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1일부터 고속도로 노선체계가 번호중심으로 변경된다.
29일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8월 전면 개정된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에 따라 오는 5월 1일부터 전국고속도로에 새로운 노선번호가 적용된다.
주요노선은 두 자리 숫자로 남북 방향노선은 끝자리에 5번을, 동서 방향은 0번을 각각 부여했다. 이에 따라 남북방향인 서해안 고속도로는 15번, 호남고속도로는 25번이 부여되고 동서방향인 남해고속도로는 10번, 영동고속도로는 50번으로 지정됐다.
보조노선 역시 두자리 숫자로 표시하되 남북방향은 끝자리를 홀수로, 동서 방향은 짝수로 노선변호가 지정돼 남북방향인 제2중부고속도로는 37번, 동서방향인 88올림픽 고속도로는 12번이 주어졌다.
지선은 세자리 숫자로 25번 호남고속도로 지선은 251번으로 지정하는 등 해당노선의 앞 두자리를 이용토록하고 순환고속도로는 첫 자리는 해당지역 우편번호 첫째자리와 같은 번호를 사용키로 했다.
또 1개 축이 여러개의 노선명칭을 갖고 있던 것은 한개 노선으로 통합, 서해안선의 인천∼안산, 신갈∼안산선, 영동선(신갈∼강릉)은 모두 영동고속도로(50번)로 명칭이 일원화됐다.
다만 경부고속도로는 상징성과 중요성을 감안, 노선번호 1번을 유지토록 했다.
이와함께 대도시 중심으로 분류되던 노선의 기점과 종점은 국도와 마찬가지로 남에서 북으로, 서에서 동으로 바뀌게 된다. 이에 따라 경부선의 경우 기점이 부산, 종점이 서울로 변경된다.
도로공사측은 “종전의 번호와 명칭보다는 노선번호가 단순화 체계화돼 고속도로 이용객들이 목적지에 한층 쉽게 오갈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정부는 기존의 고속도로 노선번호가 건설계획을 수립한 순서에 따라 매겨져 노선수가 너무 많고 2020년이면 노선수가 현재의 35개에서 60여개로 늘어나는 등 혼란이 우려돼 지난해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을 전면 개정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