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은 4일 정부와 대전시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 수정안을 추진하기로 결정한 데 대해 "제2의 세종시 수정안"이라며 원안 사수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김한길 대표는 이날 민주당 대전시당에서 개최한 '과학벨트 원안 추진을 위한 최고위원회의'에서 " 과학기술발전의 초석이 될 과학벨트사업은 반드시 당초 계획대로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과학벨트는) 세계 최고수준의 과학혁신 클러스터를 구축하기 위해 MB(이명박)정부에서 확정된 사업으로 박근혜 대통령도 대선공약으로 추진을 약속했다"면서 "하지만 박 정부는 약속을 무시하고 과학벨트 근본을 흔들 정도의 수정을 시도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과학벨트 수정안은 과학벨트 거점지구 핵심시설인 기초과학연구원(IBS)을 엑스포과학공원에 입주시키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김 대표는 "대전시가 실체도 없는 창조경제에 부화뇌동해서 시민들 공간인 엑스포 공원을 국가에 헌납하는 것은 충청 민심을 배반하는 일"이라면서 "민주당은 과학벨트 수정안을 정부와 대전시, 새누리당이 함께 빚은 '제2의 세종시 수정안'으로 규정하고 과학벨트 원안 사수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천명했다.
이어 김 대표는 박 대통령과 새누리당에 "한국과학의 미래가 걸린 과학벨트 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는 약속의 이행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박병석 국회부의장은 "과학벨트는 국책사업이고 공모사업이 아닌 지정사업으로 두 대통령이 공동으로 국민에게 약속한 사항"이라며 "전임대통령의 재가와 국회 특별법 제정, 후임 대통령 후보가 선거과정에서 약속한 것을 뒤집는 것은 국가백년대계를 뒤집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 "수정안의 접근발상이 어떻게 하면 부지매입비를 줄이느냐 하는 것에서 나왔다"고 비난하고 "기능지구인 세종·오송오창·천안 벨트가 한꺼번에 무너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수정안에 대해 대전시가 먼저 제안했다는 중앙부처의 보고를 받은 것은 100% 사실"이라며 대전시의 제안으로 수정안이 본격화됐음을 재확인하고 "한 시간에 네 차례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신경민 최고위원은 "처음 약속과 목표했던 대로 가야 제대로 된 성과를 내고 국민을 납득시킬 수 있다"며 "물타기로 절차를 흐려선 안 된다"고 말했다.
조경태 최고위원은 "수정안을 낸 것은 과학기술계의 여망을 저버리는 행위로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이 집권초기부터 약속을 뒤집는 행위이므로 유감스럽다"면서 "충청권과 국민을 배반하는 뒤집기식 행위는 즉각 중단돼야 하며 민주당은 7월 임시국회에서 가장 큰 현안 중 하나로 다룰 것"이라고 강조했다.
양승조 최고위원은 "양해각서 체결은 한마디로 과학벨트를 빈껍데기 전락시킨 것이며 부지매입비를 대전시에 떠넘기려는 꼼수"라고 지적하고 "정부 입맛대로 국책사업을 뜯어고친 나쁜 선례"라고 비판했다.
우원식 최고위원은 박근혜 대통령이 대선후보 유세 때 언급했던 발언을 되짚고 "충청도의 뒤통수를 친 것이며 명백한 배신행위"라고 비난하고 염홍철 시장에 대해서도 "내년 지방선거에 혈안이 된 대전시장은 무슨 권리로 정부에 헐값에 팔아넘기느냐, 기능지구가 무용지물이 되고 충북도와 협의 없는 MOU는 무효"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준규 기자 대전=연합뉴스 임형섭 기자 jkpar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