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규선씨로부터 청부수사를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수도권의 이 모 경찰서장이 97년 6월부터 10월까지 경찰청 내부 감찰을 받았다가 정권교체 과정에서 인수위에 참여, 오히려 승진하는 등 승승장구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경찰청 감찰계에 근무했던 한 관계자는 “96년 당시 종로서 정보과장이던 이 서장이 관할구역내 한 업체로부터 정기적으로 상납받았다는 투서를 받고 내사한 결과 상당한 혐의가 있어 중징계 처분을 내릴 것을 내정했었다”고 18일 밝혔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감찰 조사기간이 길어지면서 정권이 교체되고 이 과정에서 이 서장이 정권인수위에 참여하면서 기사회생했던 것으로 기억한다”고 덧붙였다.
이 관계자는 또 “96년 당시 이 서장의 부하직원이 ‘오락실 업주로부터 정기적으로 상납받고 지분도 출자하는 등 비리혐의가 있다’는 제보를 해와 내사한 결과 오락실 업주가 돈 준 사실을 시인하는 등 제보된 혐의사실이 상당부분 사실로 밝혀졌다”고 설명했다.
이 서장은 이에 대해 “당시 감찰조사를 받았던 기억이 없다”며 “진술서를 쓰거나 직접 조사를 받은 적이 없으며 이런 이야기가 있다면 나에 대한 모함일 것”이라고 강력히 부인했다.
한편 최규선씨의 측근 천호영(36)씨는 지난달 경실련 홈페이지에 올린 글에서 “이 서장이 올해 초 전보인사에서 최씨에게 1억원을 건넸으며, 최씨와 특정상가내 음료코너 분양을 둘러싸고 벌인 갈등에 경찰을 동원, 천씨 형제를 수사했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이 서장은 97년 정권인수위에 파견근무하는 과정에서 최씨를 알게됐던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 때 경정에서 총경으로 승진한 뒤 양평·안산서장과 경기경찰청 경비과장을 역임했다.
경찰청 감찰계에 근무했던 한 관계자는 “96년 당시 종로서 정보과장이던 이 서장이 관할구역내 한 업체로부터 정기적으로 상납받았다는 투서를 받고 내사한 결과 상당한 혐의가 있어 중징계 처분을 내릴 것을 내정했었다”고 18일 밝혔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감찰 조사기간이 길어지면서 정권이 교체되고 이 과정에서 이 서장이 정권인수위에 참여하면서 기사회생했던 것으로 기억한다”고 덧붙였다.
이 관계자는 또 “96년 당시 이 서장의 부하직원이 ‘오락실 업주로부터 정기적으로 상납받고 지분도 출자하는 등 비리혐의가 있다’는 제보를 해와 내사한 결과 오락실 업주가 돈 준 사실을 시인하는 등 제보된 혐의사실이 상당부분 사실로 밝혀졌다”고 설명했다.
이 서장은 이에 대해 “당시 감찰조사를 받았던 기억이 없다”며 “진술서를 쓰거나 직접 조사를 받은 적이 없으며 이런 이야기가 있다면 나에 대한 모함일 것”이라고 강력히 부인했다.
한편 최규선씨의 측근 천호영(36)씨는 지난달 경실련 홈페이지에 올린 글에서 “이 서장이 올해 초 전보인사에서 최씨에게 1억원을 건넸으며, 최씨와 특정상가내 음료코너 분양을 둘러싸고 벌인 갈등에 경찰을 동원, 천씨 형제를 수사했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이 서장은 97년 정권인수위에 파견근무하는 과정에서 최씨를 알게됐던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 때 경정에서 총경으로 승진한 뒤 양평·안산서장과 경기경찰청 경비과장을 역임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