 불가피해 보인다.
박근혜 의원의 탈당으로 대선 후보 경선의 무산 가능성이 커졌고, 홍사덕 의원의 불참으로 서울시장 후보 경선이 무산된 데 이어 여타 광역단체장 후보 상당수도 선출 일정 조차 확정하지 못한 채 내부 갈등을 빚고 있다.
그에 따라 애초 상향식 공천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 도입했던 완전 자유경선에 의한 공직 후보자 선출 원칙은 크게 퇴색하고 있고, 일부에서는 ‘경선 시기상조론’이 대두되는 등 진통을 겪고 있다.
◇ 일상화 된 경선 불복 = 한나라당의 경선 진통은 기초단체장 후보 선출부터 대선 후보 선출까지 전체가 진통을 겪고 있다.
기초단체장 후보를 경선으로 선출한 곳은 대부분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다.
대구 중구청장 후보 경선에서 패한 현직 구청장이 불공정 시비를 제기하며 경선 결과에 불복해 무소속 출마를 준비하고 있다.
사상 최초로 2만여명이 참여해 전 당원 경선을 실시한 경기도 가평·양평 군수 후보 선거에서도 낙선한 후보자들이 기자회견을 열어 경선 원천무효를 주장했다. 이에 대해 해당 지역구의 정병국 의원은 “무효주장의 근거가 후보자의 친척이 참여했고, 당비 안낸 당원이 많다는 것인데 이는 애초부터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결정한 내용”이라며 “경선 불복의 명분을 만들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처럼 경선 후유증이 심하자 아예 경선을 하지 않고 지구당 위원장이 결정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서울 용산 지구당 진 영 위원장은 “경선은 후유증이 너무 심해 다소 욕을 먹더라도 구청장 후보를 지명하는 게 낫다”고 말했다.
◇ 광역단체 중 인천만 경선 확정 = 전국 16개 광역단체에서 경선 무산으로 사실상 후보가 결정된 서울시와 한나라당의 당선 가능성이 희박한 호남·충남을 제외하고 경선 방침이 확정된 곳은 인천시 한 곳 뿐이다. 부산 대구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경북 경남 제주 등은 경선 실시 여부조차 정하지 못한 채 내부 진통을 겪고 있다.
이중 사실상 김진선 현 도지사로 공천이 확정적인 강원도와 이원종 현 지사의 입당을 기다리는 충북 등을 빼고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복수의 후보자가 의사를 보이고 있음에도 경선을 하지 못하고 합의 추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의근 경북도지사에 맞서 권오을 의원이 출마 의사를 밝혔지만 대부분의 경북 출신 의원들이 권 의원을 말리고 있다. 경상남도도 김혁규 현 지사에 맞서 이강두, 김용균 의원이 출마 의사를 보이고 있으나, 김 지사가 경선에 부정적인 의견을 밝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의원들이 이 총재의 의중탐색에 골몰하고 있다.
경기도 역시 지지도가 높은 손학규 의원이 경선에 난색을 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창 의원이 도전 의사를 굽히지 않고 있다.
현 시장과 3명의 의원 등이 출마를 선언한 부산시장의 경우 합의추대가 어려워 경선이 불가피해 보이고, 대구 역시 마찬가지 상황이다.
◇ “당내 경선은 돈 경선 불가피” = 대부분의 지역에서 후보자가 복수임에도 경선을 피하려고 하는 이유는 후유증이 불가피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원외위원장은 “한 중진 의원은 아예 ‘이 기회에 원외 위원장도 한 몫 잡아야지’라고 말하더라”며 “당원을 상대로 한 경선은 돈 경선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자발적으로 당비를 내고 참여한 당원이 아니라 지구당위원장이 만든 동원 조직의 특성을 띠고 있는 당원들의 경우 돈에 의해서 움직이는 데 길들여져 있어 돈 경선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향식 공천’‘당원의 직접 선출’이란 명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지역에서 경선보다는 합의추대를 선호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 상당수의 한나라당 의원들은 “우리 정당의 수준에서 완전 자유경선은 시기상조”라고 말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경선 불복이란 ‘중죄’를 저질러도 이러한 풍토에서 아무런 문제의식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결국 정당이 혁신되지 않는 이상 경선 잡음은 불가피해 보인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