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육청 30만명 조사 … "중독자, 일상생활에 어려움 겪어"
인터넷보다 스마트폰에 중독된 초·중·고생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년이 올라갈 수록 스마트폰 과다사용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교육청은 지난 3월 25일부터 2주간 1305개 초등학교 4학년, 중·고교 1학년생 30만명을 대상으로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전수조사를 실시했다.
서울시교육청은 전수조사를 실시한 결과, 1만7448명(6.51%)의 학생들이 스마트폰을 과도하게 사용하고 있다고 6일 밝혔다.
스마트폰 과다사용 학생비율을 학년별로 보면 초등학교 4학년은 0.91%, 중학교 1학년은 7.24%, 고등학교 1학년은 8.86%에 달했다.

스마트폰 과다 사용이란 지나치게 스마트폰에 몰두해 내성과 금단증상이 생겨 수면, 학업, 건강 등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것을 말한다.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일상생활 변화를 조사에서는 '위험사용군'에 속하는 학생은 4585명(1.81%)이었다.
'주의사용군'에 속하는 학생은 1만2590명(4.69%)으로 집계됐다.
위험사용군은 일상생활에서 심각한 장애를 보이며 내성·금단 현상이 나타나는 단계로 스마트폰 중독 경향이 매우 높기 때문에 전문기관의 지원과 도움이 필요하다.
주의사용군은 일상생활에 장애가 나타나고 스마트폰 사용에 집착하게 된다.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주의가 필요한 단계로 위험성을 깨닫고 계획적인 사용을하려고 노력해야 하는 단계다.
조사는 학생이 '스마트폰으로 학업성적이 떨어졌다',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면 견디기 힘들 것이다' 등 15개 문항에 1(전혀 그렇지 않다)∼4점(매우 그렇다)까지 매기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총점이 45점 이상이면 위험사용군, 42점 이상 44점 이하면 주의사용군으로 분류된다.
또한 인터넷 과다사용 학생은 9085명(3.07%)으로 나타났다.
이중 위험사용군은 2589명(0.87%), 주의사용군은 6496명(2.20%)이었다.
이는 지난해 과다사용비율 3.32%보다 0.25%포인트 줄어든 것이다.
서울교육청은 인터넷중독 전문상담기관인 IWILL센터, 서울시립청소년미디어센터와 협력해 인터넷·스마트폰 과다사용 학생에 대한 상담과 병원연계치료를 지원할 방침이다. 또 스마트폰, 인터넷 과다사용의 심각성을 일깨워주기 위한 연극과 뮤지컬 공연도 계획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앞으로 스마트폰, 인터넷 과다사용 예방교육 강화와 정기진단을 통해 스마트폰, 인터넷 사용에 대한 바른 습관 형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스마트폰 이용시간제한과 유해정보차단 프로그램 앱 개발·보급 등 다각적인 노력을 펼쳐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보다 스마트폰에 중독된 초·중·고생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년이 올라갈 수록 스마트폰 과다사용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교육청은 지난 3월 25일부터 2주간 1305개 초등학교 4학년, 중·고교 1학년생 30만명을 대상으로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전수조사를 실시했다.
서울시교육청은 전수조사를 실시한 결과, 1만7448명(6.51%)의 학생들이 스마트폰을 과도하게 사용하고 있다고 6일 밝혔다.
스마트폰 과다사용 학생비율을 학년별로 보면 초등학교 4학년은 0.91%, 중학교 1학년은 7.24%, 고등학교 1학년은 8.86%에 달했다.

스마트폰 과다 사용이란 지나치게 스마트폰에 몰두해 내성과 금단증상이 생겨 수면, 학업, 건강 등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것을 말한다.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일상생활 변화를 조사에서는 '위험사용군'에 속하는 학생은 4585명(1.81%)이었다.
'주의사용군'에 속하는 학생은 1만2590명(4.69%)으로 집계됐다.
위험사용군은 일상생활에서 심각한 장애를 보이며 내성·금단 현상이 나타나는 단계로 스마트폰 중독 경향이 매우 높기 때문에 전문기관의 지원과 도움이 필요하다.
주의사용군은 일상생활에 장애가 나타나고 스마트폰 사용에 집착하게 된다.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주의가 필요한 단계로 위험성을 깨닫고 계획적인 사용을하려고 노력해야 하는 단계다.
조사는 학생이 '스마트폰으로 학업성적이 떨어졌다',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면 견디기 힘들 것이다' 등 15개 문항에 1(전혀 그렇지 않다)∼4점(매우 그렇다)까지 매기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총점이 45점 이상이면 위험사용군, 42점 이상 44점 이하면 주의사용군으로 분류된다.
또한 인터넷 과다사용 학생은 9085명(3.07%)으로 나타났다.
이중 위험사용군은 2589명(0.87%), 주의사용군은 6496명(2.20%)이었다.
이는 지난해 과다사용비율 3.32%보다 0.25%포인트 줄어든 것이다.
서울교육청은 인터넷중독 전문상담기관인 IWILL센터, 서울시립청소년미디어센터와 협력해 인터넷·스마트폰 과다사용 학생에 대한 상담과 병원연계치료를 지원할 방침이다. 또 스마트폰, 인터넷 과다사용의 심각성을 일깨워주기 위한 연극과 뮤지컬 공연도 계획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앞으로 스마트폰, 인터넷 과다사용 예방교육 강화와 정기진단을 통해 스마트폰, 인터넷 사용에 대한 바른 습관 형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스마트폰 이용시간제한과 유해정보차단 프로그램 앱 개발·보급 등 다각적인 노력을 펼쳐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