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경선에서 노무현 후보의 언론관에 대한 논쟁이 해당언론사들의 반발로 이어지면서 더욱 거세지고 있다.
노 후보는 7일 경북경선 합동유세가 끝난 후 기자간담회에서 “정치인이 더이상 언론의 눈치를 보고 굽혀서는 한국의 장래가 없다”면서 “어떤 강한 힘이라도 맞서는 자세로 우리나라를 이끌고 나가겠다”고 말해 일부언론과의 정면대결 자세를 유지할 것임을 밝혔다.
이에 앞서 노 후보는 경북경선 합동유세에서 “국유화, 언론사 폐간 등 그런 말을 한 적이 없다”고 부인하고 “이 후보가 근거 없는 사실에 기초해 나를 모함하고 한나라당과 조선일보가 입맞춰 흔들어대서 정말 힘들다”며 공세 중단을 촉구했다.
노 후보는 또 보도자료를 통해 ‘동아폐간’은 자신이 아닌 기자의 언급이었다고 해명했다.
이에 대해 이인제 후보는 “노 후보와의 저녁모임에 참석했던 기자 5명 중 3명으로부터 일치된 진술을 받아냈다”면서 “노 후보가 거짓말을 한 게 더 큰 문제”라고 주장했다.
한편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는 “언론사 소유지분제한 주장을 포기하라고 압력을 가했다”고 주장한 것과 관련, 노 후보의 사과를 요구했다.동아일보는 이날 “어떤 형태로든 소유지분 제한방침을 포기하라고 강요한 적이 없으며 민주당 경선에 개입한 적도 개입할 이유도 없다”면서 “사과하지 않을 경우 법적 책임도 물을 것”이라고 밝혔다.
조선일보도 “노 후보의 유종필 공보특보가 전화로 ‘조선일보는 지분제한 문제와 관련, 압력을 가하거나 질문을 해온 바가 없고 조선일보에 미안하다’고 사과했다”면서 “그러나 노 후보의 연설내용이 인터넷과 TV로 방송된 만큼 노 후보가 직접 공개석상에서 공식 사과해야 한다”고 밝혔다.
노 후보는 7일 경북경선 합동유세가 끝난 후 기자간담회에서 “정치인이 더이상 언론의 눈치를 보고 굽혀서는 한국의 장래가 없다”면서 “어떤 강한 힘이라도 맞서는 자세로 우리나라를 이끌고 나가겠다”고 말해 일부언론과의 정면대결 자세를 유지할 것임을 밝혔다.
이에 앞서 노 후보는 경북경선 합동유세에서 “국유화, 언론사 폐간 등 그런 말을 한 적이 없다”고 부인하고 “이 후보가 근거 없는 사실에 기초해 나를 모함하고 한나라당과 조선일보가 입맞춰 흔들어대서 정말 힘들다”며 공세 중단을 촉구했다.
노 후보는 또 보도자료를 통해 ‘동아폐간’은 자신이 아닌 기자의 언급이었다고 해명했다.
이에 대해 이인제 후보는 “노 후보와의 저녁모임에 참석했던 기자 5명 중 3명으로부터 일치된 진술을 받아냈다”면서 “노 후보가 거짓말을 한 게 더 큰 문제”라고 주장했다.
한편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는 “언론사 소유지분제한 주장을 포기하라고 압력을 가했다”고 주장한 것과 관련, 노 후보의 사과를 요구했다.동아일보는 이날 “어떤 형태로든 소유지분 제한방침을 포기하라고 강요한 적이 없으며 민주당 경선에 개입한 적도 개입할 이유도 없다”면서 “사과하지 않을 경우 법적 책임도 물을 것”이라고 밝혔다.
조선일보도 “노 후보의 유종필 공보특보가 전화로 ‘조선일보는 지분제한 문제와 관련, 압력을 가하거나 질문을 해온 바가 없고 조선일보에 미안하다’고 사과했다”면서 “그러나 노 후보의 연설내용이 인터넷과 TV로 방송된 만큼 노 후보가 직접 공개석상에서 공식 사과해야 한다”고 밝혔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