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그린북 10월호' … 주요 실물지표 모두 증가
경기상황에 대한 정부의 시각이 한층 밝아졌다. 기획재정부는 8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10월호'에서 "고용·물가 안정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생산·소비·투자 등 주요 실물지표가 모두 증가하면서 개선세가 다소 확대됐다"며 "우리 경제의 회복조짐이 점차 강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는 "광공업·서비스업의 소폭 감소에도 전산업생산이 개선되고 설비투자 부진에도 수출·소비·건설투자가 증가했다"며 "주요 지표가 완만한 개선세를 보인다"고 했던 지난달 평가보다도 더 긍정적인 모습이다.
실제 주요 지표를 보면 8월 취업자 수 증가폭은 43만2000명으로 7월 36만7000명보다 확대됐다.
8월중 광공업생산은 절전규제 등에 따른 철강·화학업종 생산 감소에도 불구하고 자동차와 IT부문이 증가하면서 전월대비 1.8% 증가했고, 서비스업 생산도 0.7% 늘었다.
8월중 소매판매는 내구재가 감소했으나 준내구재와 비내구재 판매가 증가하면서 전월대비 0.4% 증가했다. 다만 9월 소매판매 속보치를 보면 승용차 및 음식료 판매감소 등으로 8월보다 다소 부진할 것으로 전망됐다. 국산 승용차 내수 판매는 파업과 조업일수 감소 등으로 1년전보다 14.5% 줄었고, 일본 방사능 우려에 따른 수산물 판매 감소 등으로 대형마트 매출이 줄면서 할인점 매출액은 5.2% 감소했다.
9월중 수출은 선박·반도체와 대 중국, 대 아세안 수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추석연휴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로 전년 동월 대비 1.5% 감소했지만 수출입차는 흑자세를 지속했다.
주택시장은 매매가격이 3개월만에 상승세로 전환했고, 전세가격은 이사철을 맞아 상승세를 지속했다.
구본홍 기자 bhko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경기상황에 대한 정부의 시각이 한층 밝아졌다. 기획재정부는 8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10월호'에서 "고용·물가 안정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생산·소비·투자 등 주요 실물지표가 모두 증가하면서 개선세가 다소 확대됐다"며 "우리 경제의 회복조짐이 점차 강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는 "광공업·서비스업의 소폭 감소에도 전산업생산이 개선되고 설비투자 부진에도 수출·소비·건설투자가 증가했다"며 "주요 지표가 완만한 개선세를 보인다"고 했던 지난달 평가보다도 더 긍정적인 모습이다.
실제 주요 지표를 보면 8월 취업자 수 증가폭은 43만2000명으로 7월 36만7000명보다 확대됐다.
8월중 광공업생산은 절전규제 등에 따른 철강·화학업종 생산 감소에도 불구하고 자동차와 IT부문이 증가하면서 전월대비 1.8% 증가했고, 서비스업 생산도 0.7% 늘었다.
8월중 소매판매는 내구재가 감소했으나 준내구재와 비내구재 판매가 증가하면서 전월대비 0.4% 증가했다. 다만 9월 소매판매 속보치를 보면 승용차 및 음식료 판매감소 등으로 8월보다 다소 부진할 것으로 전망됐다. 국산 승용차 내수 판매는 파업과 조업일수 감소 등으로 1년전보다 14.5% 줄었고, 일본 방사능 우려에 따른 수산물 판매 감소 등으로 대형마트 매출이 줄면서 할인점 매출액은 5.2% 감소했다.
9월중 수출은 선박·반도체와 대 중국, 대 아세안 수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추석연휴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로 전년 동월 대비 1.5% 감소했지만 수출입차는 흑자세를 지속했다.
주택시장은 매매가격이 3개월만에 상승세로 전환했고, 전세가격은 이사철을 맞아 상승세를 지속했다.
구본홍 기자 bhko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