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로 드러나는 F1 괴담
도민 자괴감 팽배, 정치권 불신 심화
“소문만큼 무섭고 빠른 것은 없다. 설령 사실이 아니더라도 근처에 한번이라도 갔던 인물이라면 주변을 챙겨보는 것은 필수다.” 유 지사의 낙마에 대한 지역 정치권의 한 인사가 내 놓은 ‘관전평’이다.
도지사의 수뢰혐의를 언론에서 접한 시민들의 반응은 사실 여부를 떠나 분노 수준에 이르렀다. 15일 12시쯤 전주시 중앙동 한 식당에서 점심을 들던 60대 한 노인은 “그동안 국정감사에서 뭘 했는지 모르겠다”면서 “앞으로는 선거 때 시간 내서 투표하는 일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실과의 소문사이 좁아져
14일 경선포기와 탈당선언은 본인의 강한 부인에도 불구, ㈜세풍과 관련한 검찰수사가 직접적인 원인이라는게 지배적인 관측이다. 물론 유 지사측은 “당 핵심실세 K씨와 청와대 P씨의 외압”을 들어 타의에 의한 중도하차라는 명분을 내 세웠다.
유 지사가 검찰수사의 대상이 되고 대권경선을 포기한 것은 단순한 사실 외에도 복잡한 정치적인 의미가 숨어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도민들이 겪는 실망과 허탈감은 소문으로만 들어왔던 일들이 사실에 가까워지는 현실에서 느끼는 자괴감이 훨씬 크다는 분석이다.
사실 F1그랑프리와 관련된 소문은 유 지사가 처음 도백으로 나선 95년부터 분분했다. 유 지사 스스로도 “97년 5월에는 당장이라도 구속될 듯이 보도하지 않았느냐”면서 “이 문제에 관해서는 나도 노련해졌다”고 여유를 부릴 정도였다.
그러나 2001년 말에 가까워지면서 F1그랑프리에 관한 소문은 괴담에 가까워졌다. 공적자금 비리에 관한 검찰의 수사망이 좁혀오자 2001년 12월20일경 세풍월드 고대용(구속) 부사장은 유 지사에게 ‘선처’를 위한 지원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급기야 2002년 1월 대용씨의 동생 대원(세풍 부사장)씨가 구속되면서, 유 지사와 F1그랑프리에 대한 괴담이 맹렬한 기세로 고개를 쳐들었다.
뭔가를 포착한 언론은 소문에 살을 입히고 불을 지폈고 검찰의 수사진행 상황이 만천하에 공개된 것이다. 검찰의 수사진행 상황은 이미 유 지사를 정조준하고 있었고 유 지사의 손아래처남 김 모(34세)씨가 소환되면서 소문과 사실의 간극은 더욱 좁아졌다.
‘정치적 보복’ 공감 어려워
유 지사측은 지난해 12월5일 출마선언 후 ‘법치주의 실패, 빅딜정책의 오류’ 등을 주장한 것에 대한 여권핵심부와 청와대의 압력설을 정면으로 제기했다. 유 지사측의 이러한 주장은 부패혐의를 받고 있는 상황을 벗어나기 위한 극단적인 선택으로 볼 수 있다. 정부정책에 대해 비판의견을 내자 검찰의 수사를 비롯한 정치적 탄압이 시작됐다는 ‘탄압받는 정치인’으로 위기를 벗어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그러나 유 지사의 이러한 주장은 전북도민을 비롯한 대(對) 국민용에 불과하다는 것이 지배적인 의견이다. 그만큼 ‘정치적 보복’에 의한 낙마라는 주장은 공감대를 얻지 못하고 있다. 이는 유 지사가 경선포기와 탈당을 선언하면서도 ‘전북도지사직은 임기를 채우겠다’고 선언한 것에 대해 지역의 반응이 순탄치 않을 것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전북도 고위 관계자는 “(수뢰와는 무관함을 전제로) 사법적인 처벌이 없기만을 바란다”면서 “죄가 없는데 임기를 채우지 못할 이유가 없지 않느냐”고 말했다. 문제는 18일 이후로 예정된 유 지사의 검찰조사 결과에 따라 상황은 더 악화될 가능성이 짙다. 사법처리 될 경우 최소한의 양심에 기대를 걸었던 도민의 기대는 한 순간에 날아가 버릴 것이다. 정치권의 한 인사는 “사법처리로 결정이 난다면 정치적 타격에는 비할 바가 아니다. 재기불능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
도민 자괴감 팽배, 정치권 불신 심화
“소문만큼 무섭고 빠른 것은 없다. 설령 사실이 아니더라도 근처에 한번이라도 갔던 인물이라면 주변을 챙겨보는 것은 필수다.” 유 지사의 낙마에 대한 지역 정치권의 한 인사가 내 놓은 ‘관전평’이다.
