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발전회사가 25일 오전 9시까지 복귀하지 않는 파업 조합원을 전원 해임하겠다는 내용의 최후통첩을 발표했다.
5개 발전회사 사장단은 20일 산업자원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처럼 밝혔다. 사장단은 “20일 0시 기준으로 이미 해임된 197명 외에 추가 해임대상자가 3945명”이라고 말했다.
발전회사측은 648명을 업무방해죄와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위반으로 경찰에 고소한 데 이어 향후 전기공급업무 방해 및 전기사업법 위반 등으로 추가고소하는 방안도 검토키로 했다.
이와 함께 1차로 노동조합 및 파업주동자의 임금 및 퇴직금에 대해 가압류신청을 냈고, 미복귀자 전원의 급여 및 퇴직금을 압류하는 방안과 해임자 가운데 고소대상자의 경우 개인 부동산에 대한 가압류 신청도 추진키로 했다.
사장단은 “올 여름 전력수급은 예비율이 13∼15% 수준이 될 것”이라며 “전력공급에는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한편 발전산업 노조집행부는 20일 서울 명동성당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무기한 단식농성에 돌입했다. 이들은 “정부와 사측은 국회의 권고안과 교수들의 성명서를 일축하는 등 평화적 해결을 위한 노력을 보이지 않고 있다”면서 “대정부 투쟁을 강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5개 발전회사 사장단은 20일 산업자원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처럼 밝혔다. 사장단은 “20일 0시 기준으로 이미 해임된 197명 외에 추가 해임대상자가 3945명”이라고 말했다.
발전회사측은 648명을 업무방해죄와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위반으로 경찰에 고소한 데 이어 향후 전기공급업무 방해 및 전기사업법 위반 등으로 추가고소하는 방안도 검토키로 했다.
이와 함께 1차로 노동조합 및 파업주동자의 임금 및 퇴직금에 대해 가압류신청을 냈고, 미복귀자 전원의 급여 및 퇴직금을 압류하는 방안과 해임자 가운데 고소대상자의 경우 개인 부동산에 대한 가압류 신청도 추진키로 했다.
사장단은 “올 여름 전력수급은 예비율이 13∼15% 수준이 될 것”이라며 “전력공급에는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한편 발전산업 노조집행부는 20일 서울 명동성당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무기한 단식농성에 돌입했다. 이들은 “정부와 사측은 국회의 권고안과 교수들의 성명서를 일축하는 등 평화적 해결을 위한 노력을 보이지 않고 있다”면서 “대정부 투쟁을 강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