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이 국민 개개인의 세원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종합관리하는 개인별 파일을 구축한다.
국세청은 28일 ‘지역담당제 폐지에 따른 세원관리 개선방안’이라는 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방안에 따르면 국세청은 99년 9월 지역담당제가 해당지역 사업자의 실상을 잘 파악, 세원관리나 체납처분 등 업무를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는 있으나 세무부조리 발생소지로 인해 폐지됨에 따라 국세통합시스템(TIS)에 의한 세원관리에 집중하기로 했다.
이와관련, 세목별·자료별로 분산돼 있는 TIS상 세원정보자료를 활용하기 쉽게 재구성해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납세자 인별 마스터파일을 만들기로 했다.
특히 현금수입업종, 건설업, 운수업 등 업종별 특성에 따라 다양한 분석시스템을 구축,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베이스(D/B)에 접근해 원하는 대로 다양한 분석을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한 신규사업자의 경우 과거 이력에 의해 신용카드 위장가맹점, 자료상 등 불성실혐의자를 색출할 수 있는 전산시스템을 구축키로 했으며 국부유출혐의자를 자동검색할 수 있는 첨단분석시스템도 개발하기로 했다.
국세청은 이밖에 납세자의 개인휴대폰번호나 e-메일주소 등에 대한 전산관리프로그램을 개발, 간접적으로 대민접촉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지역담당제 폐지에 따른 세적관리의 미비점을 보완하기로 했다.
국세청은 28일 ‘지역담당제 폐지에 따른 세원관리 개선방안’이라는 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방안에 따르면 국세청은 99년 9월 지역담당제가 해당지역 사업자의 실상을 잘 파악, 세원관리나 체납처분 등 업무를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는 있으나 세무부조리 발생소지로 인해 폐지됨에 따라 국세통합시스템(TIS)에 의한 세원관리에 집중하기로 했다.
이와관련, 세목별·자료별로 분산돼 있는 TIS상 세원정보자료를 활용하기 쉽게 재구성해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납세자 인별 마스터파일을 만들기로 했다.
특히 현금수입업종, 건설업, 운수업 등 업종별 특성에 따라 다양한 분석시스템을 구축,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베이스(D/B)에 접근해 원하는 대로 다양한 분석을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한 신규사업자의 경우 과거 이력에 의해 신용카드 위장가맹점, 자료상 등 불성실혐의자를 색출할 수 있는 전산시스템을 구축키로 했으며 국부유출혐의자를 자동검색할 수 있는 첨단분석시스템도 개발하기로 했다.
국세청은 이밖에 납세자의 개인휴대폰번호나 e-메일주소 등에 대한 전산관리프로그램을 개발, 간접적으로 대민접촉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지역담당제 폐지에 따른 세적관리의 미비점을 보완하기로 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