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세 외교장관, 맞춤형 접근방식 설명
박근혜정부의 외교사령탑인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 추진을 위한 출사표를 던졌다.
윤 장관은 29일 한승수 전 총리, 마하티르 모하마드 전 말레이시아 총리, 하토야마 유키오 전 일본 총리, 아피시트 웨차치와 전 태국 총리 등 동아시아의 전·현직 거물급 인사가 대거 참석한 가운데 개최된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 2013(제주포럼)' 환영만찬에서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 진전을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윤 장관은 최근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대표단을 면담, 미 상원 외교위원회 동아태소위원회 위원장 접견 등 외교행사에서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에 대한 협력방안을 논의해왔다.
윤 장관은 이날 참석자들에게 박근혜 대통령이 제시한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이 "동북아 지역에서 그물망 같이 중층적으로 엮여진 상호의존 속에서 취약한 연결고리를 보강하고 공백을 채우기 위한 것"이라고 그 필요성을 설명했다.
구체적인 경로도 제시했다. 환경, 재난구호, 원자력안전, 테러리즘 대처 등 연성(Soft) 협력안보 이슈에서 출발해 습관을 형성해 나가고, 이를 통해 신뢰를 구축할 경우 평화롭고 협력적이며 책임 있는 동북아 시대를 실현하게 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윤 장관은 "시기가 무르익었다"며 "한국은 역내 이해당사자들의 지혜를 모아 공동의 노력을 시작하고자 한다"고 천명했다.
과거에도 이와 유사한 시도들이 있었지만 실패했다. 윤 장관은 "원인을 분석해 동북아 환경에 부합하는 맞춤형 접근방식을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모든 참여국들이 편하게 생각할 수 있는 속도로, 미·중·일 등을 포함한 모든 이해당사국들에 참여가 개방되는 원칙이 견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한반도에서 시급하고 중차대한 문제인 북한 핵을 어떻게 다루느냐는 것이다. 과거 동·서독간 문제는 유럽 전체의 평화와 밀접하게 연결돼 있었고,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간 문제는 중동 평화와 직결돼 있듯이 북한 문제는 동북아의 평화와 직결돼 있기 때문이다.
윤 장관은 "정부는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통한 북한의 변화를 유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과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관계에 대해서도 "평화롭고 협력적인 동북아는 한반도의 지속가능한 평화 정착에 도움이 되고, 평화롭고 안정적인 한반도는 평화롭고 협력적인 동북아를 구현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기수 기자 ks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박근혜정부의 외교사령탑인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 추진을 위한 출사표를 던졌다.
윤 장관은 29일 한승수 전 총리, 마하티르 모하마드 전 말레이시아 총리, 하토야마 유키오 전 일본 총리, 아피시트 웨차치와 전 태국 총리 등 동아시아의 전·현직 거물급 인사가 대거 참석한 가운데 개최된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 2013(제주포럼)' 환영만찬에서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 진전을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윤 장관은 최근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대표단을 면담, 미 상원 외교위원회 동아태소위원회 위원장 접견 등 외교행사에서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에 대한 협력방안을 논의해왔다.
윤 장관은 이날 참석자들에게 박근혜 대통령이 제시한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이 "동북아 지역에서 그물망 같이 중층적으로 엮여진 상호의존 속에서 취약한 연결고리를 보강하고 공백을 채우기 위한 것"이라고 그 필요성을 설명했다.
구체적인 경로도 제시했다. 환경, 재난구호, 원자력안전, 테러리즘 대처 등 연성(Soft) 협력안보 이슈에서 출발해 습관을 형성해 나가고, 이를 통해 신뢰를 구축할 경우 평화롭고 협력적이며 책임 있는 동북아 시대를 실현하게 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윤 장관은 "시기가 무르익었다"며 "한국은 역내 이해당사자들의 지혜를 모아 공동의 노력을 시작하고자 한다"고 천명했다.
과거에도 이와 유사한 시도들이 있었지만 실패했다. 윤 장관은 "원인을 분석해 동북아 환경에 부합하는 맞춤형 접근방식을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모든 참여국들이 편하게 생각할 수 있는 속도로, 미·중·일 등을 포함한 모든 이해당사국들에 참여가 개방되는 원칙이 견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한반도에서 시급하고 중차대한 문제인 북한 핵을 어떻게 다루느냐는 것이다. 과거 동·서독간 문제는 유럽 전체의 평화와 밀접하게 연결돼 있었고,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간 문제는 중동 평화와 직결돼 있듯이 북한 문제는 동북아의 평화와 직결돼 있기 때문이다.
윤 장관은 "정부는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통한 북한의 변화를 유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과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관계에 대해서도 "평화롭고 협력적인 동북아는 한반도의 지속가능한 평화 정착에 도움이 되고, 평화롭고 안정적인 한반도는 평화롭고 협력적인 동북아를 구현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기수 기자 ks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