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경에는 글로벌 경제 환경의 변화가 있다. 브라운 교수와 저자들은 현재 국제노동시장의 모습을 '글로벌 옥션'이라고 부른다. 마치 경매시장같다는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대졸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경매의 대상에는 저학력자뿐 아니라 고학력자도 포함되게 됐다. 아무리 고학력자라도 가장 낮은 임금을 제시할 때 일자리를 얻을 수 있다는 뜻이다.
게다가 기업들은 인간의 지식 노동을 세분화 규격화하는 작업을 통해 인간의 지적 노동을 최소화시키고 있다. 그러니 기업가는 예전처럼 대학졸업장 든 고학력자에게 돈이 많이 줘야 할 이유가 없어진다. 웬만한 대학 나온 사람이라면 할 수 있을 만하게 일을 단순화시킨다는 것이다. 결국 대다수의 고학력자들은 소홀한 취급을 받을 수밖에 없다.
저자들은 피터 드러커를 비롯해 많은 경영 구루들은 이제는 지식이 곧 힘인 시대이기에 교육을 많이 받은 지식노동자가 되면 소득도 늘어날 것이라 예측했지만, 이 예측은 틀렸다고 말한다. 지식은 흔해졌으며, 기업들이 원하는 지식은 그나마 얼마 되지도 않는다. 많이 공부해도 많이 벌지 못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었다. 지식노동을 헐값에 팔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금 남은 것은 무엇인가. 전세계적인 중산층의 몰락이다.
개마고원
필립 브라운 외 지음/이혜진 외 옮김
1만6000원
김형선 기자 egoh@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