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규선씨가 한나라당 이회창 전총재 전달 명목으로 윤여준 의원에게 2억5000만원을 줬다고 주장했던 민주당 설 훈 의원이 25일 기자회견에서 뚜렷한 증거를 제시하지 못해 폭로를 둘러싼 의구심은 더욱 깊어지게 됐다. 특히, 제보자에 대해 설 의원은 여전히 침묵을 지켜 ‘100% 신뢰할만한 측’이라고 칭했던 제보자에 대한 의심이 본격적으로 제기될 전망이다. 또한 한나라당은 더욱 공세를 강화할 것으로 보여 민주당과 설 의원은 더욱 수세에 몰리게 됐다.
설 의원은 제보자의 신원에 대해 명확한 내용을 밝히지 못했다. 따라서 “검찰·국정원·청와대 같은 권력정보기관이 뒤에 있다는 의미”라는 한나라당의 주장이 더욱 힘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혹시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 하는 정보기관들이 개입했다는 의혹이 구체적으로 제기될 경우 새로운 정국의 뇌관으로 등장하게 될 전망이다.
폭로 당시의 정황에서도 폭로 배후에 대한 의심은 제기될 수 있다. 폭로 전날인 18일 아태재단 이사회에 참석했던 설 의원은 “‘이회창 전총재를 공격하는 것은 대선을 고려했을 때 타이밍이 맞지 않다’고 주장했다”고 한 참석자가 전했다. 또 같은 날 저녁 식사 자리에서도 설 의원은 똑같은 주장을 되풀이할 만큼 이 전총재를 공격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이었다. 그런데 하루만에 입장을 바꿔 이 전총재 공격수로 나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어떤 힘이 작용하지 않았느냐는 것이다.
대선과 지방선거도 ‘설 훈 파문’의 영향권 안에 있다. 이후에라도 명확한 증거를 제시하지 못할 경우 한나라당에게 공격할 수 있는 꼬투리를 남겨둔 셈이 되기 때문이다. 민주당 입장에서도 모처럼 노풍을 타고 한나라당에 우위를 지켜왔지만 설 의원의 폭로를 기점으로 갈림길에 서게 돼 난처하기는 마찬가지다. 민주당은 공식적으로는 설 의원에 대한 검찰조사를 주장하는 등 냉정하게 대처하고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물증확보 없는 폭로에 대해 “여권 전체가 비판받을 수 있다”는 우려를 하고 있었던 차였다.
설 의원 개인도 신뢰성에 치명상을 입게 됐다. 이회창 전총재의 빌라 문제를 제기, 정국의 흐름을 돌려놓은 바 있는 설 의원은 ‘근거있게 공격하는 최고의 저격수’로 당 안팎에서 신뢰감을 받아왔다. 그러나 이번 파문으로 그런 평가에 흠집을 내게 된 것이다. 또한 돈을 받은 당사자로 지목된 윤여준 의원은 “거짓말하는 사람은 의원직을 사퇴하자”며 정치생명을 걸고 압박을 가하고 있어 저질폭로 정치를 한다는 오명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설 의원은 제보자의 신원에 대해 명확한 내용을 밝히지 못했다. 따라서 “검찰·국정원·청와대 같은 권력정보기관이 뒤에 있다는 의미”라는 한나라당의 주장이 더욱 힘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혹시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 하는 정보기관들이 개입했다는 의혹이 구체적으로 제기될 경우 새로운 정국의 뇌관으로 등장하게 될 전망이다.
폭로 당시의 정황에서도 폭로 배후에 대한 의심은 제기될 수 있다. 폭로 전날인 18일 아태재단 이사회에 참석했던 설 의원은 “‘이회창 전총재를 공격하는 것은 대선을 고려했을 때 타이밍이 맞지 않다’고 주장했다”고 한 참석자가 전했다. 또 같은 날 저녁 식사 자리에서도 설 의원은 똑같은 주장을 되풀이할 만큼 이 전총재를 공격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이었다. 그런데 하루만에 입장을 바꿔 이 전총재 공격수로 나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어떤 힘이 작용하지 않았느냐는 것이다.
대선과 지방선거도 ‘설 훈 파문’의 영향권 안에 있다. 이후에라도 명확한 증거를 제시하지 못할 경우 한나라당에게 공격할 수 있는 꼬투리를 남겨둔 셈이 되기 때문이다. 민주당 입장에서도 모처럼 노풍을 타고 한나라당에 우위를 지켜왔지만 설 의원의 폭로를 기점으로 갈림길에 서게 돼 난처하기는 마찬가지다. 민주당은 공식적으로는 설 의원에 대한 검찰조사를 주장하는 등 냉정하게 대처하고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물증확보 없는 폭로에 대해 “여권 전체가 비판받을 수 있다”는 우려를 하고 있었던 차였다.
설 의원 개인도 신뢰성에 치명상을 입게 됐다. 이회창 전총재의 빌라 문제를 제기, 정국의 흐름을 돌려놓은 바 있는 설 의원은 ‘근거있게 공격하는 최고의 저격수’로 당 안팎에서 신뢰감을 받아왔다. 그러나 이번 파문으로 그런 평가에 흠집을 내게 된 것이다. 또한 돈을 받은 당사자로 지목된 윤여준 의원은 “거짓말하는 사람은 의원직을 사퇴하자”며 정치생명을 걸고 압박을 가하고 있어 저질폭로 정치를 한다는 오명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