도지사의 수뢰혐의를 언론에서 접한 시민들의 반응은 사실 여부를 떠나 분노 수준에 이르렀다. 15일 12시쯤 전주시 중앙동 한 식당에서 점심을 들던 60대 한 노인은 “그동안 국정감사에서 뭘 했는지 모르겠다”면서 “앞으로는 선거 때 시간 내서 투표하는 일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실과의 소문사이 좁아져
14일 경선포기와 탈당선언은 본인의 강한 부인에도 불구, ㈜세풍과 관련한 검찰수사가 직접적인 원인이라는게 지배적인 관측이다. 물론 유 지사측은 “당 핵심실세 K씨와 청와대 P씨의 외압”을 들어 타의에 의한 중도하차라는 명분을 내 세웠다.
유 지사가 검찰수사의 대상이 되고 대권경선을 포기한 것은 단순한 사실 외에도 복잡한 정치적인 의미가 숨어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도민들이 겪는 실망과 허탈감은 소문으로만 들어왔던 일들이 사실에 가까워지는 현실에서 느끼는 자괴감이 훨씬 크다는 분석이다.
사실 F1그랑프리와 관련된 소문은 유 지사가 처음 도백으로 나선 95년부터 분분했다. 유 지사 스스로도 “97년 5월에는 당장이라도 구속될 듯이 보도하지 않았느냐”면서 “이 문제에 관해서는 나도 노련해졌다”고 여유를 부릴 정도였다.
그러나 2001년 말에 가까워지면서 F1그랑프리에 관한 소문은 괴담에 가까워졌다. 공적자금 비리에 관한 검찰의 수사망이 좁혀오자 2001년 12월20일경 세풍월드 고대용(구속) 부사장은 유 지사에게 ‘선처’를 위한 지원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급기야 2002년 1월 대용씨의 동생 대원(세풍 부사장)씨가 구속되면서, 유 지사와 F1그랑프리에 대한 괴담이 맹렬한 기세로 고개를 쳐들었다.
뭔가를 포착한 언론은 소문에 살을 입히고 불을 지폈고 검찰의 수사진행 상황이 만천하에 공개된 것이다. 검찰의 수사진행 상황은 이미 유 지사를 정조준하고 있었고 유 지사의 손아래처남 김 모(34세)씨가 소환되면서 소문과 사실의 간극은 더욱 좁아졌다.
‘정치적 보복’ 공감 어려워
유 지사측은 지난해 12월5일 출마선언 후 ‘법치주의 실패, 빅딜정책의 오류’ 등을 주장한 것에 대한 여권핵심부와 청와대의 압력설을 정면으로 제기했다. 유 지사측의 이러한 주장은 부패혐의를 받고 있는 상황을 벗어나기 위한 극단적인 선택으로 볼 수 있다. 정부정책에 대해 비판의견을 내자 검찰의 수사를 비롯한 정치적 탄압이 시작됐다는 ‘탄압받는 정치인’으로 위기를 벗어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그러나 유 지사의 이러한 주장은 전북도민을 비롯한 대(對) 국민용에 불과하다는 것이 지배적인 의견이다. 그만큼 ‘정치적 보복’에 의한 낙마라는 주장은 공감대를 얻지 못하고 있다. 이는 유 지사가 경선포기와 탈당을 선언하면서도 ‘전북도지사직은 임기를 채우겠다’고 선언한 것에 대해 지역의 반응이 순탄치 않을 것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전북도 고위 관계자는 “(수뢰와는 무관함을 전제로) 사법적인 처벌이 없기만을 바란다”면서 “죄가 없는데 임기를 채우지 못할 이유가 없지 않느냐”고 말했다. 문제는 18일 이후로 예정된 유 지사의 검찰조사 결과에 따라 상황은 더 악화될 가능성이 짙다. 사법처리 될 경우 최소한의 양심에 기대를 걸었던 도민의 기대는 한 순간에 날아가 버릴 것이다. 정치권의 한 인사는 “사법처리로 결정이 난다면 정치적 타격에는 비할 바가 아니다. 재기불능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